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필옵틱스, 유리기판 기술로 미래 시장 선도하나 2025-01-14 15:20:16
- 폴더블 디스플레이 레이저 장비 제조 및 납품 기업으로 폴더블폰 관련 수혜도 예상되며, 태양광 분야에서도 나노미터급 레이어 대응 가능한 레이저 장비 개발 완료로 향후 사업 다각화 모멘텀이 존재함.● 필옵틱스, 유리기판 기술로 미래 시장 선도하나 디스플레이 장비업체 필옵틱스가 유리기판 기술로 미래 시장을...
'사면초가' 한국 보란듯이…日 "반도체 전폭 지원하겠다" 2024-12-12 14:34:07
얇은 막으로 구성한 광원을 이용하는) 멤브레인형 반도체 레이저 실용화를 라피더스와 공동으로 연구하고 싶다”고 밝혔다. SEMI에 따르면 2027년까지 전 세계에 108개 반도체 공장이 신설될 예정이다. 지역별로는 아시아가 78곳으로 가장 많고 그중 11곳이 일본이다. 아지트 마노차 SEMI 회장은 “인공지능(AI)과 양자컴...
혈관확장 '스텐트' 재협착 부작용, 표면 '나노 주름'으로 막는다 2024-12-05 12:00:01
전인동 선임연구원 공동연구팀이 레이저 패터닝 기술로 혈관 내피세포 성장을 촉진하고 평활근 세포 탈분화를 억제하는 스텐트 표면처리 기술을 개발했다고 5일 밝혔다. 스텐트는 막힌 혈관을 확장해 혈류를 원활히 하는 관 모양 의료기기다. 금속이 재료로 주로 쓰이나 한 달이면 혈관이나 장기 벽을 만드는 평활근 세포가...
"반도체·전기차 공략…CNT 월드 넓히겠다" 2024-12-02 17:30:23
1·2나노미터(㎚·1㎚=10억분의 1m)로 미세화하면서 레이저 가공 온도가 높아졌다”며 “고온을 견디면서 노광 공정에서 발생하는 먼지를 걸러낼 수 있는 필터의 수요가 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CNT는 고온에 강해 해당 소재로 적합하다”며 “3~5년이면 CNT를 활용한 펠리클 소재를 시장에 본격적으로 선보일 수...
"국내 첫 '꿈의 신소재' 양산"…'1조 잭팟' 노리는 이 회사 [이미경의 옹기중기] 2024-12-02 15:22:12
대표는 "최근 반도체 회로선폭이 1·2나노미터(㎚·1㎚=10억분의 1m)로 미세화되면서 레이저 가공 온도가 높아지고 있다"며 "고온에서 견디면서 노광공정에서 발생하는 먼지를 걸러낼 수 있는 필터에 대한 수요가 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CNT는 고온에 강해 해당 소재로 적합하다"며 "3~5년이면 CNT를 활용한 펠리클...
한글 메시지 외계에 보낸다…'아레시보 메시지 50주년' 기념 2024-11-14 12:00:11
메시지를 10비트 디지털 데이터로 인코딩해 1천550나노미터(㎚, 10억분의 1m) 파장 레이저에 실어 우주로 전송한다. 태양계에서 40광년 떨어져 지구형 행성을 7개 보유한 항성 '트라피스트-1'을 비롯해 울프 1069, M13, 베가, 백조자리 16 등 외계 생명체가 존재할 것으로 추정하는 항성계가 목표다. 또 한글 이름...
"생체 플라스틱, 의료혁명 일으킬 것"…결함 유전자 갈아끼우고 피부도 완벽 재생 2024-10-14 17:39:40
레이저 실험실에선 고분자를 활용한 암 치료법을 연구하고 있었다. 단백질, DNA와 같은 자연에 존재하는 고분자를 인위적으로 만들어냄으로써 질병에 대처하는 실험이다. 그중에서도 막스플랑크는 나노미터 크기의 고분자 네트워크를 가진 나노젤 분야에서 가장 앞서 있다는 평가를 받는다. 나노젤은 다양한 항암제를 더...
올해 노벨 물리학상 'AI 머신러닝' 연구…역대 수상자는 2024-10-08 19:16:03
= 나노 기술 및 거대자기저항(GMR) 발견에 기여 ▲ 2006년: 존 매더·조지 스무트(이상 미국) = 극초단파 우주배경복사의 흑체 형태와 이방성(異方性) 발견, 은하와 별의 기원 연구에 기여 ▲ 2005년: 로이 글로버(미국) = 양자 광학이론 이용, 빛의 결맞음 이론 정립 공헌 존 홀(미국)·테오도어 헨슈(독일) = 레이저...
'CNC 시스템용 구동계' 국산화…기술 자립 앞장선 한국전기연구원 2024-09-29 16:23:30
오차를 레이저나 3D 스캔장비 등으로 측정해야 한다. 10여년 넘게 전기기계 시스템 분야 정밀제어 연구 역량을 축적해 온 KERI는 구동계가 요구하는 까다로운 조건들을 모두 충족하면서 국산화 개발에 성공했고, 공작기계 대표 기업인 현대위아, 디엔솔루션즈 업무 현장에서의 실증도 성공적으로 진행하고 있다. 현재 기존...
중국, 저해상도 DUV 개발…ASML 따라잡기 나서 2024-09-16 21:46:57
65나노미터 이상의 해상도를 가진 새로운 레이저 기반 심자외선 (DUV) 리소그래피 기계 상용화에 진전을 이루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16일(현지시간) 블룸버그 통신에 따르면, 중국 산업정보화부는 이달 발표한 공고문에서 국가 연계 기관들에 대해 국내 개발된 65나노미터 이상의 해상도를 가진 레이저 기반 심자외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