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천자칼럼] 金에도 '김치 프리미엄' 2025-02-14 17:41:01
수년째 2500선 박스권에서 횡보 중이다. 금 가격 상승에 베팅하는 것은 투자자의 자유다. 하지만 20%에 가까운 추가 비용은 상당한 리스크가 있어 보인다. 역사적으로도 ‘광풍’을 추종한 투자는 대부분 끝이 좋지 못했다. 지금의 ‘금 김치 프리미엄’은 과도하다는 게 중론이다. 송형석 논설위원 click@hankyung.com
트럼프가 한국 경제 골든타임 단축시켰다고? No! 늘려줬다!! “조선과 방산주를 보라” [한상춘의 지금세계는] 2025-02-14 07:53:06
마련했습니다. 도움 말씀에 한국경제신문사의 한상춘 논설위원 나와 계십니다. Q. 오늘 뉴욕 증시는 상호관세를 부과했습니다만 오히려 증시는 올랐지 않았습니까? - 올해 1월 PPI 상승률, CPI 이어 예상치 상회 - 상호관세, 예정대로 교역상대국 대상으로 부과 - 부메랑 효과까지 차단, 우회 수출국가도 부과 - 상호관세,...
[천자칼럼] 흔들리는 이름의 법칙 2025-02-13 17:39:54
Y)과 ‘테크노 메카니쿠스’ 등 독특한 이름들이 있다. 재활용 로켓을 현실화했고 화성 개발의 꿈을 북돋운 머스크가 자식들 이름까지 파격적으로 지은 것을 괴짜의 일탈로만 치부할 일은 아닌 듯하다. 사회의 고정관념에 전혀 개의치 않는 모습에서 무한한 창의성의 비밀이 엿보인다. 김동욱 논설위원 kimdw@hankyung.com
트럼프도 당황! 1월 CPI 3% 대 재진입! 되살아난 스태그플레이션 공포, “美 증시서 돈 빼라” [한상춘의 지금세계는] 2025-02-13 07:54:46
문제를 알아보는 시간을 마련했습니다. 도움 말씀에 한국경제신문사의 한상춘 논설위원 나와 계십니다. Q. 오늘 뉴욕 증시는 1월 CPI 발표를 앞두고 파월 의장의 입에 주목하는 하루였지 않았습니까? - 올해 1월 CPI 상승률, 과연 3%을 넘어서나? - 필립스 관계 인용, 3%을 넘을 수 있다 진단 - 1월 CPI 3%, 근원 CPI 3....
[천자칼럼] '북한 형제국' 시리아와 수교 2025-02-12 17:26:06
높다고 한다. 미국도 제재를 부분 완화하는 등 과도정부에 손을 내밀고 있다. 시리아는 에너지, 통신, 도로 등 인프라, 교육, 보건 등 5개 분야에서 한국의 우선 지원을 기대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시리아 수교가 중동 지역에서 외교 역량을 높이는 또 하나의 계기가 되길 기대한다. 서욱진 논설위원 venture@hankyung.com
트럼프, 제2 폰지 사기 사건에 휘말리나? 흥분시켜라! 가격 뛴다!! 밈 코인, 심판대에? [한상춘의 지금세계는] 2025-02-12 07:10:35
시간을 마련했습니다. 도움 말씀에 한국경제신문사의 한상춘 논설위원 나와 계십니다. Q. 오늘 뉴욕 증시는 1월 CPI 발표를 앞두고 파월 의장의 입에 주목하는 하루였지 않았습니까? - 파월, 피벗 ‘속도 조절’과 ‘종료’ 동반 시사 - 인플레 재발 우려, 과연 1월 CPI 3% 넘나? - 트럼프의 관세와 연준 인사권, 에둘러...
[천자칼럼] 종이 빨대의 퇴장 2025-02-11 17:39:40
국제 공조가 흔들리고 있다.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NDC) 제출 현황에 이런 분위기가 고스란히 드러난다. 2015년 파리기후협약에 서명한 195개국 중 마감일인 지난 10일까지 NDC를 낸 나라는 10개국에 불과하다. ESG 경영에 열을 올리던 국내 기업들도 고민이 깊어질 것으로 보인다. 송형석 논설위원 click@hankyung.com
탄력받은 트럼프, 관세 부메랑 효과까지 차단! 닉슨 쇼크 우려되는 中, 日 전철 밟나? [한상춘의 지금세계는] 2025-02-11 07:59:14
도움 말씀에 한국경제신문사의 한상춘 논설위원 나와 계십니다. Q. 어제 이 시간에도 진단해 드리긴 했습니다만 이시바 총리가 US 스틸을 인수하지 않겠다는 소식에 뉴욕 증시도 크게 환영했지 않았습니까? - 트럼프, 이시바 회담에서 US스틸 정리 성과 - US스틸, 美 제조업과 근로자의 상징적 존재 - 이시바, “US스틸...
[천자칼럼] 아! 부산 2025-02-10 17:52:18
대표가 피습 직후 부산대병원에서 서울대병원으로 전원한 것은 부적절한 것이었지만, 지방 의료에 대한 불신을 보여주는 단적인 예이기도 하다. 지방 소멸은 이제 단순히 대응기금을 나눠주는 방식으로 해결될 수 있는 수준을 넘어섰다. 국가적 차원의 획기적 대책이 절실한 때다. 서욱진 논설위원 venture@hankyung.com
[시사이슈 찬반토론] 상장 폐지 요건, 완화해야 할까 2025-02-10 10:00:22
받아 억울한 일이 생기는 걸 막는 안전장치를 마련할 필요가 있다. 바이오 등 특례상장 기업에는 예외 기준을 적용하는 게 바람직하다. 중장기적으로는 매출과 시총 외 기업 가치를 평가할 수 있는 기술력, 연구개발(R&D) 등 추가적 지표를 도입하는 것도 검토해볼 필요가 있다. 서욱진 논설위원 ventur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