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기고] 쌀, 다시 소비자의 눈높이로 2025-02-13 18:09:41
추가됐다. 농업소득 정체 등으로 농가가 어려움을 겪고 농가의 절반 이상이 쌀농사를 짓는 상황에서 소득 증대를 도모하자는 취지에는 동감할 수 있다. 그러나 쌀소득 증대의 책임을 대부분 정부에만 맡기자는 법 개정안이 국민 동의를 충분히 얻어낼 수 있을까. 중장기적으로 우리나라 쌀산업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칠 수...
CU, 잉여 감귤 대량 구매…지역 농가 상생 앞장 2025-02-11 10:09:14
11월 출시한 바 있다. 해당 상품은 제주 감귤 슬라이스와 감귤 착즙액을 사용해 현재까지 약 546톤의 감귤을 소비했다. 제주 감귤을 대량 수매함으로써 제주 지역 농가는 추가 소득을 얻을 수 있는 한편, 미판매 물량을 해결할 수 있게 됐다. 장주현 BGF리테일 주류팀 MD는 "앞으로도 CU는 지역 농가와의 상생을 위해...
경남도 ‘농가소득 3종 세트’로 농업인 지원 2025-02-10 14:34:59
경상남도는 농가소득 안정과 농업·농촌의 공익기능 증진을 위해 농업인 지원 3종 세트 사업(기본형 공익직불금, 농어업인수당, 여성농업인 바우처)에 올해 3528억원을 투입한다고 10일 밝혔다. 먼저 기본형 공익직불금의 올해 사업비는 2665억원으로, 농지 면적이 0.1~0.5ha 이하인 농가에 지급되는 소농 직불금은 농가당...
경기도, '축산농가 태양광 설치' 지원 신규사업 추진 2025-02-10 12:16:47
달성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또 축산농가는 태양광 설치를 통해 온실가스 감축 및 설치 후 생산되는 전력의 판매(SMP)와 더불어 신재생에너지 공급인증서(REC) 판매 수익으로 축산업 소득 이외에 추가적인 농외수익을 창출할 것으로 보고 있다. 신종광 도 축산정책과장은 “태양광 설치 지원은 축산농가의 탄소중...
벼 대신 다른작물 심으면 '인센티브'…"쌀값 하락 막는다" 2025-02-04 11:00:06
작물로 농사를 전환한 농가를 지원하기 위해 전략작물 직불금 예산을 작년 1천865억원에서 올해 2천440억원으로 늘렸다. 친환경 직불금 단가도 인상했다. 농가가 논에 다른 작물을 재배할 수 있도록 생산 기반 지원을 확대하고, 전략작물 관련 제품 개발·판촉 지원을 강화하기로 했다. 농식품부는 지자체를 통해 타작물...
인도 농민 '대정부 농성장'서 또 사망…"40번째 사망자" 2025-02-01 15:15:14
전 약속한 농산물 최저가 수매보장, 농가소득 배증, 농가부채 탕감 등의 이행을 요구하며 지난해 2월 13일 농성을 시작했다. 농민들은 간간이 수도 뉴델리를 향한 행진을 시도했지만 경찰 저지선에 막히기도 했다. 이 과정에서 여러 명이 부상하기도 했다. 이들은 또 정부 측과 협상의 끈도 놓지 않고 있지만 진전을 보지...
[칼럼] 중소기업에게 ESG 경영은 새로운 도약이다 2025-01-24 09:08:48
식품기업 H사는 지역 농가와 상생 협력 모델을 구축해 안정적인 원료 수급과 함께 농가 소득 증대에도 기여했다. 충남의 중소기업 I사는 사내 육아시설 확충과 유연근무제 도입으로 여성 인력 이직률을 60% 낮추는 데 성공했다. 이처럼 ESG 경영은 중소기업에 다양한 기회를 제공한다. 최근 산업통상자원부 조사에 따르면,...
"벼 재배면적 감축 실패하면 올해 농업소득 1.9%↓" 2025-01-16 10:00:01
올해 호당 농가소득은 전년 대비 2.6% 늘어난 5435만원으로 전망됐다. 호당 농업소득은 2.7% 증가한 1312만원으로 예측됐는데, 이 역시 벼 재배면적 감축 사업에 실패할 경우 농가소득은 1.5% 늘어나는 데 그치고, 농업소득은 1.9% 줄어들 것으로 KREI는 예상했다. KREI는 올해 농가인구가 2.1%(200만2000명) 감소하고,...
농경연 "올해 벼 재배면적 8만㏊ 감축시 농업생산액 60조원" 2025-01-16 10:00:00
농외소득 증가, 경영비 감소 등으로 농가 한 곳당 소득이 5천435만원으로 작년보다 2.6% 증가할 것으로 내다봤다. 농가소득은 작년에 4.2% 증가한 데 이어 올해 역시 증가세를 이어간다는 것이다. 김용렬 농경연 농업관측센터장은 "올해 경영비는 작년보다 감소할 것"이라며 "경영비의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유가 하락으로...
[취업문 여는 한경 TESAT] 최고가격제 2025-01-13 18:58:05
실업이 늘어날 가능성이 크다. 농산물 가격 지지 정책은 농가 소득을 보장하기 위한 목적의 최저가격제다. 정답 ① [문제2] 어떤 상품에 정부가 최고가격제를 시행했다고 하자. 이때 나타날 수 있는 현상과 거리가 먼 것은? (1) 암시장 발생 (2) 수요 과잉 현상 (3) 상품 품질 저하 (4) 사회적 후생손실 발생 (5) 수요자 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