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크래머 막스플랑크연구회장 "연구예산은 안정성이 중요" 2024-04-11 17:27:57
위해 막스플랑크연구회와 협력하기로 했다. 다만 센터 설립은 막스플랑크연구회에서 각국의 신청을 받아 심사 끝에 설치국가가 결정된다. 막스플랑크연구회는 현재 84개 독일 내 연구소 외에 해외에 5개 연구소와 17개 센터를 운영하고 있으며 아시아 지역에는 일본 이화학연구소 센터가 유일하다. rao@yna.co.kr (끝)...
기초과학연-독일 막스플랑크연구회, 전략적 협력 강화키로 2024-04-11 14:44:20
기초과학연-독일 막스플랑크연구회, 전략적 협력 강화키로 연세대서 '글로벌 과학리더 포럼 개최'…MOU 2건 체결 (서울=연합뉴스) 나확진 기자 = 한국과 독일의 대표적 기초과학 연구기관이 학술교류부터 인재 양성, 공동연구센터 설립까지 기초과학분야 연구 협력을 확대하기로 했다. 기초과학연구원(IBS)과 독일...
한국·독일, 수소·에너지·AI 등 분야 R&D 협력 늘린다 2020-06-23 16:00:01
양측은 막스플랑크 연구소를 활용한 기초과학 분야 대학생의 연구 인턴십 프로그램 확대에 대해 긍정적으로 논의했다. 국가과학기술연구회는 독일 헬름홀츠 연구협회 소속 율리히 연구소와 연구자 교류 및 공동연구 추진 등을 위한 양해각서(MOU) 체결에 합의했으며,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은 재생에너지·수소·에너지효율...
과학논문 기여도 중국과학원 세계 1위…서울대 68위 2019-06-20 17:47:04
과학기술원(CAS)이었다. 미국 하버드대는 2위를 차지했다. 독일 막스플랑크연구회, 프랑스국립과학원(CNRS), 미국 스탠퍼드대가 차례로 뒤를 이었다. 한편 국가 단위로 기여도를 따졌을 때 한국은 9위였다. 작년 FC가 가장 높은 국가는 미국이었고, 2위는 중국, 3위는 독일, 4위는 영국, 5위는 일본이었다. sun@yna.co.kr...
해외 논문 많이 내는 북한 과학자 명단 첫 공개 2017-01-19 09:17:32
연구기관 가운데는 베를린공대, 막스플랑크연구소 등이 활발한 교류를 펼쳤다. 대북제재조치가 진행되는 과정에서도 과학자들의 국제 교류는 미미하지만 이어지고 있는 셈이다.이번 분석에서는 북한의 순수 과학 연구는 김일성종합대학이, 공학 연구는 국가과학원과 김책공업종합대학이 주도한다는 사실도 밝혀졌다. 한국의...
[뉴프런티어] 조급한 성과주의 노벨상 가로막아…한국 R&D의 미래 '뿌리연구'에 달렸다 2016-12-25 17:14:22
독립된 연구를 통한 과학진흥을 위해 막스플랑크연구회를 1948년 설립, 세계 최고의 연구조직으로 성장시켰다. 막스플랑크는 예산의 90%를 연방정부와 주정부에서 지원받지만 자율성과 독립성을 보장받는다. 연구자가 연구 수행과 관련된 모든 권한을 갖는다. 과학기술 강국이 우리에게 던지는 시사점은 분명하다. 우선...
최양희 장관 "출연연 통폐합 없어…조직은 슬림화해야" 2016-08-03 15:50:57
막스플랑크연구소 등에서 근무하는 비정규직 연구원들은 오히려 정규직보다 급여를 더 많이 받는데, 우리나라와는 상황이 다르지 않느냐'는 지적이 제기되자 "학생연수생에 대한 복지와 인권 문제 등은 해결돼야 하지만, 출연연인력 운용에 있어서 유연성은 필요하다고 본다"고 강조했다. 국가과학기술연구회...
[사설] 연 4조원씩 쓰고도 실적은 없다는 정부연구소들 2013-03-20 16:54:04
국립과학연구소(2만5000명), 독일 막스플랑크연구소(2만명)나 프라운호퍼연구소(1만5000명) 같은 세계적 연구소는 꿈도 못 꿀 일이다. 이런 상황이라면 미래창조과학부를 아무리 만들어봐야 소용없는 일이다.▶급등주 자동 검색기 등장...열광하는 개미들 ▶[한경 스타워즈] 대회 한 달만에 전체 수익 1억원 돌파! 비결은?...
[STRONG KOREA] ETRI 세계 589위…KIST 650위…대학보다 못한 '국가 R&D 타워' 역량 2013-03-19 17:12:55
막스플랑크연구소 2만명, 프라운호퍼연구소 1만5000명 등 여러 연구단체가 칸막이를 허물고 연합해 운영하고 있다. 반면 국내 출연연의 평균 인력은 400~600명으로 27개의 작은 조직으로 나눠 운영하다 보니 효율이 떨어진다는 분석이다.정부도 지난해 18개 출연연구소를 통합해 국가연구개발원을 세우려 했지만 대선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