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산림 보호·복원·생태관광…열일하는 산림청 '산림생태관리센터' 2024-07-15 16:09:00
지역 내 개느삼, 금강초롱꽃 서식지 보호 및 현지 내 보존 △유전자원보호구역(양구) 내 멸종위기종(복주머니란 등) 개체수 조사 등 산림생태관리센터는 지역별 특성에 맞게 산림유전자원을 보호·관리하고 있다. 생태관광활성화도 산림생태관리센터의 주된 임무다. 소광리 산림생태관리센터는 경북 울진군 금강송면 소광리...
6·25가 낳은 비극의 땅이자 동식물의 마지막 낙원…온라인에 새기다 2023-02-23 17:52:20
등 멸종위기 동물부터 개느삼 미치광이풀 낙지다리 긴잎꿩의다리 등 DMZ에서만 볼 수 있는 희귀식물이 한가득이다. DMZ는 자연의 신비로움을 간직한 공간이기도 하다. DMZ 근처 대암산 정상에 있는 용늪은 자연의 신비로움을 그대로 보여준다. 경남 창녕군 우포늪과 함께 한국 최초로 람사르협약 습지로 등재된 곳이다....
강원 양구 'DMZ 펀치볼' 6월 국유림 명품 숲 선정 2019-06-07 11:07:56
원을 그리고 있다. 이곳에는 천연기념물인 열목어, 개느삼을 비롯해 금강초롱, 날개하늘나리 등 수많은 희귀 동식물이 서식하고 있다. 특히 대암산 산정에는 남한의 유일한 고층습원인 '용늪'이 천연기념물 제246호로 지정돼 있다. 산림청 민북지역국유림관리소는 2010년부터 접경지역의 산자락을 걸으며 전쟁의 상...
국립백두대간수목원, 백두대간 희귀식물 세밀화 특별전 2019-01-29 09:07:15
백두대간 희귀식물 세밀화 특별전 개느삼·금붓꽃·금강초롱꽃 등 희귀식물 그림 35점 선봬 (봉화=연합뉴스) 유의주 기자 = 경북 봉화 국립백두대간수목원은 29일부터 내달 24일까지 국립백두대간수목원 방문자센터 2층 특별전시관에서 '백두대간 희귀식물 세밀화전'을 연다. 국립수목원의 지원으로 열리는 이번...
[ 분야별 송고기사 LIST ]-지방 2017-06-28 08:00:09
[충북소식] 진천 광혜원고 이전 준공 170627-1020 지방-0242 16:48 남한에서 양구에만 서식하는 '개느삼 비누' 개발 170627-1023 지방-0243 16:49 상가 텃밭 가방서 여자 아기 숨진 채 발견 170627-1025 지방-0244 16:50 경기문화재단-주한영국문화원, '액티브 시티즌' 참가자 모집 170627-1026 지방-0245...
[ 분야별 송고기사 LIST ]-지방 2017-06-28 08:00:08
운전대 잡으려던 현장학습 버스 기사 170627-0981 지방-0242 16:48 남한에서 양구에만 서식하는 '개느삼 비누' 개발 170627-0984 지방-0243 16:49 상가 텃밭 가방서 여자 아기 숨진 채 발견 170627-0986 지방-0244 16:50 경기문화재단-주한영국문화원, '액티브 시티즌' 참가자 모집 170627-0987 지방-0245...
남한에서 양구에만 서식하는 '개느삼 비누' 개발 2017-06-27 16:48:09
활용이 가능해졌다. 개느삼은 북한에서는 함경도와 평안도를 비롯한 많은 지역에서 서식하지만, 남한에서는 양구에만 유일하게 서식하고 있다. 현재 양구읍 한전리와 동면 임당리의 개느삼 서식지는 천연기념물 372호로 지정돼 보호를 받고 있다. 양구군은 해안면 통일관과 양구명품관 온라인 쇼핑몰 등에서 개느삼 비누를...
봄꽃 종류는? 개나리부터 나도바람꽃까지 다양해 ‘꽃놀이 가보자~’ 2016-03-19 12:17:01
노랑무늬붓꽃, 삼지구엽초, 족도리풀, 은난초, 백선, 개느삼, 골무꽃 등의 예쁜 이름을 가진 봄꽃들도 많다.한편 19일 기상청에 따르면 가장 일찍 벚꽃을 피우는 지역은 제주도 서귀포로 전망되고 있다.곽경민 한경닷컴 연예이슈팀 기자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hub@hankyung.com3월 안에 반드시 매수해야 할 3종목! 조건...
[Travel] 솜다리 꽃 하얗게 피고, 산양 뛰노는 천혜의 자연 2013-06-02 16:59:03
살고 있고, 개느삼과 금강초롱, 솜다리(에델바이스)가 자생하고 있다. 백로와 독수리도 볼 수 있다. 멸종 위기에 있는 산양이 뛰어노는 곳이 바로 양구다. ◆생명력 느껴지는 두타연의 절경 때묻지 않은 양구의 절경을 제대로 느낄 수 있는 곳이 바로 두타연이다. 금강산에서부터 흘러내려온 물이 남쪽의 물과 합하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