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유방암 걸리면 당뇨병 따라온다…"암세포가 단것 좋아해" 2022-06-02 20:38:23
뒤 랑게르한스섬에 들어가 마이크로RNA-122를 풀었고, 이렇게 되면 인슐린을 분비해 혈당 수위를 정상으로 유지하는 랑게르한스섬의 기본 기능이 손상된 것이다. 암세포의 이 같은 행동은 단것을 좋아하는 성향에서 비롯됐다고 연구팀은 전했다. 암 종양이 빠르게 성장하려면 에너지원인 포도당을 정상세포보다 훨씬 많이...
유방암에 걸리면 왜 당뇨병이 따라올까 2022-06-02 17:39:58
뒤 랑게르한스섬에 들어가 화물(마이크로RNA-122)을 풀었다. 이렇게 되면 인슐린을 분비해 혈당 수위를 정상으로 유지하는 랑게르한스섬의 기본 기능이 손상됐다. 암세포의 이런 행동은 단것을 좋아하는 성향에서 비롯된다. 암 종양이 빠르게 성장하려면 에너지원인 포도당을 정상 세포보다 훨씬 더 많이 써야 한다. 작은...
1형 당뇨병 세포 이식 치료, 거부반응 없이 가능하다 2022-05-17 17:45:52
있는 췌장의 랑게르한스섬을 이식하는 게 1형 당뇨병의 유력한 치료법이 될 수 있다. 하지만 이런 세포치료는 거부 반응이 심해, 설사 효과를 본다고 해도 평생 면역억제제에 의존해야 한다. 1형 당뇨병 환자에게 랑게르한스섬을 이식할 때 거부 반응을 피할 수 있는 획기적인 치료 전략이 개발됐다. 간단히 말하면 신종...
췌장 인슐린 세포의 '유전자 신분증', 당뇨병 치료 신기원 열까 2022-04-20 17:33:15
각각 다른 호르몬을 분비하는 이들 세포는 '랑게르한스섬'이라는 섬 모양의 췌장 조직에 모여 있다. 췌장의 베타 세포가 파괴되거나 그렇지는 않은데 충분한 양의 인슐린을 만들지 못하면 먼저 고혈당증(hyperglycemia)이 오고 머지않아 당뇨병으로 이어진다. 당뇨병을 연구하는 과학자들은 오래전부터 췌장 베타...
제 기능 다 하는 랑게르한스섬, 이제 줄기세포로 만들 수 있다 2022-03-04 17:31:34
랑게르한스섬'을 줄여서 '줄기세포 유래 섬'(SC-islet)이라고 한다. 보통 성인의 췌장엔 약 300만 개의 랑게르한스섬이 있다. 인슐린을 만드는 베타세포, 글루카곤을 만드는 알파세포 등이 섬 모양으로 모여 있어 이런 이름이 붙었다. 많은 진전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 시험적으로 배양된 SC-islet은 분명한...
"혈당 관리, 불면증보다 야식이 훨씬 더 나쁘다" 2021-12-04 23:19:38
건강한 사람의 랑게르한스섬(좌)에는, 인슐린 생성 베타 세포(녹색)가 압도적으로 많고 글루카곤 생성 알파 세포(적색)는 얼마 되지 않는다. 반대로 당뇨병 환자의 랑게르한스섬(우)은 대부분 알파 세포로 덮여 있다. 연구팀은 중앙 생체시계와 주변 생체시계가 서로 맞지 않는 걸 원인으로 지목했다. 비유하자면 중앙...
美버텍스, 줄기세포로 1형 당뇨 완치 가능성 제시[이우상의 글로벌워치] 2021-10-19 14:20:06
VX-880은 줄기세포를 분화시켜 얻은 랑게르한스섬 베타 세포로 구성됐다. 버텍스는 투여 후 90일간 환자의 체내에서 정상적으로 인슐린을 분비했을 뿐만 아니라 인슐린의 적정량을 조절하는 기능까지 확인했다. 이전에도 환자에게 랑게르한스섬 베타 세포를 이식하는 시도가 있었지만 이식한 세포가 체내에서 장기간 생존...
하버드대 연구진, 인슐린 세포 보호하는 '이중 피막' 기술 개발 2021-09-07 17:33:04
조직과 비슷한 상태에서 외막의 유공(有孔) 섬유를 통해 CC까지 흘러간다. 이 유공 섬유도 인슐린과 글루코스(포도당)를 통과시키지만, CC 내부의 세포를 공격할 위험이 있는 핵심 면역 분자는 차단한다. 논문의 공동 저자인 하버드대 줄기세포 연구소의 더그 멜턴 박사는 "줄기세포 유래 섬(랑게르한스섬)을 이용하는 1형...
"면역 반응 피하는 랑게르한스섬, 줄기세포로 첫 배양" 2020-08-21 17:00:50
기증자의 췌장 조직에서 분리한 랑게르한스섬을 이식하는 게 지금으로선 마지막 치료적 대안이다. 랑게르한스섬은 인슐린을 생성하는 췌장 베타 세포가 모여 섬 모양을 형성한 걸 말한다. 그러나 이것 또한 면역 억제제를 지속해서 복용해야 하는 불편과 위험이 따른다. 면역 능력을 지나치게 억제하면 감염 등 질병 발생...
"인슐린 세포 이식의 난관, 양막 상피세포로 돌파한다" 2019-11-07 16:48:47
당뇨병 환자를 치료하는 최후의 수단은, '랑게르한스섬(Langerhans islets)'으로 알려진 췌장의 세포 클러스터(세포 덩어리)를 이식하는 것이다. 세포가 모여 섬처럼 보이는 랑게르한스섬은 하나의 내분비 조직으로 인슐린이나 글루카곤 같은 호르몬을 분비해 체내 혈당을 조절한다. 자가면역 질환으로 추정되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