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유상임 과기정통부 장관, 유럽연합과 과학기술 협력 방안 논의 2025-02-12 23:00:00
스타트업·연구혁신 집행위원과 마리아 렙틴 유럽연구이사회(ERC) 회장을 만나 한국과 유럽 간 과학기술·연구혁신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고 과기정통부가 밝혔다. 이번 만남은 한국이 올해부터 유럽 다자연구혁신 프로그램 '호라이즌 유럽'에 준회원국으로 참여하는 것을 계기로 이뤄졌으며 유 장관이 프랑스...
공복 커피, 다이어트에 도움 될까 [건강!톡] 2025-02-11 20:47:01
연관이 있다. 코르티솔이 많이 분비되면 렙틴이라는 식욕 억제 호르몬 작용이 방해받는다. 이에 따라 배가 고프지 않은데도 자꾸 디저트 같은 음식을 찾게 되는 것. 게다가 식사 후 마시는 커피는 식사를 통해 섭취한 유익한 영양분을 빠져나가게 한다. 아나운서 출신 백지연은 자신의 유튜브를 통해 "단 음식, 디저트를...
100일간 커피 끊었더니…60세 백지연 '이것' 싹 사라졌다 [건강!톡] 2025-01-21 21:27:23
수치가 높아진다. 코르티솔이 많이 분비되면 렙틴이라는 식욕 억제 호르몬 작용이 방해받는다. 이에 따라 배가 고프지 않은데도 자꾸 디저트 같은 음식을 찾게 될 수 있다. 게다가 식사 후 마시는 커피는 식사를 통해 섭취한 유익한 영양분을 빠져나가게 한다. 강재헌 강북삼성병원 가정의학과 교수는 "커피로 인한 각성 효...
"스마트폰 보면서 혼밥 자주 했는데…" 뜻밖의 연구 결과 2025-01-14 07:36:20
연구팀은 GLP-1(글루카곤 유사 펩타이드 1)과 렙틴 등 포만감을 느끼게 하는 호르몬들은 분비되는 데 약 20분이 소요되는데, 주의가 산만해지면 이 호르몬 분비 감지 능력이 떨어져 과식을 유발할 수도 있다고 부연했다. 또 뇌에 인지 부하가 발생해 음식의 제대로 된 맛과 향을 감지하는 능력도 저하된다고도 덧붙였다. 실...
골룸인 줄…하루 6시간 잔 여성, 25년 뒤 모습 '충격' 2024-12-16 15:06:59
것이다. 배고픔을 담당하는 호르몬인 렙틴과 그렐린이 감소해 식욕이 증가했다. 만성적인 수면 부족으로 한나는 탈모가 심각한 수준이었으며, 면역력이 저하돼 호흡기 감염에도 취약했다. 피부는 탄력이 감소했다. 특히 한나는 심장병 징후인 발목 부종까지 겪게 될 것으로 예측됐다. 벤슨스 포 베드즈의 마케팅 이사인...
"혈당약 '엔블로', 인슐린 저항성 개선 가능성" 2024-11-27 11:26:52
아디포넥틴 분비를 촉진하거나, 렙틴 분비를 줄이면 인슐린 저항성을 개선시킬 수 있다. 일반적으로 비만 등 대사질환 환자는 건강한 일반인과 비교했을 때 아디포넥틴 수치는 낮고 렙틴 수치는 높게 나타나는 경향이 있다. 엔블로는 당을 소변으로 직접 배출해 혈당을 조절하는 기전을 가지고 있다. 랩틴 수치 개선 역시...
햇빛이 식욕·체중에 영향 미친다…서울대병원 최초 규명 2024-05-23 15:11:29
‘렙틴(식욕억제 호르몬)’의 발현이 감소했으며 이로 인해 식욕이 활성화 돼 같은 음식을 먹은 대조군보다 음식 섭취량이 증가했다. 반면 체중은 증가하지 않았고, 오히려 고지방음식을 먹은 쥐는 체중 증가가 억제되는 경향을 보였다. 이에 대해 연구팀은 자외선 노출군에서 백색지방의 ‘갈색화’가 일어나 음식...
"햇빛 받았더니 살이 빠져요"…깜짝 놀랄 연구 결과 2024-05-23 10:00:59
노출군은 피하지방에서 분비되는 렙틴(식욕억제 호르몬) 발현이 감소해 식욕이 늘고 음식 섭취량이 증가한다는 것을 확인했다. 자외선 노출군의 식욕이 늘어었지만 체중은 증가하지 않았다. 백색지방의 갈색화가 일어나 음식 섭취량보다 에너지 소모량이 더 증가했기 때문이라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갈색화는 에너지를...
"방송인지 약장수인지"…TV건강프로에 시청자 분노한 까닭 2024-04-19 11:09:41
렙틴 호르몬에 내성이 생겨 렙틴 호르몬이 분비돼도 포만감을 느끼지 못하고 식탐을 억제하지 못하게 된다는 것이었다. A 씨는 이런 의료진의 말에 주의를 집중하고 방송에 집중하다가 허탈감을 느꼈다. 출연 의사는 "우리 장내에는 세균이 100조 마리 있는데 날씬균은 박테로이데테스고 뚱보균은 파르미쿠테스다. 날씬균은...
"단거 그만 드세요"…20대도 발병 '뚜렷' 2024-04-19 09:36:53
식욕을 억제하고 포만감을 느끼게 하는 렙틴 호르몬이 적게 분비돼 과식 위험이 커진다"고 경고했다. 이어 "당뇨병을 예방하려면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 채소 등을 골고루, 적당히, 규칙적으로 먹는 습관이 중요하다"고 조언했다. 다만, 탄수화물은 정제되지 않은 채로 먹어야 식이섬유가 풍부해 위장관 내용물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