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유럽 승무원들도 한국오면 싹쓸이"…다이소 핫템 뭐길래 [트렌드+] 2025-02-12 05:49:01
나쁘지 않다고 생각했다"고 설명했다. 다이소가 다양한 색조화장품을 저렴한 가격으로 판매할 수 있는 이유에는 △대량 생산을 통한 원가 절감 △최소한의 포장 △박리다매 △마케팅 비용 최소화 등이 있다. 이러한 전략을 바탕으로 다이소는 저렴한 색조 화장품 라인 수를 계속 늘리고 있으며 소비자들에게 많은 관심을 ...
편의점서 무신사 옷 판다…"뷰티 이어 의류까지" 다이소와 경쟁 2025-02-11 09:53:43
최근 일주일(3~9일) 매출은 직전 동기 대비 21.2% 성장했다. 전체 화장품 매출도 성장세다. CU에 따르면 지난해 화장품 매출은 전년 대비 16.5% 성장했다. 업계 관계자는 "다이소가 유통 시장 전반에서 경쟁력을 발휘하는 가운데 편의점들도 유통 플랫폼으로서 입지를 강화하기 위해 취급하는 제품을 다양화하는 등 생존...
다이소도 결국 출시했다…발렌타인데이, 올해는 '이 제품' 유행 2025-02-06 20:03:02
균일가 생활용품점 다이소가 밸런타인데이를 맞아 '밸런타인 기획전'을 진행한다고 6일 밝혔다. 이번 기획전에서는 밸런타인데이 선물을 직접 준비할 수 있도록 초콜릿 DIY(Do It Yourself) 재료, 도구, 포장 용품 등 160여 종의 상품을 선보인다. 초콜릿 DIY 세트인 '바크 과일 초콜릿 만들기 세트'는...
"오빠를 위해 다이소에서 준비했어"…'이것'까지 판다고? 2025-02-06 10:52:21
아성다이소가 오는 14일 밸런타인데이를 앞두고 기획전을 연다. 초콜릿 재료와 자체 제작할 수 있는 DIY(Do it yourself) 세트, 포장용품 등 160여종의 상품을 선보인다. 특히 직접 초콜릿 선물을 만들어 정성과 마음을 전할 수 있는 DIY 세트를 다양하게 준비했다. 바크 과일 초콜릿 만들기 세트부터 꾸덕하고 쫀득한...
[차이나 역습]② '알테쉬'이어 '중국판 다이소'까지…유통망 장악 나선 중국 2025-02-02 07:00:08
오프라인 영역도 더는 안전지대가 아니다. '중국판 다이소'로 불리는 생활용품 업체 '미니소'의 한국 시장 재진입은 상징적인 일로 언급된다. 2016년 국내에 첫 매장을 연 미니소는 국내 소비자의 외면으로 2021년 철수했다가 지난해 12월 서울 종로구 대학로에 다시 매장을 개설했다. 1천원 상품 위주인...
다이소 짝퉁인 줄 알았더니…"이건 사야 돼!" 2030 몰렸다 2025-01-26 06:49:48
협업 지속이 성공의 열쇠 실제 다이소와 비슷하게 저가 전략을 폈던 미니소가 마케팅 방식을 바꾼 이유는 다이소와의 차별화에 실패했기 때문이다. 옥정원 부산가톨릭대 유통마케팅학과 교수는 “쉽게 말해 소비자들이 이용할 가치를 못 느낀 것이 실패의 주원인이다”라고 말했다. 그는 “미니소가 다이소보다 더 저렴한...
CU, 가성비 뷰티 확대…다이소와 정면승부 2025-01-22 17:35:24
화장품에 더해 색조 화장품까지 선보이며 다이소가 주도하고 있는 ‘가성비’ 화장품 시장 공략을 강화했다. CU는 립틴트, 립글로스 등을 파우치에 담은 소용량 색조 화장품을 출시한다고 22일 발표했다. 신상품은 △립컬러틴트 웜레드 △립컬러틴트 쿨핑크 △립글로스 투명 △올인원 스킨로션 등 총 4종이다. 주머니에 ...
CU, 가성비 화장품 색조로 확장…다이소에 도전장 2025-01-22 11:01:01
소용량 기초화장품 3종을 출시하며 다이소가 우위에 있는 가성비 화장품 시장에 참전했다. 뒤이어 미세침이 피부에 스며들며 효과를 내는 기능성 화장품 ‘시카 스피큘 앰플’ 3종, 핸드크림 3종을 추가로 내놓기도 했다. CU는 색조 전용 화장품으로 제품군을 넓혀 립틴트, 립글로스 등을 파우치에 담아 사용 편의성을 높인...
다이소 작정했구나…'일본제 상품' 몽땅 모았다는데 [이슈+] 2025-01-15 19:30:01
이에 다이소 측은 "일본 기업에 브랜드 로열티를 지급한 적 없으며 경영 개입 및 인적 교류도 없다"고 해명했다. 2023년 12월 박정부 다이소 회장이 일본 다이소가 갖고 있던 34%가량의 지분을 5000억원에 전량 매입하면서, 다이소는 드디어 '일본 기업' 논란의 종지부를 찍게 됐다. 최근 들어 일본 수입 상품은...
'중국판 다이소' 3년 만에 韓 귀환 2024-12-31 17:05:30
‘중국판 다이소’로 불리는 생활용품점 미니소가 3년 만에 한국에 재진출했다. 다이소와 비슷한 저가 생활용품부터 글로벌 지식재산권(IP)을 활용한 굿즈를 통해 시장 공략에 나섰다. 알리익스프레스·테무 등 중국 플랫폼이 국내 e커머스 시장에서 영향력을 확대하는 가운데 오프라인에서도 중국 유통의 공세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