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적외선도 감지하는 '모기'…퇴치 방법 찾았다 2024-08-23 13:06:08
단백질(로돕신)을 활성화하지 못하지만, 최대 70㎝ 떨어져 있는 TRPA1 단백질은 활성화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이 발견이 모기 개체 수를 억제하는 방법을 개선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모기 잡는 장치에 피부에서 나오는 것과 비슷한 적외선을 방출하는 장치를 추가하면 효율을...
[사이테크+] 모기는 왜 나만 물까?…"체온에서 나오는 적외선도 감지" 2024-08-23 10:47:07
단백질(로돕신)을 활성화하지 못하지만, 최대 70㎝ 떨어져 있는 TRPA1 단백질은 활성화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이 발견이 모기 개체 수를 억제하는 방법을 개선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모기 잡는 장치에 피부에서 나오는 것과 비슷한 적외선을 방출하는 장치를 추가하면 효율을...
알지노믹스, 유전성 안질환 치료제 호주 임상 1상 돌입 2024-07-08 16:24:58
로돕신 유전자로 치환해 시력손상 억제 및 시력회복을 유도한다. 특히 알지노믹스 기술은 지금까지 알려진 150가지 이상의 다양한 로돕신 돌연변이를 하나의 치료제로 모두 교정할 수 있다는 것이 회사측 설명이다. 홍성우 알지노믹스 개발본부장은 “호주는 우수한 의료시스템 및 의료진 역량, 대상환자수, 환자의 순응도,...
알지노믹스, 희귀망막질환 유전자치료제 후보물질 호주 임상 곧 개시 2024-01-16 10:20:09
리보자임)을 이용해 돌연변이가 발생된 로돕신 리보핵산(RNA)을 제거하고 정상 로돕신 유전자로 치환해 시력손상 억제 및 시력회복을 유도한다. 홍성우 알지노믹스 개발본부장은 “호주는 우수한 의료시스템 및 의료진 역량, 대상환자수, 환자의 순응도, 규제기관의 지원 등으로 유전성 안과질환의 초기 임상개발에 적합한...
KIST, 사람처럼 색 구분하는 인공 신경회로 플랫폼 개발 2023-09-17 12:00:00
명암을 구분하는 로돕신과 색 구분을 위한 청색 옵신 단백질을 발현해 각각 청색과 녹색에서 선택적인 반응성을 가지는 스페로이드 세포군집을 제작했다. 신경세포의 기능성과 생존력을 높인 이 스페로이드는 사람의 눈이 인식하는 색과 동일한 파장에서 반응을 일으켰다. 그 후 눈을 모사한 광반응성 신경 스페로이드와...
국내 자생 세균서 빛에 반응하는 단백질 유전자 발견 2023-08-03 12:00:09
"이번에 발견한 광활성 단백질은 '프로테오로돕신'으로 빛을 에너지로 전환해 세포 활성 조절을 위한 '센서'처럼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라면서 "일본에서는 이미 빛을 매개로 활성화되는 미생물 단백질 성질을 이용한 암세포 사멸 연구가 진행 중"이라고 밝혔다.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알지노믹스, 美학회서 망막색소변성증 신약 전임상 결과 발표 2023-05-22 07:09:19
RZ-004는 돌연변이가 발생된 로돕신 리보핵산(RNA)를 제거하고, 정상 로돕신 유전자로 치환하는 RNA 편집 기전을 가진다. 전임상 완료 단계에 있다. 여러 질환 동물모델에서 확인한 유효성 및 안전성, 독성시험 결과 등 임상에 진입 가능한 비임상 결과들이 축적됐다고 회사 측은 전했다. 유효성은 망막전위도(ERG) 및...
알지노믹스, 국제학회서 망막색소변성증 전임상 결과 발표 2023-05-03 10:11:20
동물모델 평가가 내용이었다. RZ-004는 돌연변이가 발생된 로돕신 리보핵산(RNA)를 제거하고, 정상 로돕신 유전자로 치환하는 RNA 편집 기전을 가진다. 최종 후보물질 도출 후 전임상 완료 단계에 있다. 알지노믹스는 전임상을 통해 RZ-004의 망막전위도(ERG)를 포함한 유효성을 입증했다고 전했다. 독성 및 안전성 시...
생리 반응 '마스터 수용체', 속 빈 구조에 최고의 '약물 표적' 2022-08-24 18:35:41
F까지 6개 유형으로 나뉜다. A형은 빛을 감지하는 로돕신, 냄새를 감지하는 후(嗅) 감각 수용체, 아드레날린(또는 노르아드레날린) 감지 수용체 등이 있다. 또 펩타이드 수용체는 B형에, 글루타메이트 수용체와 미(味) 감각 수용체는 C형에 속한다. GPCR의 구조는 리간드(수용체 결합 물질)가 달라붙으면서 바뀌고, 이렇게...
'기억법' 비밀 푸는 뇌과학…안 좋은 기억 지우고 행복한 기억은 살린다 2020-02-28 17:22:16
세포 비활성화를 유도하는 단백질 ‘할로로돕신’을 넣고 빛을 쬐게 했다. 후두정피질에 무시몰과 할로로돕신을 투여받은 쥐는 트라우마가 관찰되지 않았다. 새로운 장소에서 특정 소리를 들어도 얼어붙는 공포반응이 전혀 없이 자유롭게 활동했다. 트라우마를 극복할 수 있는 실마리를 찾은 것이다. 구 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