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시론] '주주 충실의무' 입법 사례 없다 2025-02-04 17:34:34
박범계 의원이 미국 “델라웨어주 회사법에 ‘주주에 대한 이사의 충실의무’를 두고 있는 것으로 보는가”라는 질문에 상법 개정에 찬성하는 두 진술인은 ‘그렇다’고 진술했다. 그렇지 않다. 델라웨어주 일반회사법 제102조(정관에 기재해야 할 사항) (b)항 (7)호는 ‘이사나 임원이 회사나 주주들에 대한 충실의무(duty...
“지배주주도 주가 상승·배당 확대 반기게 만들어야" 2024-11-04 06:02:04
규제를 피하면 되는 거다. 원래는 민사 이슈이고, 회사법 이슈다. 그래서 이사 충실의무 확대 논의가 나온다. 회사법에 규정을 둬서 계열사 간 합병이나 일감 몰아주기를 못하도록 근본적인 장치를 마련해야 한다.” - 충실의무가 회사의 의사결정에 걸림돌이 될 수 있다는 우려도 있는데. “법 조문에서 회사와...
"밸류업 시작점은 자본인식…모범사례는 메리츠금융지주" 2024-09-20 18:56:47
계획에 포함돼 있다며 메리츠금융지주를 '밸류업 모범생'으로 선정한 바 있다. 김 교수는 "궁극적으로 우리가 하고 싶은 것은 주주환원을 더 하든지, 아니면 재투자를 더 하든지 해서 기업가치를 높이는 것"이라며 "주주환원이 (자체가)목표는 아니다"라고 전했다. 리츠(REITs·부동산투자회사)에 있는 주주 충실의...
"밸류업, 자본비용 인식에서 출발…목표 아니라 과정" 2024-09-20 12:29:01
변호사는 "부동산투자회사법상 리츠를 인가할 때 주주에 대한 충실 의무가 잘 이행되고 있는지, 그 시스템을 갖췄는지를 심사하지만 일반 상장기업은 이사회가 주주에 대한 충실의무가 없다고 한 삼성물산[028260] 제일모직 합병 대법원 판결 때문에 주주 수탈 행위가 이어지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대법원 판례가...
'더 강력한' 상법 개정안 나왔다…이사 충실의무 대신 공정의무(종합) 2024-08-05 16:17:22
면책권 부여·대주주 책임 강화 "미국 모범회사법 면책 제도 따른 것"…재계 반대 논리도 고려 (서울=연합뉴스) 송은경 기자 = 이사 충실의무 대상을 기존 회사에서 주주까지 포함하도록 확대하는 상법 개정을 정부·여당이 머뭇거리는 동안 재계의 반대 논리를 고려한 새로운 상법 개정안이 5일 발의된다. 금융투자업계와...
'더 강력한' 상법 개정안 나온다…이사 충실의무 대신 '공정의무' 2024-08-05 06:05:02
면책권 부여·대주주 책임 강화 "미국 모범회사법 면책 제도 따른 것"…재계 반대 논리도 고려 (서울=연합뉴스) 송은경 기자 = 이사 충실의무 대상을 기존 회사에서 주주까지 포함하도록 확대하는 상법 개정을 정부·여당이 머뭇거리는 동안 재계의 반대 논리를 고려한 새로운 상법 개정안이 5일 발의된다. 금융투자업계와...
법무법인 더킴로펌, 창원대학교 법학과와 리걸테크 관련 업무 협약 체결 2024-07-24 09:38:48
아니라, 민법, 행정법, 회사법, 민사소송법, 형사소송법, 노동법, 국제법, 사회보장법, 국가조직론, 환경법, 헌법소송법, 형사정책, 지방자치법, 법제사, 법철학 등 각 분야의 법학에서 높은 수준의 학문적 성과를 이뤄나가고 있다. 더킴로펌 김형석 대표 변호사는 “창원대학교 법학과와 업무협약을 맺고 협력 사업을...
[칼럼] 기업 밸류업 제고 위한 3가지 제언 2024-07-05 06:01:49
않고 있다. 지배주주와 일반주주 사이 회사법의 오래된 숙제인 이해 상충 이슈가 있는 것이다. 이사회는 일부 주주(지배주주)만을 위한 경영이 아닌, 일반주주를 포함한 전체주주·총주주의 비례적 이익을 고려한 의사결정을 해야 한다. 미국·영국·일본을 비롯한 해외 주요국은 이사가 회사뿐 아니라 주주의 이익을 위해...
[백광엽 칼럼] 이사를 극한직업으로 만들건가 2024-07-01 17:38:16
해외에서도 찾아보기 어렵다. 미국 모범회사법은 ‘회사의 이익을 위한 것이라고 합리적으로 믿는 방식으로 성실하게 직무를 수행해야 한다’고 쓰고 있다. 영국 일본 독일 캐나다 등도 마찬가지다. 상법 개정의 총대를 멘 실세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은 ‘모든 주주가 합당한 대우를 보장받는 지배구조’를 강조한다. 맞는...
[다산칼럼] 일본 주식시장 부활의 교훈 2024-06-27 17:50:20
지배구조 모범규준과 같은 연성규범을 통해 이뤄졌다는 점이다. 예를 들어 상장사의 독립사외이사 의무화는 2019년 회사법 개정에 처음 포함되는데 이미 이전에 기업들은 거래소 상장요건을 맞추기 위해 이를 실행해왔다. 한국과 다른 점 중 하나는 주주 행동주의다. 일본은 이미 2000년대 초부터 적대적 인수합병(M&A)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