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칼럼] ESG 관점에서 본 상법 개정안의 한계 2025-02-04 06:01:35
개정안이 영미식 ‘주주자본주의’에 기초한다는 점이다. 주주자본주의 자체가 나쁜 것은 아니지만, 이것이 인간 탐욕과 결합해 단기 성과와 주주이익 극대화를 추구할 때 사회적 폐해가 발생한다. 2008년 글로벌 금융 위기가 그랬고, ‘월가를 점령하라(Occupy Wall Street)’는 시위는 좋은 본보기였다. 현재 글로벌 질서...
美 캘퍼스, 경영 관여 전략으로 수익 낸 비결은 2025-02-04 06:01:18
주주자본주의라는 2025년 한국 ESG의 지배구조 키워드를 연결 지으면, 캘퍼스 효과가 떠오른다. 캘퍼스 효과란 미국 최대 공적 연기금 중 하나인 캘리포니아 공무원연금(CalPERS, 캘퍼스)이 주주행동주의를 통해 목표 기업의 주가와 기업 지배구조에 미친 긍정적 영향을 뜻한다. 포트폴리오 수익률 개선을 위해 캘퍼스는...
트럼프 환심 사기…"美기업들, 보수적 시대정신 적응 서둘러" 2025-01-15 11:50:12
자유로운 자본주의 포용을 향하는 움직임을 가속했다고 짚었다. 기업들이 'DEI'(다양성·형평성·포용성) 정책 부서를 폐지하고, 인종 다양성 자선단체에 대한 지원을 줄이며 기후 변화 그룹에서 탈퇴하는 한편 광고 등에서 '워크'(woke·진보적 가치와 정체성을 강요하는 행위라는 비판적 의미로 사용되는...
쌓여가는 구조적인 인플레이션 상승 압력 2025-01-12 10:25:55
Fed와 정부가 적극적인 역할을 수행하면서 자본주의는 점차 ‘경기침체에 강한 자본주의’로 변했다. 특히 현대 복지정책을 확립한 계기가 된 1960년대 말 린든 존슨 미국 대통령의 ‘위대한 사회 (Great Society)’ 정책에서 추진된 사회보장, 실업급여, 노동계약 등의 복지정책은 사람들에게 물가가...
제너널리스트보다 스페셜리스트 [더 머니이스트-이윤학의 일의 기술] 2025-01-09 06:30:02
국가 부도 사태 이후 대한민국의 경제는 서구 자본주의에 밀려, 소위 '글로벌 스탠다드'에 따라 새롭게 디자인되기 시작했습니다. 대부분의 증권사는 미국식 구조와 문화로 빠르게 바뀌었습니다. 골드만 삭스, 모건 스탠리식의 분업이 이뤄지고, 리서치센터의 업무와 인력을 전문적으로 구성했습니다. 예컨대 기존...
이창용 "崔 대행, 정치보다 경제 고려해 헌법재판관 임명" 2025-01-02 09:30:01
총재는 "슘페터가 자본주의의 핵심 동력으로 강조한 '창조적 파괴'는 창조만큼이나 파괴에 방점이 찍혀있다"며 "혁신에 성공하지 못한 기업의 퇴출이 수반돼야 혁신 기업이 탄생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한국은 사회적 갈등을 관리하기보다는 안정을 추구한다는 이유로 이같은 '파괴'를 회피했다는 게 이...
"10년 지나도 1등할 기업에 투자하라"…美 증시에서 고수가 엿보는 기회 [이시은의 투자고수를 찾아서] 2024-12-25 10:00:03
윤 대표는 “미국은 어떤 정권이 들어서든 자본주의 시스템에 해가 되는 일을 절대 할 수 없다”고 단언했다. 정권 교체기에 불안감을 나타내는 투자자들이 많지만, 결국 실적과 개별 업황 가능성에 따라 주가가 움직이는 것이 미 증시라고 했다. 그가 “좋은 회사는 반드시 우상향한다는 믿음을 가지고 장기적으로, 적립식...
[백광엽 칼럼] '금융 권력화'의 우울한 미래 2024-12-17 17:32:23
많다. 하지만 단기 차익을 최우선하는 금융자본과 지속성장이 목표인 산업자본의 숙명적 충돌로 인한 파열음이 더 도드라져 보인다. 금융자본 헤게모니는 실로 유서 깊은 주제다. 루돌프 힐퍼딩(1877~1941)은 자본주의가 발달하면 은행자본과 산업자본이 결합해 독점금융자본으로 진화한다고 봤다. ‘금(은)산 분리’...
韓 경제, 어떻게 만들어 놓은 것인데? 野 3당 주도 첫 경제상황 점검, 모두 나설 때다! [한상춘의 지금세계는] 2024-12-10 07:37:00
- 자본주의 공약, 부패 온상인 국영기업 민영화 - 살인적 인플레 대책, 자국통화인 폐소화 폐지 - 중앙은행 폐지, 美 달러화를 법정통화로 도입 - 양대 난제 재정적자와 인플레, 정부 통제권에 - 주가, 1년전 대비 무려 135% 급등 ‘세계 최고’ - 성장률, ‘개혁의 J-커브 효과’로 내년부터 3% 대 Q. 말씀대로 중남미의...
'폴리코노미'의 해…정치 이슈가 경제에 미치는 영향 컸다 [한상춘의 국제경제 읽기] 2024-12-08 17:35:56
국민에게 돌려주는 ‘시장경제와 자본주의 공약’, 중앙은행과 페소화 폐지를 통한 ‘초인플레이션 대책’, 화폐개혁을 통해 법정 통화를 달러화로 하자는 달러라이제이션 등을 내걸었는데 하나같이 경제와 증시에 커다란 영향을 줄 정치 이슈였다. 아르헨티나는 3대 요건 중 가장 중요한 국민의 전폭적인 지지를 바탕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