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역시 대기업' 한국 연봉 얼마길래…日보다 많은 '5위' 등극 2025-02-16 12:00:01
대상 22개국 중 10위로 중위권에 해당했다. 시장환율을 기준으로 해도 한국(5만317달러)은 22개국 중 10위다. 하상우 경총 경제조사본부장은 “대기업 임금이 일본에 비해 월등히 높고, EU 국가들과 비교해도 최상위 수준인 것은 연공형 임금체계와 강력한 노조로 인한 생산성을 초과한 일률적 임금 상승이 크게 영향을...
대기업 나와 6000만원 투자…'177억 부자' 된 '로봇 할아버지' [윤현주의 主食이 주식] 2025-02-16 06:50:05
장애가 있는 환자들이 대상인데 연내 출시해 내년 3000대 이상 판매할 계획이다. 의료용은 약 1억원 정도, 가정용은 바디프랜드와 세라잼 안마 의자처럼 대중화할 수 있게 가격 경쟁력을 갖춘 수준으로 할 방침이다. 힐러봇이 성과를 거둔다면 2029년 매출 1000억원, 영업이익 200억원도 가능하다는 게 박 대표의 생각이다....
멈춰선 반도체 주52시간 특례 논의… 구체화 쟁점은? 2025-02-11 16:48:19
OECD 국가 중 최고 수준인 우리나라의 장시간근로 문제를 개선하여 국민의 건강한 삶과 일·생활의 균형을 이루기 위한 것이었는데 이러한 예외를 허용하면 앞으로 자동차, 조선, 바이오 등 다른 산업에서도 예외를 인정해 달라는 요구가 이어져 결국 주52시간제 도입 취지가 무색하게 사실상의 노동시간 연장으로 이어질...
중기연, 中企 10대이슈 발표…"환율·인력난·기술격차 '위기'" 2025-02-06 09:23:23
통해 중소기업이 올해 경제성장 둔화와 국가 간 무역분쟁 격화, 기술 격차 심화 등의 경영환경에 직면할 것으로 전망했다. 보고서는 미국과 EU(유럽연합)의 보호무역주의가 수출에 큰 영향을 미치고, 원화 가치 하락(원·달러 환율 상승)으로 인한 수입 원가 상승이 수익성을 악화시킬 것으로 내다봤다. 또 중소기업 내...
[팩트체크] AI가 인간의 모든 일자리를 대체한다? 2025-02-05 07:20:00
생산성을 향상하고 인간에게 편의를 제공하는 긍정적인 역할도 있지만, 인간의 기존 직업이 AI로 대체돼 많은 근로자가 일자리를 잃게 될 것이라는 우려도 커지고 있다. 일각에서는 AI가 거의 모든 일자리를 빼앗아 인간이 AI에 종속되는 디스토피아 공상과학(SF) 영화가 현실화할 것이라는 주장을 하기도 한다. 결론부터...
워라밸은 옛말... 일과 삶 경계 허무는 '워라블' 등장 2025-01-24 15:22:47
생산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일상의 큰 비중을 차지하는 일에서 행복하지 않다면 삶 전체가 행복해지기 힘들다는 태도로 일을 중심에 놓으면서도 ‘자신’을 잃지 않으려 하는 것이 워라블이다. 워라블의 본격적인 확산에는 팬데믹으로 촉발된 재택근무, 유연근무제, 화상회의 등이 있다. 워라블은 일하는 시간과...
[수능에 나오는 경제·금융] 경제체력 보여주는 환율…수출과 연관성 약해져 2025-01-20 10:00:03
환율이 달라져요. 국제수지나 물가수준, 생산성 등 국가의 경제 기반을 토대로 환율이 결정되는 거죠. 토대가 탄탄하다, 이 나라의 화폐 가치가 높다 판단되면 달러 대비 가치가 높아지죠. 원·달러 환율이 중장기적으로 떨어지는 겁니다. 하지만 경제 기반만 중요한 건 아닙니다. 통화정책과 재정정책 영향도 받아요. ...
[한국수자원공사 2024년 창업도약패키지 선정기업] 산소를 기반으로 살균하는 마이크로 플라즈마 기술을 개발하는 ‘캐스트’ 2025-01-15 22:35:24
1억원으로 시작하였고 현재까지 원천기술과 사업성을 인정받아 국가 지원 및 해외 개발 사업 등을 통해 회사를 성장하게 됐습니다.” 창업 후 김 대표는 “보유한 기술을 통해 농산물과 수영장 등의 식품과 물에 염소 등의 화학 약품 없이 살균하여 좋은 결과를 도출했을 때 큰 보람”이라며 “캄...
업비트 투자자보호센터 "2024년 주인공은 비트·리플…올해 거시경제·정책 주목" 2025-01-15 10:57:38
노동생산성 향상과 예상보다 소극적인 관세 정책 실시 가능성이 물가 상승 우려를 일부 흡수하고 있는 상황이다. 물가 우려 완화에 따른 금리 인하 기대감 재상승과 이어지는 가상자산 시장의 유동성 증가 여부를 살펴봐야 한다. 현재 미국의 골칫거리는 약 35조 달러에 달하는 국가부채다. 이런 상황에서 신시아 루미스...
[팩트체크] 한국은 정말 부동산의 나라인가? 2025-01-07 07:20:00
2천명을 대상으로 설문한 결과, 부동산 자산의 경우 1인 가구의 45.1%가 월세로 살고 있었다. 전세와 자가 거주자는 각각 30.0%와 21.8%를 차지했다. 전문가들은 부동산에 편중된 가계 자산이 경제 전반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칠 가능성을 우려하고 있다. 가계에서 아파트 구입에 모든 여유 자금을 투입하니 그만큼 은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