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롯데면세점, 중국인 보따리상과 거래 전면 중단…업계 처음 2025-01-12 06:31:00
12월 롯데면세점의 구원투수로 등판한 김동하 대표가 최우선 과제로 추진하는 면세업계 정상화와 체질 개선 노력의 일환이다. 김 대표는 신년사에서 "과거 면세점이 볼륨 중심의 성장에 집중했다면 이제는 수익성 중심의 경영 활동을 추진할 시점"이라며 "거시적 관점에서 사업성을 재검토하고 포트폴리오를 재조정해 중...
[인사] 고용노동부 ; 국세청 ; 병무청 등 2025-01-05 17:24:16
김동하▷정부정책사업센터 센터장 정홍균▷일터혁신센터 센터장 정현승▷디지털전략본부 본부장 오민협▷AI·빅데이터본부 본부장 손권상▷디지털테크센터 센터장 한소정▷스마트·PI본부 본부장 이민웅▷에너지·기후본부 본부장 이채성▷ESG·전략센터 센터장 오경석▷HR디자인본부 본부장 김미진▷공공교육본부 본부장...
롯데면세점, 다음 달 10일부로 명동쇼룸 '나우인명동' 영업종료 2024-11-29 12:07:39
이에 따라 롯데면세점은 롯데지주 HR혁신실 기업문화팀장 김동하 상무가 전무로 승진해 신임 대표이사를 맡는다. 롯데면세점 관계자는 "국내외 부실 점포에 대한 효율화 작업 필요성은 있지만 아직 구체적으로 논의 되는 사안은 없다"고 말했다. chacha@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인사] 롯데그룹 ; 효성 ; DB금융투자 등 2024-11-28 19:04:42
전무 김동하▷롯데이노베이트 대표이사 전무 김경엽▷롯데피플네트웍스 대표이사 상무 최인태▷한국에스티엘 대표이사 상무 윤우욱▷롯데베르살리스엘라스토머스 대표이사 상무 김해철▷롯데이네오스화학 대표이사 상무 성규철▷LC 타이탄 대표이사 상무 장선표◎보임▷호텔롯데 대표이사 부사장 정호석▷호텔롯데 롯데월드...
롯데케미칼·호텔, 1년 만에 수장 교체…칼 빼든 신동빈 2024-11-28 17:42:45
구조조정 중인 면세점 사업 대표에는 김동하 롯데지주 HR혁신실 상무가 전무로 승진해 내정됐다. 롯데월드 대표는 권오상 신규사업본부장(전무)이 맡는다. 이 밖에 롯데지주 커뮤니케이션실장에는 임성복 부사장이, 롯데이노베이트(옛 롯데정보통신) 대표엔 김경엽 전무가 선임됐다. ○임원 줄이고 조직 슬림화이번 인사의...
'위기의 롯데' 호텔롯데 대표 3명 다 바꿨다…유통·식품은 '1년 더' 2024-11-28 15:29:52
2년 만에 대표가 바뀌었다. 지주에서 근무해온 김동하 전무가 맡는다. 그는 이번 인사에서 전무로 승진했으며, 면세점의 신임 대표이사로 내정됐다. 김동하 신임 대표는 1997년 롯데웰푸드(舊 롯데제과)로 입사 후 롯데 정책본부 개선실, 롯데슈퍼 전략혁신부문장 등을 역임했으며, 2022년부터 롯데지주 기업문화팀장으로...
롯데 CEO 21명 교체, 역대 최대 규모 인사…3세 신유열 부사장 승진 2024-11-28 15:19:31
롯데면세점은 롯데지주 HR혁신실 기업문화팀장 김동하 상무가 전무로 승진해 신임 대표이사로, 롯데월드는 권오상 신규사업본부장 전무가 신임 대표이사로 내정됐다. 김동하 전무는 1997년 롯데웰푸드(옛 롯데제과)로 입사 후 롯데 정책본부 개선실, 롯데슈퍼 전략혁신부문장 등을 역임했으며, 2022년부터 롯데지주 기업문...
신동빈, 실적 부진 ‘화학군’ 대거 문책...임원 80% 짐 쌌다 2024-11-28 15:00:51
만에 대표가 바뀌었다. 지주에서 근무해온 김동하 전무가 맡는다. 그는 이번 인사에서 전무로 승진했으며 면세점의 신임 대표이사로 내정됐다. 김동하 신임 대표는 1997년 롯데웰푸드(구 롯데제과)로 입사 후 롯데 정책본부 개선실, 롯데슈퍼 전략혁신부문장 등을 역임했으며 2022년부터 롯데지주 기업문화팀장으로서 그룹...
미국·인도 제쳤다...중화권 펀드, 모처럼 반등 2024-09-26 17:36:02
상장지수펀드(ETF)는 일주일 만에 20% 가까이 주가가 뛰었습니다. 김동하 기자입니다. <기자> 중화권 펀드가 지난 한달간 국내 상장된 전체 펀드 가운데 지역별 수익률 1위를 차지했습니다. 미국(+2.0%)과 일본(-2.0%)은 물론, 질주를 이어가던 인도(+3.6%) 수익률의 2배가 넘습니다. 이달 초만 해도 중화권 펀드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