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中 항저우 '혁신 허브도시' 질주에…'아우'격 난징서 자성론 2025-02-13 10:45:48
배출하지 못했나', '항저우에는 딥시크가 있는데, 난징에는 뭐가 있나'는 기사를 실었다. '항저우 류샤오룽'은 가성비 생성형 인공지능(AI)으로 세계를 깜짝 놀라게 한 딥시크와 휴머노이드 로봇업체인 유니트리, 중국 온라인 게임의 새 역사를 쓴 '검은 신화:오공' 개발사 게임사이언스 등...
'비과세 배당' 외인도 관심...지속성 관건 [마켓딥다이브] 2025-02-11 15:16:11
에코프로, 한미사이언스 등이 작년에 참여한 바 있습니다. 하지만 기대와 달리 모든 회사가 비과세 배당을 할 수 있는 건 아닙니다. 자본준비금과 이익준비금 합이 자본금의 1.5배를 초과할 경우만 가능합니다. 단점도 있습니다. 자본준비금을 배당으로 전환하면, 미래 투자에 활용할 자금이 제한적일 수 있습니다. 또한,...
딥시크 "허위정보·위조계정 주의"…각국 차단 확산 속 첫 입장(종합) 2025-02-07 10:42:28
소속 국가들도 딥시크의 위험성을 면밀히 주시하고 있으며 각국 기업과 금융기관들도 속속 딥시크 차단에 나서고 있다. 딥시크는 '허위정보와 위조계정'의 구체적 사례를 언급하지는 않았다. 다만 중국에서는 딥시크 관련 사칭 계정이 문제를 일으킨 바 있다고 펑파이는 전했다. 최근 중국의 지식검색 사이트...
구광모 '인류 무병장수의 꿈'…LG, 신약개발 AI 만든다 2025-02-06 17:31:16
LG사이언스파크에서 백민경 서울대 생명과학부 교수와 ‘차세대 단백질 구조 예측 AI’ 개발을 위한 공동 연구 계약을 맺었다고 6일 밝혔다. 백 교수는 지난해 노벨화학상을 받은 데이비드 베이커 미국 워싱턴대 교수와 함께 단백질 구조 예측 AI인 ‘로제타폴드’를 개발한 세계적인 연구자다. LG AI연구원은 백 교수팀과...
AI패러다임 깬 '中변방의 아웃라이어', '결핍·경쟁·기술'이 혁신 원동력 2025-02-05 18:00:59
발전기금을 축적했다. 딥시크 충격을 계기로 자유민주주의 대한민국의 장점을 살려 AI 시대를 헤쳐나갈 국가 미래를 이제 진지하게 고민할 때다. 차상균 서울대 데이터사이언스대학원 초대 원장 ■ 차상균 교수는 △1958년생 △서울대 전기공학과 졸업 △美 스탠퍼드대 전기컴퓨터공학 박사 △미국 텍사스인스트루먼트...
기업 R&D 미중 쏠림 심화…중국 10년간 투자액 11.5배 늘려 2025-02-05 12:00:01
미국 길리어드 사이언스(3.4배), 애브비(3.1배), 브리스톨 마이어스(3.1배), 아스트라제네카(3배)의 투자액 증가 속도가 높았다. 국내 기업 중에서는 한미약품의 R&D 투자액이 10년간 2배 늘어나 가장 많았다. 김현수 상의 경제정책팀장은 "중국 딥시크(DeepSeek)의 등장에서 보듯이 산업별 선도 기술을 둘러싼 기업 간...
딥시크 창업자 배출한 '인재 요람' 항저우…스타트업 '6룡' 주목 2025-02-05 09:24:36
것이다. 딥시크를 제외하면 6룡에서는 로봇업체인 유니트리(U, 宇樹科技)와 딥로보틱스(DEEP Robotics, 雲深處科技)가 단연 눈에 띈다. 유니트리는 올해 춘제(春節·중국의 설) 갈라쇼에서 군무를 추는 휴머노이드 로봇 'H1'을 공개해 대중에게 이름을 각인시켰다. 싱가포르의 전력터널 순찰에 투입된 딥로보틱스의...
게임 · 건기식 · AI...조정장 속 빛나는 성장주 2025-02-03 13:41:08
- 이스트소프트: 딥시크 이슈 및 MS와 페르소나AI 계약 체결 이력으로 AI 소프트웨어 분야 수혜 기대. 샘 알트만의 방한 등 이벤트로 당분간 관심 지속 전망.● 게임 · 건기식 · AI...조정장 속 빛나는 성장주 게임주 크래프톤이 올해 매출 12% 성장과 영업이익 1.3조 원대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AI 관련 신규...
우주 교통사고 막는 앙상블 AI, 플라즈마와 만났다 [이해성의 퀀텀 솔러스] 2025-02-03 10:59:13
사이언스 담당 이해성 기자입니다. 앞으로 퀀텀 솔러스(Quantum Solace)란 이름으로 온라인 고정 코너를 연재합니다. 100여 년 축적의 역사를 딛고 비상하는 양자(Quantum) 기술을 비롯해 인공지능(AI)과 반도체, 우주·항공, 방위산업, 원전·핵융합·수소 등 에너지, 첨단 로봇, AI·퀀텀 바이오 등 국가전략기술 전반을...
中이 10년 공들인 SW…'인재군단·칩·데이터' 만나 딥시크로 꽃폈다 2025-01-31 17:48:43
‘딥시크 충격’은 세계 인공지능(AI) 질서를 미국 독주에서 미·중 양강 구도로 바꿔 놓을 것이란 분석이 나올 만큼 엄청난 파장을 불러왔다. 전문가들은 약 10년에 걸친 중국의 ‘소프트웨어(SW) 대계’가 낳은 결과물이라고 입을 모았다. 차상균 서울대 데이터사이언스대학원 초대 원장은 “저장대를 나온 비주류 청년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