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사이테크+] "4억5천만년 전 황금 벌레 화석…절지동물 진화 단서 제공" 2024-10-30 05:00:01
부속기관은 현재 곤충과 갑각류의 더듬이, 거미와 전갈의 집게와 송곳니 등과 유사한 부분이다. 로만쿠스 에지콤베이의 머리에는 먹이를 잡기 위한 사냥 도구 역할을 한 다른 메가케이란의 부속기관과 달리 발톱 크기가 훨씬 줄어들고 끝이 길고 유연한 채찍 모양의 편모 3개가 달려 있다. 이는 로만쿠스 에지콤베이가 이...
적외선도 감지하는 '모기'…퇴치 방법 찾았다 2024-08-23 13:06:08
모기의 더듬이 끝에 있는 열 감지 신경세포에 적외선을 감지하는 단백질이 있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더듬이 끝부분을 제거한 모기는 적외선을 감지하지 못했고, 온도에 민감한 단백질(TRPA1)의 유전자를 제거한 모기도 적외선을 감지하지 못했다. 연구팀은 체온에서 발생하는 9천300㎚ 파장의 적외선은 700㎚ 이하 파장에...
[사이테크+] 모기는 왜 나만 물까?…"체온에서 나오는 적외선도 감지" 2024-08-23 10:47:07
모기의 더듬이 끝에 있는 열 감지 신경세포에 적외선을 감지하는 단백질이 있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더듬이 끝부분을 제거한 모기는 적외선을 감지하지 못했고, 온도에 민감한 단백질(TRPA1)의 유전자를 제거한 모기도 적외선을 감지하지 못했다. 연구팀은 체온에서 발생하는 9천300㎚ 파장의 적외선은 700㎚ 이하 파장에...
"된장국에 다리 수십개 돈벌레가"…학식 위생상태에 '발칵' [이슈+] 2024-06-11 11:25:57
국그릇 안에는 다리와 더듬이까지 육안으로 확인되는 그리마(돈벌레) 한 마리가 있었다. 글쓴이 A씨는 "오늘 학교 식당에서 판 중식"이라며 "한 솥 퍼서 다 먹고 이제 봤다. 친구랑 다 게워냈다"고 성토했다. 식단표에 따르면 실제로 이날 배추된장국과 함께 돈까스, 단무지가 중식으로 나온 것이 확인됐다. 이외에 상추,...
버섯 사이로 이렇게 큰 벌레가…급식판 보고 '경악' 2023-11-29 13:52:12
반찬에서 더듬이와 다리 등이 온전히 남아 있는 벌레가 나왔다. 당시 이를 발견한 해당 학교 학생은 사진을 찍어 이튿날 오후 온라인 커뮤니티에 올렸다. 이후 27일에도 학생들은 학교 급식 반찬에 벌레 한 마리가 들어있는 것을 발견했다. 학교 관계자는 "급식소 공사로 인해 위탁업체로부터 도시락을 받아 지난 17일부터...
[사이테크+] "수컷 나방, 식물성 최음제 성분으로 암컷 유혹한다" 2023-08-02 07:10:34
사용하는 것으로 보인다. 또 암컷 나방은 더듬이에 MeSA에 민감한 냄새 수용체 2가지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암컷은 이를 이용해 수컷이 방출하는 페로몬 혼합물 속에 들어 있는 미량의 MeSA를 감지해 반응한다. 연구팀은 수컷의 페로몬 혼합물 속 MeSA 양을 줄이자 짝짓기 성공률이 떨어졌으며 수컷에게 소량의...
"홍삼 음료서 납 기준 초과 검출"…식약처, 회수 조치 2023-02-22 21:20:38
식품제조·가공업체인 영농조합법인 더듬이(벅스푸드·충남 금산군 소재)가 제조·판매한 `건강한 하루를 위한 홍삼벵이 진액`(혼합음료)에서 기준치를 넘는 납이 검출됐다고 22일 밝혔다. 이 음료에는 납이 기준치인 0.3㎎/㎏을 초과해 0.4㎎/㎏ 검출됐다. 식약처는 이 제품의 판매를 중단하고 유통기한이 2024월 12월...
소변 냄새 맡은 개미, 암 찾아냈다 2023-02-03 15:18:02
더 많은 시간을 보냈다. 개미는 더듬이에 있는 후각 수용체(olfactory receptors)를 활용해 암을 분별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소변에서 방출되는 미세한 VOCs를 감지한 것으로 추정된다. 개미는 먹이를 찾거나 잠재적인 짝을 찾는 행위 등을 후각 수용체를 통해 나서는데, 이번 연구에선 암까지 구분하는 데 성공한 것....
팔순 시인들 문장이 새로 돋는 잎처럼 푸르니 [고두현의 문화살롱] 2022-11-08 18:16:59
더듬이를 세웠으므로, 매 순간이 새싹이었다”는 자각과 함께 ‘‘지금’은 언제나 새로 돋아나는 잎’이라는 희망의 메시지를 뽑아 올린다. 입동에 읽는 팔순 시인들의 ‘새싹 같은 문장’은 우리를 스무 살 때처럼 설레게 한다. 젊은 감성의 표현법도 싱싱하고 반짝거린다. 그 향기로운 글맛을 즐기는 동안 우리 마음도...
참으로 우주롭다…선과 구로 조각한 '미지의 세계' 2022-09-22 16:53:51
더듬이 길이가 서로 다르다. ‘무제’(1990)는 대칭에서 완전히 벗어나 있다. 불완전한 형태들이 서로 엮여 있지만 이들은 미묘하게 균형을 이루고 있다. 문신은 작품을 만들기 전에는 수많은 드로잉으로 촘촘히 구성을 설계했지만, 막상 기구를 손에 쥐는 순간엔 그의 본능에 맡겼다고 했다. “나는 신처럼 창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