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HMM, 아시아-남미동안 신규 항로 개설 2025-01-16 16:29:21
남중국 - 싱가포르 - 히우그란지(브라질) - 산토스(브라질) - 산타카타리나(브라질) - 싱가포르 - 홍콩 - 부산 순이다. 남미동안 첫 기항지인 히우그란지에서는 아르헨티나와 우루과이로 연결되는 피더서비스를 자체 제공한다. 피더 서비스는 주요 항구와 소규모 항구를 연결하는 화물 운송 서비스를 말한다. 이 서비스를...
HMM, 아시아∼남미동안 항로 추가 개설…"글로벌 네트워크 강화" 2025-01-16 11:09:57
연결하는 HMM의 두 번째 항로다. 기항지는 부산, 남중국, 싱가포르, 브라질 등으로 항로 왕복에 총 77일이 걸린다. 일본 선사인 ONE과 공동 운항된다. 이번 항로 개설로 성장 잠재력이 높은 아시아∼남미 동안 시장 입지를 강화하고 한국 화주들의 원활한 수출입과 부산항 물동량 증대에 기여할 수 있다고 HMM은 설명했다....
에스엠상선, '작지만 강한 컨테이너선사'…13개 항로 운항 2024-12-04 16:02:41
한국 울산-베트남-남중국을 오가는 항로도 있다. 부산, 전남 광양, 인천 등 주요 항만에서 기항하도록 네트워크를 넓혔다. 지난 6월엔 HMM과 선복 교환을 통해 미주 노선을 총 3개로 확대했다. 아시아 역내 시장 점유율을 높이기 위해 선복 교환을 지속 추진하고 있다. SM상선은 선박의 친환경 설비에 지속 투자하고 있다....
[책마을] 한국인의 뿌리는 추위 피해 온 '기후 난민' 2024-09-13 17:24:03
북방에 정착했다가 다시 한반도로 내려온 남중국인과 비슷하다고 했다. 최근 중국 동북 지역의 ‘랴오허 문명’ 연구가 활발한데, 이 랴오허 문명과 유전적으로 가장 가까운 현대인이 한국인이라는 연구 결과가 나오고 있다. 일본 최초의 벼 농경 문화는 ‘아요이 문명’이다. 그 기원은 한반도 금강 중하류에 존재하던 송...
인천항만공사, 동남아 컨테이너 신규 항로 개설 2024-07-08 14:08:25
남중국 기항지 항로 연결을 통해 선사에 안정적인 선복을 제공하게 됐다. 연간 6만TEU 이상의 컨테이너 물동량이 창출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김상기 인천항만공사 운영부문 부사장은 “동남아시아로 향하는 서비스 신설로 인천항을 이용하는 수출입 기업의 원활한 물류를 지원할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 인천=강준완...
초유의 '살인 홍수'까지 덮쳤다…"금사과는 시작일 뿐" 2024-05-06 13:20:01
케냐와 남미 브라질의 댐이 붕괴되고, 남중국에서는 고속도로가 산사태에 매몰되는 등 피해가 속출하고 있다고 5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뿐만 아니라 두바이에서는 사막의 공항 이착륙장이 홍수로 물에 잠겼고, 호주에서는 광산이 물에 잠기기도 했다. 최근 수주 새 전 세계적으로 이어진 폭우와 ‘살인 홍수’는 지역·...
통킹만 '새 영해선' 그은 中, 남중국해 확장 기세…새 분쟁 불씨 2024-03-20 11:04:00
남중국해 확장 기세…새 분쟁 불씨 새 영해 기점 7곳 설정 후 직선 기선…사실상 영해·배타적 경제수역 '대폭 확장' '썰물 때만 드러나는 암초'에 영구시설물 세워 영해 기점 주장할 수도…주변국 긴장 (서울=연합뉴스) 인교준 기자 = 중국이 통킹만(중국명 베이부만)에서 사실상 영해를 대폭 확장하는...
[길따라 멋따라] 거란은 사라졌지만…'캐세이' 이름은 남았다 2024-02-17 11:00:01
개념이 없었다고 한다. 마르코 폴로는 남중국을 '만지'(Manzi)라고 표기했다. 그리스와 로마 시대에는 비단을 생산하는 지역을 '세레스'(Seres)라고 부르기도 했다. 실제 중국을 뜻하는 영어 명칭 '차이나'(China)가 통용된 것은 그리 오래되지 않는다. 차이나라는 명칭이 쓰이기 시작한 것은...
작년 '하늘 지름길'로 유류비 239억원 절감…탄소 6만5천t 줄여 2024-02-01 11:00:03
170만7천251㎞(79.57%↑) 증가했다. 단축항공로 이용은 남중국 노선(약 166만3천137㎞)에서 가장 많았다. 이어 미주·일본 노선(114만1천773㎞), 동남아시아 노선(57만9천802㎞) 순이었다. 국토부는 단축항공로 이용을 통해 지난해 약 4천487시간의 비행시간과 항공유 2만738t을 절약하는 경제적 효과를 냈다고 밝혔다. 또...
활짝 열린 하늘길…작년 항공교통량 전년 대비 45% 증가 2024-01-19 06:00:01
동남아·남중국·일본 노선의 비중이 48%를 차지했다. 반면, 지난 2022년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던 국내선 교통량은 해외여행 수요 증가로 전년 대비 약 11% 감소해 코로나19 이전 평년 수준의 국내선 교통량과 비슷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주요 공항별 항공교통량은 코로나19 종식에 따른 펜트업(pent-up·억눌렸던 소비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