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의석 64% 휩쓴 민주당…실제 득표율은 50.5% 2024-04-12 18:33:03
총득표 점유율에선 민주당이 49.9%, 미래통합당이 41.5%로 8.4%포인트밖에 차이 나지 않았다. 사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국회는 지난해 정치개혁특별위를 열어 중·대선거구제 도입을 논의했다. 하지만 현행 소선거구제의 수혜를 누리는 민주당이 미온적인 데다, 자신들의 의석이 줄어들 것을 걱정하는 대구·경북 등...
45%는 국민의힘 뽑았다…'승자독식' 소선거구제의 역설 2024-04-12 15:57:40
중대선거구제를 채택해 실효적 이익을 얻으려면 행정구역을 전면적으로 개편하는 과정을 동반해야 한다"면서 "행정구역 개편 없이 중대선거구제를 도입하는 건 기술적으로는 가능할지 몰라도, 여야 합의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그에 따라 발생하는 이익도 많지 않을 것으로 본다"고 덧붙였다. 보수 정당이 소선거구제 개편에...
이란 '히잡 시위' 뒤 첫 총선 강경파 압승…투표율 최저 2024-03-04 20:36:29
내무부는 1일 투표에서 대선거구제에 따라 당선 확정에 필요한 최소 득표율 20%을 넘긴 후보가 전체 290명 중 245명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AP 통신은 "당선자 245명 중 약 200명이 강경 보수파 진영의 지지를 받는 정치인으로 분석됐다"고 전했다. 온건파이거나 중도로 분류된 당선자는 45명 안팎으로 집계됐다. 이는 현...
한인 변호사, 인니서 첫 이민자 출신 의원 도전…SNS·언론 화제 2024-02-02 08:55:00
됐다. 인도네시아 총선은 대선거구제로 진행되며 자카르타 2선거구는 중부 자카르타와 남부 자카르타, 재외국민을 대상으로 총 7명의 국회의원을 뽑는다. 18개 정당에서 최대 7명씩 125명이 출마했다. 이처럼 많은 사람이 후보로 나오는 선거에 처음 출마한 그에게 가장 시급한 일은 인지도를 끌어 올리는 일이었다. 그는...
의원 24%만 "소선거구제 폐지"…선거제 개편 '용두사미'로 끝나나 2023-04-13 18:31:14
중대선거구제를 적용해 지역구당 3~5명씩 의원을 선출하는 것이 수도권 의석 확대에 유리하다. 윤상현 국민의힘 의원은 “1998년 소선거구제를 채택한 이후 한국 정치는 너무나도 양극화됐다”고 했다. 호남에 지역구를 둔 이용호 국민의힘 의원은 “전원위 논의가 시작된 이유는 현행 소선거구제에 대한 불신”이라면서도...
[사설] 복잡하기 짝이 없고 국민 지지 못 받는 선거제 개편 방안들 2023-04-11 17:54:22
중대선거구제+권역별·병립형 비례대표제, 소선거구제+권역별 준연동형 비례대표제, 개방명부식 대선거구제+전국·병립형 비례대표제 등이다. 그러나 의원들의 관심도가 떨어지는 데다 여론도 호응하지 않아 맥이 빠진 양상이다. 전원위원회 막판엔 의원 60명가량만 자리를 지키고 참석 의원 상당수가 졸거나 휴대폰을 보는...
오늘부터 전원위 '선거제 난상토론'…여야 의원 100명 출격 2023-04-10 05:58:28
준연동형 비례대표제 ▲ 개방명부식 대선거구제+전국·병립형 비례대표제 등 3가지 안을 담고 있다. 논의의 핵심은 중대선거구제 도입 및 비례대표제 확대 여부가 될 것으로 보인다. 이날 오후 2시 시작하는 1차 토론의 첫 주자는 민주당 윤호중 의원이 맡았다. 이어 국민의힘 최형두 의원이 바통을 이어받는다. 이날과...
'손익계산' 분주한 여야…선거제 개편 끝장토론 2023-04-09 18:11:43
대선거구제는 서울 등 대도시는 중대선거구제를 채택하고, 농어촌에선 현행 소선거구제를 병행하는 방식이다. 이에 따라 주요 도시에서는 소선거구 여러 개를 묶어 선거구당 득표 순으로 3~5명의 의원을 선출하게 된다. 19대 총선 이후 수도권에서 부진한 성적을 거둬온 국민의힘은 이를 통해 의석수를 늘릴 수 있을 것으로...
선거제 개편 성공 조건은…지역구 의원들 제 살 깎기 할까 [홍영식의 정치판] 2023-04-09 09:39:58
준연동형 비례대표제 △개방명부식 대선거구제+전국·병립형 비례대표제 등이다. 다만 이는 토론 주제로 올렸을 뿐 반드시 이 3개 중 하나를 선택하라는 것은 아니다. 크게 나누면 소선거구와 중대선거구제 중 하나다. 어떤 안이든 비례대표를 확대하는 것이다. 지금과 같이 한 지역구에서 한 명의 의원을 선출하는...
"국회의원 30명 감축" 위기 속 여당의 파격…야당 반응은 2023-04-08 06:58:01
'중대선거구제(도농복합형)+권역별·병립형 비례대표제'는 대도시와 농·어촌 지역구에 각각 다른 선거제를 적용하는 복합선거구제다. 대도시의 경우 지역구마다 3~5인을 뽑는 중대선거구제를 도입하고, 농어촌 지역은 1명을 선출하는 현행 소선거구제를 유지한다. 지난 총선에서 253개 지역구 기준으로 민주당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