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데스크 칼럼] AI 대응, 벌새 날갯짓서 배워야 2025-02-05 17:26:16
유일한 조류다. 곤충의 비행 기술을 완벽하게 체화한 변종인 셈이다. 다른 조류는 흉내조차 낼 수 없는 빠른 날갯짓을 견디기 위해 벌새의 가슴 근육은 체중의 3분의 1 정도를 차지할 정도로 발달했다. 벌새가 이처럼 신비한 날갯짓을 할 수 있도록 진화한 이유는 꽃 주변을 빠르게 날아다니며 꿀을 효율적으로 빨아먹기...
'오렌지州' 미국 플로리다…"생산량 100년 만에 최저" 2025-01-15 17:48:51
재배산업이 발달한 지역이었다. 이 지역에서 나오는 오렌지는 주로 생과즙 주스 제조에 쓰인다. 하지만 2005년 연 2억 상자가 깨진 이후 생산량이 해마다 줄고 있다. 2015년 생산량은 1억 상자를 밑돌았고 그마저도 10년 만에 10분의 1 수준으로 급감했다. 이번 시즌 오렌지 작황에는 지난해 10월 중순 발생한 허리케인...
오렌지도 쟁여야 하나…자연재해에 무너진 '오렌지 왕국' [한경제의 신선한 경제] 2025-01-15 15:41:20
재배 산업이 발달한 지역이었다. 이 지역에서 나오는 오렌지는 주로 생과즙 주스 제조에 쓰인다. 하지만 2005년 연 2억상자 생산이 깨진 이후 생산량은 해마다 줄고 있다. 2015년 생산량은 1억상자를 밑돌았고 그마저도 10년 만에 10분의 1 수준으로 급감했다. 이번 시즌 오렌지 작황에는 지난해 10월 중순 발생한 허리케인...
'그린바이오산업법' 본격 시행…육성 전담기관 등 지정 2025-01-03 17:09:05
전·후방산업에서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산업으로, 종자와 미생물, 곤충, 천연물, 식품소재, 동물용의약품 등 분야가 포함된다. 농식품부는 5년 단위로 관련 산업의 육성 계획을 수립하고 연도별로 시행 계획을 세운다. 이번에 시행되는 법령에 따르면 한국농업기술진흥원을 그린바이오산업 육성 전담기관으로 지정하고,...
정부, '생명공학기술 접목' 그린바이오산업 육성계획 수립 2025-01-02 11:00:03
그린바이오산업에는 종자와 미생물, 곤충, 천연물, 식품소재, 동물용 의약품 등 농업 전·후방산업이 포함된다. 농식품부는 5년 단위로 관련 산업의 육성 계획을 수립하고 연도별로 시행 계획을 세운다. 또 육성 지구를 지정하기 위해 상반기 내 지정 공모 계획을 발표하고, 육성 전담 기관으로 한국농업기술진흥원을...
[랜드마크 대 랜드마크] 도심 속 보행녹지, 뉴욕 하이라인 대 서울로 7017 2024-12-29 16:45:28
꾸민 녹지로 민간단체가 주축이 돼 산업 유산의 재생과 재활용을 목표로 했다면, 서울로는 시가 중심이 돼 서울역의 동서를 연결하던 고가 차로를 보행교로 전환한 것이다. 빌딩 숲 사이에 자리한 하이라인이 기찻길의 직선적 이미지를 따르며 키가 작은 관목을 심어 보행자에게 친근한 녹지 공간을 조성하려고 했다면,...
우주청 개청·초파리 산소 전달 기전 규명…과학계가 꼽은 '2024년 분야별 10대 뉴스' 2024-12-23 15:58:21
있던 우주항공 분야의 연구·개발(R&D)부터 산업 육성 정책까지 컨트롤타워 역할을 하게 된다. 우주청 개청을 기점으로 내년 우주 관련 예산도 올해 7598억원 대비 2051억원(27%) 증가한 9649억원으로 확정됐다. 우주청은 내년 예산을 차세대 발사체 개발, 달 착륙선 개발, 민간 중심 우주 산업 생태계 조성 등에 투자할...
"인공 DNA에 정보 저장기술 개발…전기없는 데이터센터 시대 온다" 2024-10-27 18:20:35
합성생물학은 바이오산업의 가장 유망한 미래로 꼽힌다. 처치랩은 ‘DNA 데이터 스토리지’ 기술의 산실이기도 하다. 쥐의 DNA에 0.2테라바이트(TB) 규모 데이터를 저장하는 기술을 보유했다. 스마트폰 한 대 용량이다. 처치랩의 주인공인 조지 처치 하버드대 의대 유전학과 교수를 지난달 연구실에 찾아가 만났다. 가장...
식용개 46만 마리는 어디로? [세종살롱] 2024-10-25 17:00:01
흑염소가 66%로 가장 많고, 한우, 양계, 양돈, 곤충, 원예업 등으로 조사됐습니다. 전업을 위해 컨설팅을 희망하는 농가는 420호 정도 되는데, 현재 380개 농가가 1차 컨설팅 지원을 받은 상태입니다. ◇이해곤 기자 : 아무래도 최근 흑염소 식당이 많이 생기는 것과도 관계가 있겠군요. 하지만 개 식용 산업이 음성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