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뇌와 행동 연결고리 밝히고, 폐암 신약 개발한 의사 과학자들 2025-01-21 18:35:13
생체조직 세포를 빛으로 제어하는 광유전학의 창시자다. 감각과 인지 행동의 세포적 기반을 규명해 뇌가 사람의 행동과 어떻게 연결되는지 등을 밝힌 공로를 인정받아 수상자로 선정됐다. 안 교수는 폐암·두경부암 분야 세계적 권위자다. 암 치료 성적 향상을 위해 표적치료제와 면역항암제 신약 임상시험을 이끌어왔다....
"치킨 안 먹었는데 이럴 줄은"…학계도 뒤집어질 놀라운 연구 [건강!톡] 2025-01-01 13:32:29
더 배부르다고 느꼈다는 것이다. 연구팀은 광유전학을 활용해 쥐 실험을 한 결과 GLP-1 수용체 신경을 인위적으로 활성화하면 즉각 식사 중단을 유도하며 반대로 억제할 경우 식사가 지속된다는 것을 입증했다. 해당 연구 결과는 GLP-1 식욕 억제제의 뇌 작용 기전을 명확히 규명한 중요 성과로 평가받았다. 위고비의 식욕...
1월 과기인상에 최형진 교수…비만치료제의 식욕억제 기전 규명 2025-01-01 12:00:10
유전학을 결합한 첨단신경과학 기술인 광유전학을 활용한 쥐 실험을 통해 GLP-1 수용체 신경을 인위적으로 활성화하면 즉각적인 식사 중단을 유도하고, 반대로 억제 시 식사가 지속됨을 입증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GLP-1 식욕억제제의 뇌 작용 기전을 명확히 규명한 중요한 과학적 성과로 평가받고 있으며, 작년 6월...
[사이테크+] 뇌세포가 '켜지고 꺼지는 것' 추적하는 기술 개발 2024-01-24 05:00:01
뉴런(Neuron)에서 광유전학을 이용해 뇌 신경세포를 반복적으로 활성화하고 억제하면서 단백질의 변화를 관찰, 인산화 PDH(pPDH)라는 물질이 뉴런이 꺼졌음을 나타낸다는 사실을 발견했다고 밝혔다. 과학자들은 수십 년 동안 다양한 뇌세포 그룹이 언제 켜지는지 관찰해 뇌의 복잡한 활동 패턴을 연구해왔다. 신경세포가...
"배고파도 밥 먹지 마세요"…뜻밖의 효과에 '깜짝' [건강!톡] 2023-05-12 14:56:30
배고픔을 나타내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또한 연구팀은 광유전학 기술로 초파리를 붉은색 빛에 노출해 '기아 욕구(hunger drive)'와 관련된 뇌 신경을 활성화하는 방법을 활용했다. 초파리가 신경 활성화로 배고픔을 느끼고 먹이를 취하려는 충동을 갖게 된 뒤에는 빛 자극이 없었던 다른 초파리의 두 배에 달하는...
"배고픔 느끼는 것만으로도 노화 늦추는 효과 있어" 2023-05-12 13:40:09
광유전학 기술로 초파리를 붉은색 빛에 노출해 '기아욕구'(hunger drive)와 관련된 뇌신경을 활성화하는 방법도 활용했다. 신경 활성화로 배고픔을 느끼고 먹이를 취하려는 충동을 갖게된 초파리는 빛 자극이 없었던 다른 초파리의 두 배에 달하는 먹이를 섭취했으며, 수명도 훨씬 더 긴 것으로 나타났다. 논문...
'만병의 근원' 스트레스, 코로나 면역력도 떨어뜨린다 2022-05-31 17:32:15
생쥐는 몇 분 지나지 않아 백혈구의 대규모 이동이 관찰됐다. 광유전학(optogenetics) 등 첨단 기술로 확인해 보니, 스트레스가 생겼을 때 곧바로 자극을 받는 건 뇌실결핵 시상하부였다. 편안한 상태에 있던 생쥐는 '스트레스 그룹'보다 바이러스 감염에 더 잘 맞서 싸웠고 바이러스를 더 쉽게 제거했다. 스트레스...
DGIST 강홍기 교수팀, 얇은 금으로 유연투명한 뇌신경 전극개발 2021-12-06 08:53:22
기술에서 광유전학처럼 빛을 이용해 뇌신호 측정 및 자극이 가능한 광-전자 하이브리드 기술로 발전 중이다. 향후 뇌의 전기적 신호를 읽고, 빛을 이용한 뇌신경 회로 조절 및 뇌질환 치료 인터페이스 기술 개발에 큰 영향을 주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개발에 필요한 투명하면서도 유연한 신경 전극 소재 개발은 제작 공정...
부모 사랑 못 받은 아이가 사회성 떨어지는 이유 2021-10-29 17:25:11
특정 부위를 활성화하거나 비활성화하는 광유전학 기법을 사용했다. 관찰 결과 스트레스 환경에서 자란 쥐의 도파민 방출을 억제하자 다른 쥐들과 어울리지 못했던 비사회적인 행동이 정상적으로 돌아왔다. 반대로 편안한 환경에서 자란 쥐에서 도파민 양을 늘리자 사회적 행동이 사라지는 것이 관찰됐다. 연구를 주도한 마...
"부모에게 꼭 필요한데 아이에겐 '독'" 연구 결과…대체 뭐길래 [최지원의 사이언스 톡(talk)] 2021-10-28 14:52:53
부위를 활성화시키거나 비활성화시키는 광유전학 기법이 사용됐다. 관찰 결과, 스트레스 환경에서 자란 쥐의 도파민 방출을 억제하자 다른 쥐들과 어울리지 못했던 비사회적인 행동이 정상적으로 돌아왔다. 반대로 편안한 환경에서 자란 쥐에서 도파민의 양을 늘리자 사회적 행동이 사라지는 것이 관찰됐다. 연구를 주도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