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혁신기업만 살아남는다"…배터리소재사, LFP 돌파구로 생존 경쟁 2025-02-09 06:00:03
작년 말 전북 익산 삼기공장의 리튬망간산화물(LMO) 생산공정 일부를 개조해 연산 1천t 규모의 LFP 양극재 파일럿 라인을 구축했다. 지금까지 동박 등 음극재를 주로 생산했지만, LFP의 사업성에 주목해 양극재 생산 범위를 확장하는 것이다. 김연섭 롯데에너지머티리얼즈 대표이사는 최근 실적 콘퍼런스콜에서 "이차전지...
포스코 "올해 61개 저수익 사업 정리" 2025-02-03 18:41:41
될 부문에는 투자를 늘린다는 계획이다. 포스코가 인도 철강사 JSW와 합작법인(JV) 형태로 인도 내 제철소 건설을 검토하는 게 대표적이다. 비상경영체제로 전환한 포스코퓨처엠도 하이니켈 양극재 외 고전압 미드니켈, 리튬망간 전이금속산화물(LMR), 리튬철망간인산염(LMFP) 소재 등 중저가 신제품 개발에 투자를...
포스코퓨처엠, 구미 양극재 공장 내놨다 2025-01-23 18:17:37
점도 정리 대상에 들어간 이유다. 구미공장은 리튬·망간·산화물(LMO), 니켈·코발트·망간(NCM) 등 리튬이온 배터리에 들어가는 양극재를 생산 중이다. 최근 포스코퓨처엠은 니켈 비중이 90%에 육박하는 하이니켈 NCM 양극재, 니켈·코발트·망간·알루미늄(NCMA) 단결정 양극재 등에 집중하고 있다. 포스코퓨처엠 관계...
후발주자 SK온 저력…'꿈의 배터리'에 성큼 2025-01-13 18:21:12
산화물계, 고분자계로 나뉜다. 이 가운데 산화물계 소재는 1000도 이상에서 10시간 이상 열처리 공정을 거쳐야 한다. 그만큼 제조 원가가 높고, 재료가 갑자기 파괴되는 것이 약점으로 꼽힌다. SK온은 광소결을 이용해 산화물계 소재의 약점을 극복할 수 있는 전고체 배터리를 개발하고 있다. 강한 빛 에너지를 가해 입자의...
후발주자 SK온의 반전…전고체 배터리 연구, 유명 학술지 게재 2025-01-13 13:58:13
양극재는 니켈, 코발트 비중을 줄이고 저렴한 망간 비율을 높여 원가가 저렴하다. 하지만 기존 리튬이온배터리에 적용하면 가스 발생, 전압 강하, 용량 감소 등의 난제가 발생한다. SK온은 고온·고전압 환경에서 배터리를 충·방전하던 중 LMRO 양극재에서 발생한 산소가 황화물계 전해질을 산화시키는 현상에 대해 분석했...
SK온, '꿈의 배터리' 전고체 난제 연구성과 공개…"기술력 강화" 2025-01-13 08:40:39
안료를 발견해 산화물 전해질 소재에 적용시켰다. 이와 함께 선택적으로 수 초 안에 열처리를 가능케 하는 초고속 광소결 기술을 활용, 최적의 균일성을 갖는 다공성 구조체를 만드는 데 성공했다. 초고속 광소결 기술로 제조된 산화물 내부에 고분자 전해질을 포함하는 고분자-산화물 복합전해질도 성공적으로 구현했다....
"퓨즈처럼 화재 차단"…LG화학, 배터리 열폭주 억제 실마리 찾아 2024-10-01 11:15:01
기대된다. 실제로 모바일용 LCO(리튬·코발트·산화물) 배터리에 못으로 구멍을 뚫는 관통 실험을 한 결과 일반 배터리는 16%만 불이 나지 않았지만, 열폭주 억제 소재를 적용한 배터리는 단 1건의 화재도 발생하지 않았다. 전기차용 NCM(니켈·코발트·망간) 배터리에 약 10㎏의 무게추를 떨어뜨리는 충격 실험에서도 일반...
'악마의 검'에 쓰였던 '이것', 자동차 배터리 시장 흔든다 [원자재 이슈탐구] 2024-09-30 00:40:51
발표했다. 전기차에 쓰이는 기존 리튬·인산철(LFP)나 니켈·코발트·망간(NCM) 배터리와 달리 바나듐 산화물 음극과 리튬 금속 양극을 결합해 만드는 방식이다. 보스턴에 본사를 둔 퓨어리튬은 7월에 배터리용 리튬 금속 전극으로 세계재료포럼(WMF)에서 스타트업 특별상(Start Up Coup de Coeur Award)을 수상하기도 했...
"분위기 좋더니 한 달 만에"…반등 기다리는 롯데에너지머티리얼즈 [윤현주의 主食이 주식] 2024-08-03 07:00:01
제품을 개발한다는 계획이다. 그는 “리튬망간산화물(LMO) 양극활물질 양산 및 판매 경험을 보유하고 있다”며 “한국자동차연구원과 공동 개발 중인데 연내 파일럿 라인 약 1000t을 구축 완료할 예정이다”고 설명했다. 차세대 실리콘 복합 음극활물질은 프랑스 기업인 엔와이어즈에 지난해 지분 투자를 하고 현재 공동...
AI 정전 막는 'UPS 배터리'…"中이 아직 손도 못댄 영역" 2024-06-20 19:14:33
LMO(리튬망간산화물) 배터리를 사용했다. 삼성SDI가 NCM(니켈·코발트·망간) 등 삼원계 배터리보다 LMO 배터리를 적용한 건 안정성과 출력 성능을 높일 수 있기 때문이다. 데이터센터의 성능, 안정성을 높여줄 프리미엄 제품을 요구하는 고객사를 타깃으로 삼겠다는 전략이다. 데이터센터는 24시간 돌아가야 하지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