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사이테크+] "4천 광년 밖 '죽은' 별 주변서 지구 크기 외계행성 발견" 2024-09-27 05:00:01
목성 질량의 17배에 달하는 별이 되려다 실패한 갈색왜성(brown dwarf)으로 구성돼 있으나 중심별의 정체는 불분명했다. 연구팀은 이 연구에서 중심별 유형을 확인하기 위해 2023년 하와이에 있는 켁Ⅱ 10m 망원경으로 이 행성계를 정밀 관측했다. 그러나 마이크로렌즈 현상이 약해져 1천 배나 확대됐던 배경 별이...
[사이테크+] "37광년 밖에서 목성보다 작고 모닥불보다 차가운 별 확인" 2023-07-14 08:43:11
잘 알려졌지만, 갈색왜성은 왜 10% 미만만 전파를 방출하는지 밝혀지지 않았다며 이렇게 작고 차가운 별이 어떻게 전파를 방출할 수 있는지에 주목하고 있다. 논문 제1 저자인 로즈 연구원은 "이처럼 작은 과냉각 갈색왜성은 일반적으로 지구에서 감지할 수 있는 전파를 생성하는 자기장을 형성하지 않기 때문에 전파를...
[사이테크 플러스] '실패한 별' 갈색왜성 5개 추가 발견…목성 질량의 77~98배 2021-08-27 17:09:07
내뿜는다. 반면에 '실패한 별'인 갈색왜성은 수소 핵융합이 시작될 만큼 중력이 충분히 크지 않아 별처럼 많은 빛과 열을 내지 못한다. 이 때문에 지금까지 외계 행성은 수천 개가 발견된 반면 행성보다 훨씬 질량이 큰 갈색왜성은 30여 개가 발견됐을 뿐이다. 그리브스 박사는 "아직 갈색왜성을 별과 구분하는...
별에 속박받지 않고 움직이는 '떠돌이 행성' 별만큼 많을 수도 2020-08-22 09:50:21
나왔거나 갈색왜성처럼 먼지와 가스가 뭉쳐 형성됐을 것으로 추정은 되지만 확실하게 규명된 것은 아니다. 논문 제1저자인 오하이오주립대 대학원생 샘슨 존슨은 "떠돌이 행성은 별 주변을 도는 천체가 아니기 때문에 기온이 극도로 낮을 것"이라면서 떠돌이 행성이 생명체가 살 수 있는 환경은 아니지만 이에 관한 연구는...
시민과학자 도움으로 원시행성 원반 가진 갈색왜성 찾아 2020-06-03 13:58:03
원시행성 원반 가진 갈색왜성 찾아 약 332광년 "이웃"서 확인 실패한 별의 행성 형성 관측 기회 (서울=연합뉴스) 엄남석 기자 = 갈색 왜성은 별이라고 하기에는 작고, 행성치고는 큰 준(準)항성형 천체로 "실패한"(failed) 별로도 불린다. 별과 행성의 중간 고리인 셈인데, 별처럼 먼지와 가스의 중력붕괴로 만들어진 뒤...
지구서 약 34광년 떨어진 갈색왜성 풍속 측정 2020-04-10 03:01:00
34광년 떨어진 갈색왜성 풍속 측정 태양계 밖 천체로는 처음…초속 660m 초강풍 불어 (서울=연합뉴스) 엄남석 기자 = 지구에서 약 34광년 떨어진 곳의 갈색왜성 대기에서 초속 660m의 강풍이 부는 것으로 측정됐다. 목성이나 토성 등 태양계 행성의 풍속이 측정된 적이 있지만 태양계 밖 천체의 풍속을 잰 것은 이번이...
태양계 밖 '확인된' 외계행성 곧 4천개 넘을 듯 2019-03-25 11:19:30
BBC뉴스와의 회견에서 국제천문연맹(IAU)이 갈색 왜성을 작은 별로 규정하고 있지만 사실 이중 일부는 큰 행성이라면서, 외계행성 백과사전에는 목성 질량의 60배 이하 천체가 올라있으며 갈색왜성도 포함돼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갈색왜성과 큰 행성의) 차이를 확인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은 내부 구조를 들여...
'우주는 넓고 발견할 것은 많다'…시민과학자 개가(凱歌) 잇달아 2019-02-20 16:10:26
갈색왜성'으로 생각했다고 한다. 갈색왜성은 항성보다 작고 행성보다는 큰 낮은 온도의 천체로, 테벤노트가 참여해온 프로젝트에서 찾고자 하는 주요 목표였다. 이 프로젝트는 NASA 고다드 우주비행센터의 천체물리학자 마크 쿠흐너가 2년 전부터 진행해 온 것으로, 자원봉사자들이 온라인으로 검색엔진을 통해 광시야...
20광년 떨어진 우주서 목성 12배 떠돌이 행성 발견 2018-08-06 11:49:48
큰 '갈색왜성(brown dwarf)'으로 분류됐다. '실패한 별'로도 불리는 갈색왜성은 1995년에 처음 발견돼 이에 대한 깊이 있는 연구가 진행되지 못했다. 카오 박사 연구팀은 VLA 망원경을 이용해 5개 갈색왜성의 자기장과 전파 방출에 관한 연구를 진행했으며, 그 과정에서 하나가 유독 생성 역사가 짧다는...
[PRNewswire] 제19회 로레알-유네스코 세계 여성 과학자상 2017-03-24 09:35:03
유형의 천체를 발견해 수상자로 선정됐다. 그녀의 갈색 왜성 관찰은 다른 행성에 생명이 있는가 하는 보편적인 질문에 답을 제공할 것이다. Zhenan Bao 교수(미국)는 피부에서 영감을 받은 전자 재료를 발명했다. 유연하고, 신축성과 전도성이 있는 재료에 관한 그녀의 연구는 보철물을 이용하는 환자의 삶의 질을 높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