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삼성의 ‘반도체 트릴레마’… 사상 초유 위기, 해법은?[퇴색하는 K반도체 신화①] 2025-02-03 07:24:53
삼성 반도체가 들어가지 않는다. 갤럭시25의 ‘두뇌’에 해당하는 애플리케이션프로세서(AP)는 미국 퀄컴의 제품인 ‘스냅드래곤 8 엘리트’가 전량 탑재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삼성전자 반도체(DS) 사업부의 ‘고객’이라 할 수 있는 모바일(MX)사업부가 자사 AP인 엑시노스 대신 더 비싼...
[사이테크+] "장내 미생물이 단 음식에 대한 식탐에도 영향 미쳐" 2025-01-14 05:00:01
중국 다롄 화학물리연구소 신먀오량 박사팀은 14일 과학 저널 네이처 미생물학(Nature Microbiology)에서 인간과 생쥐 실험을 통해 장내 박테리아가 식이 설탕 섭취에 대한 선호도 조절과 관련이 있다는 사실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동물은 생물학적으로 당분을 좋아하도록 타고나지만, 당분 선호도가 관리되지 않으면 당분...
스터디카페 브랜드 작심, 카이스트 공대생 인플루언서 허성범 모델 발탁 2025-01-13 09:00:00
한국과학영재학교 및 카이스트 공대생 출신의 모델이자 유튜브 크리에이터로 쿠팡플레이의 두뇌 서바이벌 프로그램 '대학전쟁'에 출연하면서 얼굴을 알렸다. 이후 뛰어난 외모와 유튜브 채널에 올린 '카이스트 공대생 출신 모델이 풀어주는 수학 풀이' 영상이 화제가 되고 'SBS 손대면 핫플-동네멋집,...
추억의 '과학상자' 역사 속으로 2025-01-12 18:11:55
모델 표지에는 ‘자라나는 세대에 과학적인 두뇌를 개발시켜 과학화 시대의 자녀를 현명하게 키웁시다’라는 문구가 담겨 있었다. 한때 과학상자로 창의력을 뽐내는 경진대회도 열렸다.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과학상자가 영업을 종료한다는 소식을 들은 누리꾼들이 “아직도 판매하는 줄 몰랐다” “어릴 적 추억이 사라...
"어릴 때 많이 했는데"…'추억의 과학상자' 이젠 역사 속으로 2025-01-12 14:37:02
초기 모델에는 '자라나는 세대에게 과학적인 두뇌를 개발시켜 과학화 시대의 자녀를 현명하게 키웁시다'라는 문구가 표지에 담겨 있었다. 한때 과학상자로 창의력을 뽐내는 경진대회도 열렸었다. 온라인 커뮤니티에는 과학상자가 영업을 종료한다는 소식을 접한 누리꾼들이 "아직도 판매하는 줄 몰랐다", "어릴 적...
"자녀를 현명하게 키웁시다"…과학상자, 이제 추억 속으로 2025-01-12 10:41:20
모델에는 '자라나는 세대에게 과학적인 두뇌를 개발시켜 과학화 시대의 자녀를 현명하게 키웁시다' 등의 문구가 있어 과학 교재로서의 정체성을 확인해볼 수 있다. 과학상자가 영업을 종료한다는 소식을 접한 네티즌들은 아쉬운 반응을 보였다. 한 네티즌은 "과학상자를 갖고 놀며 기계에 대한 관심이 커졌다"며...
AI 다음 격전지는 '휴머노이드'…엔비디아·테슬라가 또 패권 잡는다 2025-01-12 09:45:05
로봇이 알고리즘에 따라 반복작업을 수행했다면 첨단 로봇은 AI 두뇌를 탑재해 인지와 추론이 가능해졌다. ‘집게손(그리퍼)’이 전부였던 로봇에 ‘손가락’이 생겼다는 건 물리적인 기술의 진보를 의미한다. 테슬라의 옵티머스는 손가락으로 계란을 잡아 올려 냄비에 삶는 작업까지 할 수 있다. 초소...
추억의 공구함 '과학상자' 이달 영업 종료 2025-01-12 09:42:14
영업을 종료한다. 12일 업계에 따르면 주식회사 과학상자(구 제일정밀)는 오는 24일 영업을 종료한다고 홈페이지에 공지했다. 1982년 출시된 과학상자는 볼트·너트·금속·플라스틱 등 다양한 부품을 포함해 이용자들이 자동차 등 원하는 모형을 자유자재로 만들 수 있는 '꿈의 공구함'이다. 투박한 디자인의 철제...
젠슨황의 나비효과…양자컴 논란, 누구 말이 맞나 2025-01-10 15:12:31
어떻게 달라지는 걸까요? <기자> 양자컴퓨터의 두뇌인 QPU는 지금의 AI 성능보다 훨씬 빠르고 정확한 분석이 가능합니다. QPU가 더욱 고도화 되면 기존 수퍼컴퓨터보다 30조배 이상 빠른 연산이 가능합니다. 즉, 수퍼컴퓨터로도 몇 년이 걸리는 데이터를 양자컴은 몇 초 만에 처리할 수 있는 겁니다. 현재는 데...
19세기 학교서, 20세기 교원이, 21세기 학생 가르치는 나라 2025-01-08 17:35:33
‘두뇌 유출’ 현상도 심해지고 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 따르면 지난 10년간(2013~2022년) 해외 대학원에 진학한 학생은 9만6062명에 달했다. 인구 10만 명당 석·박사급 이상 핵심 인재의 미국 영주권 신청이 가장 많은 나라도 한국이다. 지난해 미국 정부가 석·박사와 C레벨 인재에게 발급하는 EB-1·2 취업비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