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딥시크가 HBM 시장도 흔든다…SK하이닉스·삼성전자 '촉각' [황정수의 반도체 이슈 짚어보기] 2025-01-28 18:03:08
주가가 급락한 이유는 '굳이 엔비디아의 값비싼 AI 가속기를 써야 하냐'는 데서 출발한다. 최근 2~3년간 빅테크들은 A100, H100, GB200 등의 이름이 붙은 엔비디아의 최고 사양 AI 가속기를 구하기 위한 경쟁을 벌였다. 미국 실리콘밸리에서 "새로운 AI 모델을 구축하는 데 들어가는 계산과 데이터를 크게 확장하면...
"전자제품계 다이소냐" 열광…인기 폭발한 30만원대 노트북 2025-01-16 08:30:01
꼽힌다. 판매가는 39만8000원. 베이직북14 3세대는 8기가바이트(GB) 램(RAM)과 256GB 솔리드스테이트드라이브(SSD) 사양을 갖췄다. 중앙처리장치(CPU)는 인텔의 보급형 프로세서 제품군인 N시리즈(N5095)를 탑재했다. 8GB 램 용량은 크롬 브라우저 19개, 엑셀 파일 2개, 카카오톡 메신저, 파워포인트 파일 2개, 워드 파일...
[로봇개발사 '이 종목'..삼전이 최대 주주 됐다] -와우넷 오늘장전략 2025-01-02 09:40:47
‘램시마SC’까지 합치면 점유율은 84.2%로 높아져 - 바이오시밀러 시장 우호 정책을 펴는 유럽은 한국에 ‘기회의 땅’. 글로벌 바이오시밀러 시장은 2030년 107조7000억원으로 연평균 17.3% 커질 전망. 유럽은 세계 바이오시밀러 시장의 절반가량을 차지하고 미국보다 큰 시장을 형성하고 있어. 업계 관계자는 “우리...
"올해 초 메모리값 일제히 하락"…'믿을맨'은 또 HBM? 2025-01-01 07:00:02
메모리값 일제히 하락"…'믿을맨'은 또 HBM? 1분기 D램·낸드 최대 13∼15% 하락…'반도체 한파' 우려 올해 HBM·기업용 SSD 수요 견조…中 DDR5은 변수 될 듯 (서울=연합뉴스) 강태우 기자 = 지난 2023년 매서웠던 '반도체 혹한기'를 겪은 뒤 지난해 겨우 한숨을 돌렸던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가...
D램값 하락세 넉달 만에 멈췄다 2024-12-31 18:59:36
“PC 기업이 D램 재고를 줄인 데다 10~11월 대규모 계약이 마무리돼 12월 가격이 안정적으로 유지됐다”고 했다. 이어 “PC업체는 올 1분기에도 반도체 재고를 계속 줄일 것”이라며 “중국 창신메모리테크놀로지(CXMT)의 생산능력 확대로 D램 공급 과잉은 지속될 것으로 전망된다”고 했다. 황정수 기자 hjs@hankyung.com
반도체·가전 수출 혹한기 찾아온다 2024-12-22 12:28:32
분기보다 악화될 것으로 예상되면 100보다 작은 값을 가보인다. 품목별로는 주요 15대 품목 중 10개 품목이 100보다 낮은 값을 기록해 수출 여건이 악화될 것으로 내다봤다. 특히, 가전(52.7)은 주요 수출대상국인 북미·EU의 수요가 위축돼 수출 역성장 가능성이 가장 크게 나타났다. 중국의 범용 D램 수출 증가로 인한...
韓 리더십 공백…트럼프 대응 골든타임 날릴판 2024-12-09 18:29:51
원자재값 상승뿐 아니라 글로벌 투자 비용과 외화 부채 증가로 손실을 보게 됩니다. 국내 주요 기업들이 최근 글로벌 시장 진출을 위해 해외 현지 투자를 본격화하면서 고환율에 따른 이익보다 손실이 커지고 있습니다. 대표적인 예시로 국내 1위 수출품인 반도체 기업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는 미국에 공장을 짓기 위해...
삼성전자·키옥시아 낸드 감산 전망…회복 늦어지나 [장 안의 화제] 2024-12-02 15:47:11
있는 것 같아요. 엔화값이 점차 강세를 보여주고 있고요. 그렇기 때문에 지금 상황에서는 지금 구간 코스피 코스닥 올해 8월에 있었던 엔캐리 청산에 대한 구간이기 때문에 여기서 바닥을 잡히지 않겠냐는 희망을 우리가 충분히 가질 수는 있겠습니다마는 역시나 지금 상황 바닥을 함부로 우리가 예측을 하기보다는 좀 더...
‘사면초가’ 삼성전자, 본질 경쟁력에도 의구심 2024-12-02 06:00:11
D램 비트그로스(Bit Growth: 비트 단위 출하량 증가율)는 전분기와 동일하고 낸드는 한 자릿수 감소했다고 밝혔다. 4분기에는 D램마저 출하량이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10월 반도체 생산 증가세가 14개월 만에 꺾이며 연말까지 반도체 공장 가동률이 떨어질 것이란 관측이 우세하다.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의 대선...
자사주 매입에도 지지부진한 삼성전자, ‘떨어지는 칼날’이냐 저점 매수 기회냐 [전예진의 마켓 인사이트] 2024-12-01 15:12:40
D램 비트그로스(Bit Growth·비트 단위 출하량 증가율)는 전분기와 동일하고 낸드는 한 자릿수 감소했다고 밝혔다. 4분기에는 D램마저 출하량이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10월 반도체 생산 증가세가 14개월 만에 꺾이며 연말까지 반도체 공장 가동률이 떨어질 것이란 관측이 우세하다. 트럼프가 재선에 성공하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