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이근미 작가의 BOOK STORY] 자유민주주의 국가 대한민국 건국은 '기적' 2024-05-13 10:00:22
서당에서 공부하며 과거 시험을 준비했다. 1894년 갑오개혁에 따라 과거제가 폐지되자 1895년 배재학당에 입학했다. 배재학당에서 3년간 신학문을 배우면서 신문 창간을 주도하고 국정을 신랄하게 비판했다. 급기야 고종 폐위 음모에 가담한 죄로 1899년부터 5년 7개월간 감옥 생활을 했다. 기독교로 개종한 그는 감옥에서 ...
[천자칼럼] 소고기가 뭐길래 2024-04-08 18:08:57
1895년 갑오개혁 이후였다. 하지만 조선 후기 박제가가 쓴 에 따르면 조선팔도에서 날마다 소 500마리가 도살되고 성균관과 한양 5부 안의 24개 푸줏간, 300여 고을의 관아에서 소고기가 판매됐다고 한다. 성균관에선 공부에 지친 유생들의 보양을 위해 소 도축이 허용됐는데, 여기서 나온 소고기가 시중에 팔리기도 했다....
"지도자 부재로 국권 상실"…'일요일 역사가'의 '징비록' 2024-03-20 18:29:31
사건이었다. 박 대표는 “동학농민운동과 갑오개혁 등으로 혼란스러운 국내 정세를 바로잡을 인재가 부족했다”며 “이 상황을 틈타 조선에 발을 들인 일본을 제지하지 못했다”고 짚었다. 이 같은 내용을 담아 그는 작년에 를 출간했다. 박 대표는 나라의 흥망은 지도자 등 인재의 역량에 절대적으로 달려 있다고 강조했다...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혁신의 본뜻은 '가죽을 벗긴다' 2024-01-08 10:00:13
추진된 개혁운동이 있었다. 그것을 역사는 ‘갑오개혁’이라고 부른다. 당시 김홍집 등 개화파가 정권을 잡아 3차에 이르는 개혁을 통해 재래 문물·제도를 근대식으로 고치는 등 정치·경제·사회 전반에 걸쳐 혁신을 단행했다. 예전에는 ‘갑오경장’이라 하던 것이 지금은 ‘갑오개혁’이란 용어로 바뀌었다. ‘혁’이...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접속어 줄이면 문장에 힘이 생기죠 2023-10-09 10:00:02
1호가 공포됐다. 당시 개화파가 추진한 개혁운동의 일환으로, 이른바 ‘갑오개혁’을 뜻한다. 우리말 역사로 보면 한글이 우리나라 공문서의 공식 문자로 처음 등장한 순간이다. 그동안 언문으로 불리며 천시되던 한글이 비로소 ‘국문(國文)’이란 위상을 갖게 됐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하지만 당시 지배층의 주요 표기...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원숭이두창 vs 엠폭스…우리말은 진화 중 2023-04-24 10:00:09
뿌리내려야 생존그 근원은 멀리 1894년 갑오개혁의 일환으로 공포된 고종 칙령 1호(한글을 공문서의 공식 문자로 선포)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하지만 ‘엠폭스’만 적어서는 자칫 암호문자에 지나지 않을 수 있다. 그래서 그 말의 연원인 영문을 추가하고, 그것도 부족해 번역어를 함께 붙여준다. 엠폭스를 나타내는 3중...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지금 '윤이월' 지나는 중이죠 2023-04-10 10:00:17
윤달이 되는 것이다. 우리나라는 양력을 1896년 갑오개혁의 일환으로 도입했다. 당시 정한 조선시대 최초의 연호가 건양(建陽·1896~1897)인데, 이는 태양력을 도입했다는 의미다. 그만큼 태양력 제도의 시행이 국가적 개혁사업이었음을 알 수 있다. 윤달 또는 윤날이 든 해를 ‘윤년(閏年)’이라고 한다. 윤년에 대응하는...
[특파원 시선] "한국, 김이박 왜 많지?" 멕시코 뜻밖의 관심 2022-12-04 07:00:07
갑오개혁 신분제 폐지'를 서술한 뒤에는 "1909년엔 누구나 성을 갖게 됐다"고, 그 흐름을 놀랍게도 정확하게 소개했다. "최근에는 외국인이 한국에 정착할 때 자연스럽게 그 성 중 하나를 붙이기도 한다"는 언급도 곁들였다. 영어권도 아닌 스페인어권 매체에서 한국 성씨에 대해 정성스럽게 내놓은 이런 설명은 다소...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고종칙령, 한글을 공식문자로 끌어올리다 2022-10-03 10:00:05
줄기다. 갑오개혁. 개화기 때인 1894년 추진된 일련의 개혁운동이다. 그해 11월, 개혁의 일환으로 내려진 고종칙령 1호에서 한글은 우리나라 공문서의 공식문자로 등장했다. ‘공문식(公文式) 제14조: 법률·칙령은 모두 국문(國文)을 기본으로 하고 한문으로 번역을 붙이거나 혹은 국한문으로 혼용한다.’ 그동안 언문으로...
[윤명철의 한국, 한국인 이야기] 권력 유지 위해 한자 고수하는 기득권자에 대응…모든 사람이 이용할 수 있는 훈민정음 만들어 2022-04-25 10:00:21
훈민정음은 왜 450여 년 만인 1894~1896년 갑오개혁 때야 비로소 나라글로 인정받았을까. 그 이유를 몇 가지로 나눌 수 있다. 첫째, 조선 시대에 ‘문자’는 필수적인 기호가 아니었다. 우리 문화는 동북아시아의 생태환경과 유별난 역사, 생물학적 특성 탓에 샤머니즘에 영향을 받았다. 그러므로 매우 감성적이었고, 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