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반도체 선폭 초미세화…새 금속 배선 물질 개발 2025-01-06 15:40:59
주로 사용됐다. 최근엔 몰리브데넘, 루테늄 등이 대안으로 거론되고 있지만 이 역시 한계를 보이고 있어 새로운 물질에 대한 수요가 높아졌다. 연구팀이 개발한 위상 준금속 물질 인산니오븀은 기존 금속과 반대로 극초박막에서 비저항이 오히려 작아지는 특성을 보였다. 연구팀 관계자는 “새로 개발한 비정질 위상 준금속...
아주대학교, 오일권 교수팀 '새로운 금속물질 세계 최초로 개발' 2025-01-03 15:17:49
몰디브데넘(Mo) 또는 루테늄(Ru) 등의 물질 역시 한계를 보인다. 이 물질들 역시 특정 두께 이하에서는 비저항이 급격히 증가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어, 당장은 구리를 대체할 수 있다고 해도, 결국에는 또 다른 신물질이 필요한 상황이다. 여기에 특정 물질을 새로이 반도체 공정에 도입하기 위해서는 수 백억원에서 수조...
레피노-영천광산 "백금족 금속 자립화로 연 매출 1천억원 산업 생태계 구축" 2024-12-17 09:00:01
150톤의 정광은 금과 은은 물론, 백금, 팔라듐, 루테늄, 오스뮴, 특히 이리듐과 같은 희소금속이 다량 함유되어 있다. 이는 국내 자원 자립화와 글로벌 시장 경쟁력을 강화할 핵심 자원으로 평가된다. 레피노 연구소의 왕제필 소장은 “영천광산에서 채굴된 정광은 국내 시장 자립화를 넘어 수출 시장에서도 큰 성과를...
2030년까지 방사성동위원소 100% 자급화…신약후보 3종 발굴 2024-11-07 10:00:01
등 신규 인프라 구축도 추진하며, 루테늄-177, 몰리브덴-99 등 차세대 유망 동위원소 생산기술 개발도 지원한다. 스스로 붕괴하는 동위원소 특성상 반감기가 짧아 다른 의약품에 비해 더욱 강조되는 운송체계도 표준화해 신속 공급을 돕기로 했다. 방사성의약품 신약 개발을 위해서는 유도체와 고에너지 동위원소와...
어플라이드머티 "2나노 공정 반도체 성능 저하 해결" 2024-10-14 17:50:28
가장 뛰어난 루테늄을 활용했다. 이를 통해 최종 증착 공정 중 접착력을 보장하는 라이너(liner)의 두께를 최대 33%인 2나노까지 축소했다. 전기 배선 저항을 최대 25% 낮춰 칩 성능과 전력 소비도 개선했다. 신규 솔루션은 3나노 공정 라인에 먼저 출하가 시작됐다. TSMC는 AMD의 인공지능(AI) 가속기와 애플과 퀄컴의...
AMAT, '2나노 이하' 칩 구리 배선 혁신기술 공개…컴퓨팅 효율↑ 2024-10-14 11:31:02
성능이 가장 뛰어난 것으로 알려진 루테늄을 활용했다. 루테늄과 코발트의 이원 금속 조합은 최종 증착 공정 중 접착력을 보장하는 라이너(liner)의 두께를 최대 33%인 2나노까지 축소한다. 또 표면 물성을 개선하고 전기 배선 저항을 최대 25% 낮춰 칩 성능과 전력 소비를 개선한다. 이은기 AMAT 박막 기술 총괄(전무)은...
[사이테크+] "공룡 멸종시킨 충돌체는 목성 너머에서 온 탄소질 소행성" 2024-08-16 08:07:51
왔다. 연구팀은 이 연구에서 K-Pg 경계층에서 채취한 표본의 루테늄(Ru) 동위원소 비율 등을 분석하고, 이를 5억4천100만년 간 발생한 소행성 충돌구 5곳의 표본, 35억~32억년 전 시생대 충돌층 표본, 탄소질 운석 2개 표본 등의 분석 결과와 비교했다. 그 결과 K-Pg 경계층에서 나온 표본의 루테늄 동위원소 비율은 지구나...
그린수소 대량생산 길 연 UNIST 2024-05-23 19:19:14
분말이 뭉치거나 떨어지면서 안정성과 내구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연구팀은 이런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고기능성 촉매가 부착된 탄소섬유 전극을 개발, 큰 면적에서도 안정적으로 구동하도록 했다. 또한 연구팀은 화학적 촉매로 백금 대신 루테늄을 사용해 같은 성능을 유지하면서 제조 가격을 대폭 낮출 수...
이산화탄소에서 고부가가치 포름산 만든다…생산효율 2배 높여 2024-03-28 12:00:17
'1-메틸피롤리딘 아민'을 활용하고, 루테늄 금속 기반 촉매에 맞는 온도와 압력을 최적화한 공정을 개발했다. 기존 공정들이 이산화탄소 전환율이 38% 수준인 데 반해 이 공정은 82%까지 높일 수 있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또 대기나 배출가스에서 이산화탄소를 분리하는 대신 직접 전환하는 방식으로 에너지 소...
오염수 방사성 농도, 기준치 3분의 1…"먹거리 영향 없다" 2023-08-22 18:22:30
스트론튬-90, 요오드-129, 세슘-134·137, 안티몬-125, 루테늄-106 등 6종이 배출 기준을 넘은 적이 있다. 하지만 2019년 5월부터는 기준치를 넘은 적이 없다. 일본 측이 ALPS를 증설하고 보수하며 성능을 높인 결과다. ALPS가 끝이 아니다. 이 설비를 거친 오염수는 흡착재 처리 과정을 다시 밟는다. ALPS가 처리하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