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사이테크+] "장내 미생물이 단 음식에 대한 식탐에도 영향 미쳐" 2025-01-14 05:00:01
분비를 활성화하는 단백질로 긴사슬지방산 수용체인 유리 지방산 수용체4(FFAR4)의 수치가 낮은 것으로 밝혀졌다. 또 당뇨병 쥐는 혈중 FFAR4 수치가 낮을수록 설탕에 대한 선호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함께 FFAR4 수치가 낮아지면 장내 미생물인 박테로이데스 불가투스(Bacteroides vulgatus)와 그...
"황색포도알균이 아토피피부염 악화 원인" 2023-05-22 16:32:05
긴사슬 지방산의 비율이 적었으며, 피부장벽기능 유지에 불리한 짧은사슬 지방산의 비율이 커짐도 확인했다. 연구팀은 이러한 차이가 발생한 이유를 밝히기 위해 3차원 세포배양시스템을 통한 세포 실험을 진행했다. 그 결과 항생제에 민감한 황색포도상구균 (MSSA) 는 피부각질세포로부터 사이토카인(TNF-α, IL-1β)의...
잘 안 낫는 요로감염증, 항생제가 되레 재발 부추긴다 2022-05-10 17:47:26
장에 없었다. 부티라트는 항염(抗炎) 작용을 하는 짧은 사슬 지방산(short-chain fatty acid)을 말한다. 대조군의 여성 피험자는 방광 염증을 일으키기 전에 대장균을 제거할 수 있지만, 재발 병력을 가진 실험군 여성은 그렇게 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균이 방관에 침입했을 때 장 미생물의 매개로 촉발되는...
'로렌조 오일병' 유전자 교정으로 치료 가능성 확인 2021-08-31 09:00:01
31일 밝혔다. ALD는 지방산 운반을 담당하는 ABCD1 유전자의 변이로 인해 신경계와 부신피질 등에 긴사슬지방산(very long-chain fatty acid)이 비정상적으로 축적돼 신경세포를 파괴하는 질환이다. 환자의 뇌와 척수신경계에 이상을 일으켜 보행장애, 전신마비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현재 근본적인 치료법은 없으며 특수...
"단 음식 폭식, 염증성 장 질환 부른다…이틀만 먹어도 위험" <앨버타대> 2019-11-16 00:12:48
활동 에너지로 작용하고, 효율적인 면역 반응에 요긴한 `짧은 사슬 지방산(short-chain fatty acids)`도 생성한다. 반대로 섬유질 섭취를 줄이고 고당분 식을 늘리면 대장균 같은 유해균에 영양분을 공급하는 것과 같아, 염증과 불완전한 면역 반응을 유발할 가능성이 커진다. 그런데 고당분 먹이로 생긴 생쥐의 장 상피조...
"주말에만 단 것 폭식해도 염증성 장 질환 유발" 2019-11-15 16:27:29
반응에 요긴한 '짧은 사슬 지방산(short-chain fatty acids)'도 생성한다. 반대로 섬유질 섭취를 줄이고 고당분 식을 늘리면 대장균 같은 유해균에 영양분을 공급하는 것과 같아, 염증과 불완전한 면역 반응을 유발할 가능성이 커진다. 그런데 고당분 먹이로 생긴 생쥐의 장 상피조직 손상과 면역 반응 결함은,...
세계적인 ★들의 뷰티·건강 관리법 2019-04-16 15:30:00
중사슬 지방산이 함유돼 있어 건강 및 체중 감량에 효과적이다. 3. 시드물 ‘자연산 냉압착 호호바 오일’은 자연산으로 키운 호호바를 눌러서 압력으로만 짜낸 1차 냉압착 오일이다. 피부에 순수한 자연의 영양과 에너지를 전달하기에 건조하거나 탄력이 떨어질 때, 피부가 푸석푸석할 때 사용하면 즉각 효과를 볼 수 있을...
하루 한번 먹는 남성 피임약 개발 눈앞…'DMAU' 효과 확인 2018-03-18 23:00:00
유도하는 데에 문제가 있었다. 그러나 DMAU는 긴 사슬로 된 지방산인 운데카노에이트를 포함하고 있어 체내에서 빠져나가는 속도가 느리다는 것이 페이지 교수의 설명이다. 연구진은 워싱턴대 의료원과 캘리포니아주 토랜스에 있는 로스앤젤레스 캘리포니아대(UCLA)의 하버-UCLA 의료원에서 18∼50세의 건강한 남성 100명을...
한독, 희귀난치성 질환자들에게 '로렌조오일' 기부 2017-02-27 10:04:47
밝혔다. 부신백질이영양증은 긴사슬지방산이 분해되지 않고 세포에 쌓이는 병으로, 긴사슬지방산이 신경세포를 파괴하는 희귀난치성질환이다. 환자의 뇌에 염증이 생기고 시력·청력 상실, 전신마비 등의 증상을 보이다 결국 사망에 이른다. 국내 환자는 약 50여명 정도다. 현재 명확한 치료법은 없으며 특수의료용도식품인...
김동욱·유제욱 연세대 교수팀, '로렌조 오일병' ALD 발병 원인 규명 2016-10-30 19:29:51
이 병에 걸리는 것으로 알려졌다.연구진은 긴사슬 지방산이 염증을 직접 일으키지는 않고 2-hc라는 염증 유발 물질을 생성한다는 사실을 알아냈다.박근태 기자 kunta@hankung.com [한경닷컴 바로가기] [스내커] [모바일한경 구독신청] [한 경 스 탁 론 1 6 4 4 - 0 9 4 0] ⓒ 한국경제 & hankyung.com, 무단전재 및...