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울산, 가덕신공항 '도심공항터미널' 유치 나선다 2025-02-10 18:46:57
들어서면 국제선 이용객은 가덕도신공항까지 가지 않고 도심공항터미널 카운터에서 탑승권 발행과 수하물 위탁 등 탑승 수속을 밟을 수 있다. 도심공항터미널 후보지로는 공업탑 일대와 동해선이 있는 태화강역 등이 거론된다. 광역급행철도(GTX)가 운행될 예정인 공업탑 일대에서 가덕도신공항까지는 85.4㎞로 52분 만에...
BNK금융, 부산시·캠코와 ‘지역 경제 활성화’ 업무협약 2024-11-11 15:00:43
선언문’을 채택하고 지역 산업, 중소기업 육성을 중심으로 지역 경제의 견인차 역할을 하고 있다. 중소기업과 소상공인 경영 부담 완화를 위한 18조 4000억원 규모의 금융지원과, 지역 대표 현안인 가덕신공항 개항 관련 인프라 개발 업종을 대상으로 금융지원과, 조선업 선수금 환급보증(RG) 발급을 확대하는 등 지역 특화...
TXR로보틱스, 부산에 스마트공장·로봇융합연구소 준공 2024-10-16 09:56:06
가덕 신공항 및 신항만에 인접한 지리적 이점을 활용해 공급 효율을 높이는 한편 우수 인재 영입을 추진할 계획이다. 엄인섭 TXR로보틱스 대표이사는 "회사의 기술력과 생산 역량을 한층 더 강화하고 고객에게 혁신적이고 효율적인 설루션을 제공하기 위한 중요한 전환점이 될 것"이라며 "앞으로도 기술혁신과 품질향상을...
가덕신공항 부지공사 '수의계약' 전환 2024-09-12 17:57:10
네 번째로 유찰됐다. 국토부는 가덕도신공항 건설 사업이 국가 균형발전을 위한 핵심 과제인 데다 김해공항이 포화 상태에 이르러 수의계약 방식으로 사업 속도를 높일 방침이다. 부지 조성 공사가 사업자를 찾지 못해 계속 지연되면 여객터미널 설계와 접근 교통망 사업 등 후속 일정이 잇달아 늦춰질 수밖에 없기...
[2025예산] 공공주택 '역대최대' 25만가구 공급…SOC 예산은 1조 줄어 2024-08-27 11:00:58
신공항 늘고…가덕신공항 예산 9천640억원 (세종=연합뉴스) 박초롱 기자 = 정부가 내년 한 해 공공주택을 역대 최대 수준인 25만2천가구 공급할 계획이다. 올해보다 목표 물량을 4만7천가구 늘렸다. 정부는 가덕도신공항 사업 예산을 9천640억원 편성하는 등 지방 신공항과 도시철도 투자를 늘리기로 했으나, 전반적인...
'분산에너지 특화지역' 유치전 불꽃 경쟁 2024-08-19 17:10:48
가덕신공항에 수소연료전지, 수소혼소 액화천연가스(LNG) 열병합 발전 등의 열원을 공급하는 방안을 구상 중이다. 지난해까지 지역 산업단지 공장 지붕에 350㎿ 규모의 태양광발전 시설을 조성한 데 이어 380㎿급 시설을 추가로 구축할 계획이다. 스마트시티 중심의 가상발전소(VPP) 개발이 사업의 핵심이다. 울산시는...
부산, 수자원公 손잡고 '에코델타시티' 속도 2024-06-26 17:00:38
2016년 김해공항 확장안에서 지난해 가덕신공항 조기 개항으로 방향을 트는 과정에 부산시는 김해공항 주변 개발을 사실상 백지상태로 방치할 수밖에 없었다. 박 시장은 김해공항 확장안이 불발되고 가덕신공항 건립이 유력하게 떠오른 시점인 2022년 김해공항 인근 부지를 제2에코델타시티로 조성한다는 구상안을 내놨다....
부산, 추경 1.2조원 편성…"글로벌 허브도시 조성" 2024-05-23 19:20:24
반영했다. 시는 글로벌 허브도시 조성을 위한 종합 계획 수립 용역을 진행해 규제 혁신과 특례 발굴, 분야별 전략 과제를 도출할 예정이다. 또한 물류 분야 혁신 사업을 글로벌 허브도시 사업에 연계할 계획이다. 시는 가덕신공항 2단계 확장을 위한 마스터플랜을 수립하고 도시철도와 광역도로를 연결해 복합물류 기반을...
부산상의 "글로벌 허브도시로 함께 도약하자" 2024-05-06 17:48:09
△가덕신공항과 북항 재개발 등 핵심 인프라 조성 조기 추진 △부산 글로벌 허브도시 조성을 위한 특별법안 제정 공동 대응 △교육·생활·관광·환경 분야 국제화 기반 구축 등의 내용이 담겼다. 행사에는 산업은행 부산 이전과 에어부산 분리매각, 대기업 유치 등 지역 경제 현안을 논의하는 자리도 마련됐다. 부산상의...
김해공항, 국제선 확장터미널 26일 개장 2024-04-24 17:50:50
830만 명으로 늘어난다. 서비스 수준 기준에 따라 최대 1156만 명까지 수용할 수 있다. 부산시는 국제선 터미널 인프라 확대에 따라 국제선 지정 운수권 확보에도 본격 나서고 있다. 김해공항에서 뜨고 내리는 국제선 중장거리 노선을 확대해 가덕신공항 개항 이전까지 이용객을 적극 늘려나가기로 했다. 부산=민건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