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대기업 나와 6000만원 투자…'177억 부자' 된 '로봇 할아버지' [윤현주의 主食이 주식] 2025-02-16 06:50:05
방침이다. 서울대학교 기계설계학과 출신인 박 대표의 첫 직장은 금성(현 LG) 중앙연구소였다. 그는 1983년 20대 후반 나이에 입사해 2년 6개월 근무했다. 이후 1986년 신도리코에 입사해 11년간 근무하며 기술연구소 부장으로 퇴사했다. 2002년 책 를 읽고 ‘사람을 위한 로봇’이라는 사업 구상에 확신을 갖게 된다....
"거인 어깨에 올라타자"…글로벌 빅테크와 손잡는 韓 테크기업 2025-02-16 06:00:03
파운데이션 모델을 개발해 다양한 사례를 구축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백성욱 세종대 인공지능융합대학 소프트웨어학과 교수도 "핵심 기술에 대한 로열티를 지급하는 관계에서 국내 기업은 빅테크에 종속될 수밖에 없다"며 "국내에서도 AI 모델이 필요하므로 당장 빅테크와 AI 공동 개발은 필요하지만, 딥시크처럼...
中 BYD 본격 상륙에 정보보안도 '시험대'…"개인정보 유출 우려" 2025-02-11 06:00:02
추론 모델을 자사 신루이 AI 모델에 탑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BYD코리아는 수집한 정보를 국내에 있는 중국 정보기술(IT) 기업 텐센트 클라우드 서버에 보관하고 있다고 밝혔는데, 국내 정보를 중국 기업 서버에 보관하고 있는 것만으로도 국내에서는 불안감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조인철 BYD코리아 승용부문 대표는...
"딥시크급 AI 3개 더"…중국, 전세계에 선전포고 2025-02-10 17:58:14
AI 모델을 세 개 이상 출시하고 중국산 AI 훈련용 칩의 내수시장 점유율을 현재 15%에서 35%로 늘릴 계획이다. 중국의 AI 경쟁력은 미국에 이어 세계 2위지만 미국 기업과 연구소에서 일하는 우수 AI 연구자의 40%가량이 중국 대학 출신이다. 그만큼 성장 잠재력이 크다. 中, 인재-기업-정부 삼각축 연결…'딥시크급...
AI정상회의 파리서 개최…美中 패권 경쟁속 안전장치 마련될까 2025-02-10 09:21:15
약 5%에 불과한 비용으로 챗GPT에 맞먹는 AI 모델 딥시크를 만들어 전 세계에 충격을 던진 상태다. 사상 검열과 개인 사생활·데이터의 과도한 수집에 대한 우려 때문에 미국, 영국, 프랑스, 한국, 일본 등이 딥시크 접속 차단에 나섰지만, 저렴한 학습 비용으로 뛰어난 추론 성능을 선보인 딥시크 성공모델은 AI 후발국에...
[광운대학교 2024년 예비창업패키지 선정기업 CEO] 글로벌 학습자를 위한 혁신적인 한국어 학습 플랫폼을 서비스하는 ‘두부’ 2025-02-09 13:01:20
계기가 됐다. “인하대학교 아태물류학과를 졸업하고, 연세대학교 경영학부 마케팅 석사 학위를 취득하며, 비즈니스 설계와 마케팅 전략 수립에 필요한 이론적 토대를 다졌습니다. 이러한 학문적 기반은 ‘두부(豆腐)’의 한국어 교육 서비스의 구체적인 방향성과 실행할 수 있는 비즈니스 모델을 구축하는...
[책마을] 20대女가 '사랑받고 자란 이미지' 원하는 이유 2025-02-07 18:10:59
바란다는 것이다. 김난도 서울대 소비자학과 교수를 필두로 매년 를 펴내는 팀이 최근 에서 분석한 한국 2030 여성의 현주소다. 2030 여성은 이를 ‘추구미’라고 부른다. 추구미는 ‘추구하는 아름다움’의 줄임말이지만 과거 많이 쓰이던 ‘워너비’ ‘롤모델’ 등과는 다르다. “롤모델이 동시대 사람들이 되고 싶어...
"교수 대신 '챗GPT' 믿었다가…" 대학생 '멘붕' 온 사연 2025-02-07 17:48:58
공통된 설명이다. 시간이 지날수록 모델의 크기와 데이터 양이 급증하면서 예측 불가능한 오류와 편향이 더 자주 발생할 수밖에 없는 구조다. 학습에 활용할 수 있는 데이터가 급격하게 줄어들고 있는 것도 문제다. AI는 연구 자료, 뉴스 등 온라인에서 추출한 텍스트를 활용해 학습한다. 미국의 연구기관 에포크AI에...
AI패러다임 깬 '中변방의 아웃라이어', '결핍·경쟁·기술'이 혁신 원동력 2025-02-05 18:00:59
수학과 컴퓨터로 실력을 쌓은 그는 2010년 항저우 저장대에서 전자정보학 학·석사 과정을 마치고 창업의 길로 들어섰다. 초기 실패와 숙고를 바탕으로 2016년 퀀트펀드를 운용하는 금융기업 하이플라이어를 세워 중국 주식시장에 뛰어들었다. 트레이딩 알고리즘을 손으로 코딩하던 다른 경쟁자들과 달리 그는 컴퓨터가...
딥시크 창업자 배출한 '인재 요람' 항저우…스타트업 '6룡' 주목 2025-02-05 09:24:36
량원펑은 저장대 전자정보공학과에서 학사·석사 학위를 받았으며, 왕싱싱은 저장과학기술대 전기기계공학과를 졸업했다. 딥로보틱스의 창업자인 주추궈(朱秋國)는 저장대 제어과학·공학학원 부교수로 재임 중이기도 하다. 중국 현지 매체인 저장일보는 "이공계 남자 인재들의 선택을 받은 항저우가 뜬다"면서 "항저우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