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밤하늘 보호구역을 지정하자 [장석주의 영감과 섬광] 2023-04-18 18:01:18
동물들도 눈동자에 추상세포와 간상세포가 훨씬 많은 탓에 밤의 시력이 더 좋다. 어둠 속에서 야생성은 번성한다주린 배를 채우려고 숲속을 어슬렁거리는 포식자들의 부리와 날카로운 발톱은 곧 피식자의 피로 붉게 물든다. 어둠 속에서 야생성의 세계는 번성한다. 사막을 데우던 열기가 식으면 은하수와 별들이 쏟아질 듯...
올릭스, RNA 국제학회서 망막색소변성증 연구 성과 발표 2023-03-22 11:25:35
인해 망막 기능저하, 세포 소실, 망막조직 위축 등으로 시력이 손상되는 질환을 총칭한다. 빛의 명암을 구분하는 간상세포가 손상돼 10~20대부터 야맹증을 겪으며, 노화가 진행되며 서서히 주변 시야가 좁아진다. 심한 경우 40세 이전에 법정 실명에 이르는 치명적인 중증 장애가 야기된다. 세계적으로 유일하게 승인된 RP...
올릭스 “망막색소변성증 표적 유전자 억제력 확인” 2023-03-22 10:31:56
결과를 소개했다. OLX304C는 간상세포로의 분화를 결정하는 주요 전사인자를 억제함으로써 간상세포가 원추세포와 유사한 성질을 나타내게 만들며, 이에 따라 간상세포 사멸을 유도하는 다양한 RP 돌연변이에 대한 저항성을 가짐으로써 궁극적으로 망막의 광수용체 세포들을 보호하는 기작으로 작용하게 된다. 올릭스는...
"아침에 붉은빛 쬐었더니, 시력이 돌아왔네" 2021-12-10 17:03:28
세포(간상세포) 등 두 가지 유형의 세포가 있다. 연구진은 앞선 연구에서 붉은빛이 막대세포의 기능을 개선하는 데 효과가 있다는 것을 밝혀냈다. 이번 연구에서는 원뿔세포의 기능에 집중했고, 붉은빛을 쬐는 것이 색을 잘 구분해내는 데 도움이 되는지 확인했다. 연구진은 34세에서 70세 사이의 안과 질환이 없는 참가자...
아침마다 3분씩 눈에 '붉은 빛' 쬐었더니…"시력 좋아졌다" [최지원의 사이언스 톡(talk)] 2021-12-10 14:27:56
막대세포(간상세포) 등 두 가지 유형의 세포가 있다. 연구진은 이전 연구에서 붉은빛이 막대세포의 기능을 개선하는 데 효과가 있다는 것을 확인한 바 있다. 이번 연구에서는 원뿔세포의 기능에 집중해, 이런 방식이 색을 잘 구분해내는 데 도움이 되는지 확인했다. 연구진은 34세에서 70세 사이의 안과 질환이 없는 참가자...
美 시각장애인 광유전학 치료로 40년만에 시력 일부 회복 2021-05-26 17:00:00
있는 망막의 내막을 형성하는 감광세포로, 명암을 구별하는 간상세포와 색깔을 감지하는 원추세포로 이뤄져 있다. 광수용체 세포가 죽으면 시력을 완전히 잃을 수 있다. 연구진은 유전자 요법을 활용해 망막세포를 복제했고, 이를 바이러스 수용체와 함께 안구에 주입했다. 치료를 받고 특수안경을 착용한 시각장애인은...
"피부세포로 직접 망막세포 만들었다" 2020-04-17 09:08:57
방식으로 이러한 성공을 거두었다. 이렇게 만들어진 간상세포 광수용체는 모양과 기능이 자연 간상세포의 광수용체와 같았다. 연구팀은 유전자 발현 프로파일링(gene expression profiling)으로 이 새 간상세포의 유전자 발현이 광수용체 단백질을 발현하는 자연 간상세포와 같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연구팀은 이...
"노인성 황반변성 관련 특정 세포 유형 확인" 2019-10-28 16:54:39
특정 세포 유형 확인" 예일대·하버드대·MIT 공동 연구진 논문 발표 (서울=연합뉴스) 한기천 기자 = 노인성 황반변성(Age-related macular degeneration)은 고령자가 실명하는 가장 위험한 원인 중 하나다. 현재 미국에만 200만 명이 넘는 황반변성 환자가 있다고 한다. 과학자들은 그동안 인간의 유전체를 샅샅이 뒤져...
스마트폰 과다 사용으로 `후천적 색맹`...16세 소녀 첫 사례 2019-10-14 14:55:10
걸쳐 블루라이트에 노출됨으로써 망막의 간상세포(명암 감지 세포)와 원추세포(색감 감지 세포)에 영향을 받았고, 망막 세포 부근에 활성산소 등의 물질이 발생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아울러 다행히도 초기에 발견해 적절한 치료와 스마트폰 사용금지로 회복이 가능했다고 전했다. 훙치팅 의사는 후천성 적록 색맹도 초...
스마트폰 과다 사용으로 색맹…대만 16세 소녀 세계 첫 사례 2019-10-14 14:22:04
걸쳐 블루라이트에 노출됨으로써 망막의 간상세포(명암 감지 세포)와 원추세포(색감 감지 세포)에 영향을 받았고, 망막 세포 부근에 활성산소 등의 물질이 발생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아울러 다행히도 초기에 발견해 적절한 치료와 스마트폰 사용금지로 회복이 가능했다고 전했다. 훙치팅 의사는 후천성 적록 색맹도 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