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책마을] 물고기가 거울 속 자신을 알아본다고? 2025-01-24 18:10:22
테스트를 진행했다. 청줄청소놀래기를 마취한 뒤 시야에 들어오지 않는 턱 밑에 기생충을 닮은 갈색 마크를 표시했다. 마취에서 깨어나 거울을 본 청줄청소놀래기는 턱 밑의 갈색 흔적을 발견하고 다소 어색한 몸짓으로 모랫바닥에 턱 밑을 비벼댔다. 물고기가 거울에 비친 대상을 자신으로 인식한다는 사실이 처음으로...
"해외 아닙니다"…울릉도 바다에 무슨 일이 2023-11-21 12:44:59
했다. 이밖에 열대·아열대성 어류는 용치놀래기와 놀래기 등이 많이 관찰됐다. 울릉도 해양생태계 변화 주원인은 해수 온도 상승이다. 국립수산과학원에 따르면 올해 8월 하순부터 9월 초순까지 한반도 주변 해역 표층 수온은 26도로, 위성을 이용한 표층수온 관측을 시작한 1990년 이래 가장 높았다. 이 기간 동해...
울릉도 횟집 메뉴 바뀌나…"열대·아열대성 어류가 절반" 2023-11-21 11:59:01
용치놀래기, 놀래기 등 열대·아열대성 어류도 주로 관찰됐다. 여름철 이후에는 동한난류에 실려 온 연무자리돔, 흰꼬리노랑자리돔, 검은줄꼬리돔, 큰점촉수 등 남방계 어린 물고기가 새롭게 발견되기도 했다. 동한난류란 대한해협에서 시작해 동해안을 따라 북쪽으로 이동하는 따뜻한 해류를 말한다. 연구진은 해수 온도...
"따단, 따단…" 수면 위 공포의 상어 지느러미는 '틀렸을수도' 2020-06-08 10:58:38
양놀래기, 가오리 등 다양한 종류의 물고기가 쏟아져 나왔다. 호주 연어 등 바닥이 아닌 곳에서 서식하는 표영성(漂泳性) 어종이 32.2%를 차지했지만 가오리류(14.9%)와 양태를 비롯한 바닥 서식 어종(17.4%), 산호초 물고기(5.0%) 등 바닥 근처나 바닥에 사는 물고기가 상당 부분을 차지했다. 나머지는 종류가 밝혀지지...
[ 분야별 송고기사 LIST ]-외신 2019-07-11 15:00:07
블루헤드 놀래기 암컷이 '대장' 잃고 수컷 된 사연 190711-0441 외신-033011:22 中전문가, 美 '110개 품목 관세면제'에도 "무역협상 신중해야" 190711-0447 외신-033311:23 美 연구팀, 전정 기능장애 쥐 치료 성공 190711-0449 외신-033511:26 델타항공 엔진고장으로 비상착륙…'엔진서 불꽃' 영상...
블루헤드 놀래기 암컷이 '대장' 잃고 수컷 된 사연 2019-07-11 11:20:33
연구팀은 산호초 주변에 사는 성전환 어류인 '블루헤드 놀래기'의 유전자 등을 분석해 성전환 과정을 규명한 연구 결과를 과학저널 '사이언스 어드밴시스(Science Advances)' 최신호에 발표했다. 블루헤드 놀래기는 머리 부분이 푸른 수컷이 몸집이 더 작은 노란색의 암컷들과 무리를 지어 생활하며,...
[여긴 가봐야지:충남] 보석같은 바다·계곡…접근성 최고 2019-07-11 10:30:02
놀래기, 붕장어 등을 낚을 수 있어 단체모임, 가족 단위 여행객들이 많이 찾고 있다. 가까운 곳에는 태안 8경의 하나인 안흥성이 있고, 인근 신진항을 방문하면 해상유람선을 타고 태안반도를 지켜준다는 전설의 바위인 '사자바위', 서해의 하와이로 불리는 '가의도', '독립문바위', '돛대...
뉴질랜드 바다의 '낯선' 열대어들…더워진 해수 때문에 2019-05-09 16:23:01
인근 바다에서 촬영한 어류 중에는 뎀젤피시(열대 자리돔), 놀래기(wrass), 쥐치무리 등이 포함되어 있었다. 뉴질랜드 환경보호부(DOC)는 자국 근해에서 연간 15마리 미만만 확인되는 어종을 '부랑자 종'으로 규정하고 있는데, 이들 물고기가 부랑자 종에 해당한다. 이들 어종은 남태평양 뉴칼레도니아와 호주, 멀...
"동해까지 아열대화 진행"…우리나라 해양 생태계 변했다 2019-02-21 11:00:00
황놀래기 등 난류성 어종이었다. 해수부는 "남해 바다뿐만 아니라 동해 바다도 아열대화가 진행되는 것으로 확인됐다"고 설명했다. 전남 신안 습지보호지역에서는 보호 대상 해양생물인 달랑게의 서식 면적과 개체 수가 급증했다. 바닷새도 출현 종과 개체 수가 증가했다. 제주 사수도에서는 보호 대상 해양생물인 슴새의...
NLL 침범 중국 보트 정선 명령 불응…1시간 도주하다 붙잡혀 2018-10-21 11:21:41
오후 7시께 옹진군 백령도 북서쪽 18.6km에서 NLL 이남 5.5km를 침범, 약 1시간 동안 해경의 정선 명령에 불응한 혐의를 받고 있다. 중국 선원 6명이 타고 있던 이 어선은 낚싯대를 이용해 우럭과 놀래기 등 70kg을 잡은 것으로 조사됐다. 해경은 이 보트를 인천해경부두로 압송한 뒤 선원들을 상대로 불법 어로 경위 등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