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110만 탈모인 '희소식'…KAIST, 놀라운 연구 결과 내놨다 2025-02-06 09:46:51
단백질인 케라틴과 강하게 결합해 모발 표면에 지속적으로 부착될 수 있음을 보였다. 이를 활용해 특정한 탈모 완화 기능성 성분을 방출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했다. 연구팀은 살리실산과 니아신아마이드, 덱스판테놀 등 탈모 완화 기능성 성분 조합을 개발해 이를 '스캔달'이라고 이름붙였다. 탄닌산과 결합된...
대웅제약, 보툴리눔 톡신 '나보타' 사우디아라비아 출시 2025-01-31 08:50:46
불순물을 제거한 900kDa 복합체 98% 이상의 고순도 톡신으로, 빠르고 정확하게 효과를 구현할 수 있으며 건조 공정 중 빙핵이 형성되지 않아 내성을 유발하는 불활성 톡신 발생 가능성이 낮다고 회사가 전했다. 대웅제약은 나보타기 사우디아라비아 시장점유율 1위인 애브비 보톡스와 동일한 분자 구조(900kDa)를 가지고...
AI 활용해 단백질 입체구조 분석하고 설계…신약·백신 개발 활성화 2024-11-13 16:02:20
여러 분야에 활용될 것이다. 그동안 단백질의 입체 구조를 해석하는 전문가들은 거대복합체와 세포막에 존재하는 막단백질의 생산 및 결정화가 매우 어려워 입체 구조를 규명하는 데 많은 한계점을 가져왔다. 최근 초저온 전자현미경을 이용한 입체 구조 해석 방법은 이런 문제점을 극복하고 실험적으로 확보된 단백질 입...
파마리서치, 보톡스 영역 확장…자회사 톡신 정제기술 특허 2024-11-11 09:08:00
톡신부문 자회사 파마리서치바이오는 보툴리눔 톡신 단백질의 정제기술에 대한 두 건의 특허를 등록했다고 11일 밝혔다. 특허 명칭은 각각 '클로스트리디움 보툴리눔 독소 복합체 단백질의 정제방법'과 '비독소 단백질 제거가 완료된 클로스트리디움 보툴리눔 신경독소 단백질의 정제방법' 이다. 이번...
툴젠, RNP 원천특허 유럽에 이어 일본에 추가 등록 2024-11-01 10:21:29
이어, 2013년 8월 김진수 교수팀이 보고한 Cas9을 단백질 형태 그대로 세포 내로 전달하는 단백질-핵산 복합체(RNP) 전달 방식’의 우월성 및 그 특허성을 인정했다는 점에 큰 의미가 있다”고 했다. 이번 일본 특허는, 유럽 특허와 마찬가지로, 크리스퍼 유전자가위(CRISPR-Cas9) 시스템을 세포 내로 전달함에 있어서...
툴젠, 유럽에서 크리스퍼 유전자가위 전달 기술 관련 특허 등록 2024-10-22 11:08:19
: EP4357457B1). 크리스퍼-카스9 시스템은 카스9 단백질과 가이드 리보핵산(RNA)이 결합된 복합체로서 목표 유전자를 인식하여 특정 유전자 부위를 절단한다. 크리스퍼-카스9 작동원리를 밝힌 연구자들이 노벨상을 수상하게 된 2012년 논문 이후, 모든 관련 논문은 DNA 벡터나 메신저RNA(mRNA) 형태로 카스9을 세포에...
역대 노벨 화학상 수상자는…116회 걸쳐 195명 영예 2024-10-09 19:19:43
= 복합체 분석을 위한 다중척도 모델링의 기초 마련. ▲ 2012년 : 로버트 J. 레프코위츠, 브라이언 K. 코빌카(이상 미국) = 심혈관계 질환과 뇌 질환 등에 관여하는 'G단백질 연결 수용체'(GPCR)에 대한 연구. ▲ 2011년 : 다니엘 셰흐트만(이스라엘) = 준결정 발견 공로. ▲ 2010년 : 리처드 F. 헤크(미국),...
연세대의대 "겔솔린 단백질, 류머티즘 관절염 염증 억제" 2024-10-02 09:53:31
의대 의생명과학부 교수팀은 '겔솔린(GSN)' 단백질이 류머티즘 관절염 환자에게 많이 생기는 'NLRP3 염증복합체' 활성화를 억제한다는 사실을 밝혔다고 2일 발표했다. 류머티즘 관절염이 있으면 염증이 계속 생겨 관절이 망가진다. 연골과 뼈 손상으로도 이어지기 때문에 상태가 심각해지기 전에 빠르게 발...
AI로 항암제 ADC 개발 속도 낸다…'중대분자 연구센터' 출범 2024-09-26 16:38:09
안 단장은 "중대분자는 단백질에 결합하거나 항체에 붙어서 효과를 보이는 특성이 있다"며 "플랫폼을 만들게 되면 항체에 붙이거나 다양한 약물에 붙여 여러 방향으로 활용할 수 있다"고 말했다. 특히 항암 분야에 유망할 것으로 전망된다고 그는 설명했다. 안 단장은 "ADC의 경우 2023년 전체 항암제 시장의 5%를 차지하고...
한미약품, 해외 학회서 이중 억제 항암제 성과 발표 2024-09-19 15:17:11
억제해 세포 성장·분화를 조절한다. 이에 따라 암을 유발하는 단백질 복합체 '폴리콤 억제 복합체2'(PRC2)의 핵심 요소인 EZH1·EZH2 단백질을 동시에 제어할 경우, EZH2 등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것보다 효력, 내성 극복 가능성이 더 높다고 한미약품은 설명했다. 이번 ESMO에서는 현재 한국·호주에서 진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