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우미희망재단, 조선 무기제조 관청 '군기시'를 메타버스로 복원 2023-02-15 22:20:22
신기전, 대장군전 등의 화포 무기를 직접 발사해 볼 수도 있다. 1392년(태조 1년) 설치된 중앙관청인 군기시는 조선시대 군수물자에 대한 연구 및 보급·관리를 담당했던, 방위사업청과 유사한 국가기관이었다. 1884년(고종 21년) 폐지된 후 일제강점기에 사라졌다가 2009년 서울시 신청사 건축 과정에서 관련 유물이 대량...
"거북선 3층 규모 함포 19대…화력 뛰어나" 주장 제기 2018-07-20 22:25:57
공격형 군함이라는 뜻이다. 천자총통은 대장군전을, 지자총통은 장군전을 발사물로 쓴다. 현자총통과 황자총통은 크기와 무게가 다른 소연환을 각각 사용한다. 전체 길이 131㎝의 대형 포 천자총통만 놓고 보면 큰 발사 충격에 견디며, 좌우 무게 균형을 잡아주고, 거북선 선체의 무게 중심을 낮춰 안정성을 키워주며,...
'비장의 무기'는 황자총통… 한 번에 쇠구슬 20발 발사해 적군 순식간에 제압 2018-07-20 18:17:09
발사한 대장군전은 적선에 큰 구멍을 만들어 타격을 입히기 위해 적선 하층이나 1층 부분을 겨냥했다. 임진왜란이 끝나고 43년 뒤 편찬된《화포식언해》에는 “천자총통에서 발사한 대장군전 무게가 56근3냥(33.7㎏)인데 화약 30냥으로 900보(1080m)를 날려보냈다”고 기록돼 있다.천자총통이 파괴력이 강한...
채연석 UST 교수 "거북선 19개砲 갖춰 막강화력… 전면부 대형 화포는 획기적 발상" 2018-07-20 18:06:54
함대함미사일에 해당하는 길이 2.97m의 대장군전을 날리는 가장 큰 함포인 천자총통은 1층 전면에 자리했다. 전면 2층에는 대장군전보다는 작지만 파괴력이 큰 장군전을 쏘는 지자총통이 좌우에 1문씩 설치됐다. 화약을 많이 사용해 반동이 큰 천자총통과 지자총통은 배 좌우에서 발사하면 배가 좌우로 출렁이며 뒤집어지기...
국립진주박물관, 정유재란 특별전 내년 2월까지 연장 2017-10-31 17:27:38
화살인 대장군전, 가토 기요마사(加藤淸正) 초상 등은 원소장처로 반환돼 볼 수 없다. 정유재란 420주년을 맞아 기획된 이 전시는 강화 협상의 불발로 시작된 일본의 침략과 조명연합군의 반격, 종전 이후 동아시아 질서의 변화를 조명했다. 일본인들이 남해안 일대에 쌓은 성인 왜성(倭城) 관련 자료와 정유재란 상황을...
[ 사진 송고 LIST ] 2017-07-25 15:00:02
서울 이진욱 '폐지되고, 신설되고' 07/25 14:58 서울 김동민 대장군전 국내 최초 공개 07/25 14:58 서울 김동민 임진왜란때 사용된 대장군전 07/25 14:59 서울 유형재 '강릉의 맛입니다'…2018 강릉 특선음식 시식회 --------------------------------------------------------------------...
[ 분야별 송고기사 LIST ]-문화 2017-07-23 15:00:04
남자' "이슬람문화 희화 의도 없어" 사과 170723-0393 문화-0009 13:58 1세대 여성 행위예술가 정강자 화백 별세 170723-0399 문화-0010 14:03 조선수군이 임진왜란 때 쏜 대포 화살 '대장군전' 국내 첫 공개 -------------------------------------------------------------------- (끝) <저작권자(c)...
[ 사진 송고 LIST ] 2017-07-23 15:00:02
07/23 14:12 서울 권준우 김연경 '맹공' 07/23 14:13 지방 박상현 대장군전 07/23 14:14 지방 박상현 징비록 07/23 14:14 서울 전지혜 '제주의 비경' 원앙폭포에서 물놀이 07/23 14:14 서울 권준우 김연경의 '긴 서브' 07/23 14:15 서울 권준우 김연경의 '좁은 틈도 문제...
조선수군이 임진왜란 때 쏜 대포 화살 '대장군전' 국내 첫 공개 2017-07-23 14:03:26
대장군전을 전시한다고 23일 밝혔다. 이 대장군전은 1966년 10월 일본 규슈 사가(佐賀)현 가라쓰(唐津)성 천수각 개관 당시 일반에 처음 공개됐으나, 이후 수장고에 들어가 빛을 보지 못했다. 몸통 길이는 182㎝이며, 최대 지름 9.4㎝, 무게 10.6㎏이다. 머리 쪽에 박았던 철촉은 사라지고 없는 상태다. 철촉이 보통 10㎝...
용머리 만들어 입으로 포격…거북선 화포 배치 비밀 풀어 2015-10-15 18:43:51
적함 격파에 사용된 길이 2.6m의 화살인 대장군전(大將軍箭)을 천자총통으로 쏘려면 좌우가 아니라 배 전면에서 쏴야 했다는 것. 화약을 많이 쓰는 천자총통과 지자총통은 배 좌우에서 발사하면 반동이 커서 배가 좌우로 출렁이며 뒤집어지기 때문에 2층 전면에 배치했다는 얘기다. 다른 화포를 설치하기엔 공간이 부족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