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물가설명회서도 '탄핵' 수습…이창용 "국민들 일상으로 돌아가 달라" [강진규의 BOK워치] 2024-12-18 14:00:02
경제가 안정화될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덧붙였다. 현재 2%를 목표로 하고 있는 물가안정 목표제는 "다음 점검 때까지 유지하기로 결정했다"고 말했다. 2%라는 목표가 있는 것이 물가 안정에 도움이 된다는 판단에서다. 최근 물가 흐름에 대해선 "1%대로 낮아진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내년에는 목표수준인 2%...
'피벗'으로 요약되는 2024년…2025년은? [국제경제읽기 한상춘] 2024-12-09 07:28:08
4월 이후 모든 물가가 급등하자 '일시적'이라 판단하고 오히려 평균물가목표제(AIT·average inflation targeting)를 도입해 방관했다. 그 후 말이 뛰는 식으로 급등하는 캘로핑 인플레이션이 발생하자 빅스텝(0.25%p), 자이언트 스텝 (0.75%p)으로 금리를 올리는 과정에서 경제 주체에게 충격과 부담을 줬다....
중앙은행의 피벗…한은 '실기론' 왜 고개드나? [국제경제읽기 한상춘] 2024-11-11 07:47:19
2021년 4월 이후 모든 물가가 급등하자 ’일시적‘이라 판단하고 오히려 평균물가목표제(AIT·average inflation targeting)를 도입해 방관했다. 그 후 말이 뛰는 식으로 물가가 오르는 켈로핑 인플레이션이 발생하자 빅스텝(0.25%p), 자이언트 스텝 (0.75%p)으로 금리를 올리는 과정에서 경제 주체에게 충격과 부담을 줬...
[커버스토리] 의대 증원·N수생 '변수'…올해도 불수능? 2024-10-28 10:01:01
알고 답이 옳고 그른지 판별해야 합니다. 피벗, 물가안정목표제 등 올해 세계경제의 키워드 중 하나로 ‘피벗(pivot, 금리정책의 전환)’을 꼽을 수 있습니다. 중앙은행은 물가와 고용안정을 위해 기준금리를 조절하는데, 기존의 인상 또는 인하 기조를 180도 바꾸는 것을 피벗이라 부릅니다. 미국 중앙은행(Fed)은 2021년...
거듭된 실수로 위기에 빠진 美 Fed…어떻게 극복할 것인가? [국제경제읽기 한상춘] 2024-10-21 08:01:06
때도 Fed는 거센 실기론에 시달렸다. 2021년 4월 이후 모든 물가가 급등하자 '일시적'이라 판단하고 오히려 평균물가목표제를 도입해 방관했다. 그 후 말이 뛰는 식으로 물가가 오르는 켈로핑 인플레이션이 발생하자 빅스텝(0.25%p), 자이언트 스텝 (0.75%p)으로 금리를 올리는 과정에서 경제 주체에게 충격과 부담...
트릴레마와 피벗…Fed '실수론', 한은 '실기론' 나온 까닭 [한상춘의 국제경제 읽기] 2024-10-20 19:00:46
평균물가목표제를 도입해 방관했다. 그 후 말이 뛰는 식으로 물가가 오르는 켈로핑 인플레이션이 발생하자 빅스텝(0.50%포인트), 자이언트 스텝(0.75%포인트)으로 금리를 올리는 과정에서 경제 주체에게 충격과 부담을 줬다. 지난 6월 이후 세 차례 금리를 내린 유럽중앙은행(ECB)에도 실기론이 핵심 유로국을 중심으로...
'잭슨홀 미팅' 이후 각국 통화정책 방향은? [국제경제읽기 한상춘] 2024-09-02 07:39:40
원칙을 깨뜨린 평균물가목표제(AIT·average inflation targeting)은 처음부터 잘못된 것인 만큼 폐기해야 한다고 한목소리를 냈다. 2011년 4월부터 목표선을 벗어나기 시작했는데도 AIT를 도입해 오히려 물가를 키워 뒤늦게 금리를 올리는 과정에서 경제주체에게 부담을 줬기 때문이다. 금리인하 때도 마찬가지다. 2년 전...
잭슨홀 미팅 끝...각국 중앙은행 통화정책은[한상춘의 국제경제 심층 분석] 2024-08-31 10:34:06
중시한다. Fed 설립 이후 불문율처럼 여기던 이 원칙을 깨뜨린 평균물가목표제(AIT·average inflation targeting)는 처음부터 잘못된 것인 만큼 폐기해야 한다고 한목소리를 냈다. 2011년 4월부터 목표선을 벗어나기 시작했는데도 AIT를 도입해 오히려 물가를 키워 뒤늦게 금리를 올리는 과정에서 경제주체에...
잭슨홀 미팅 뒷이야기…각국 통화정책에 더 큰 영향 미친다 [한상춘의 국제경제 읽기] 2024-08-25 17:53:28
통화정책의 생명인 ‘선제성(preemptive)’을 잃게 한 평균물가목표제(AIT)를 폐기해야 한다는 데 한목소리를 냈다. 물가가 2011년 4월부터 목표선을 벗어나기 시작했는데도 AIT를 도입한 탓에 뒤늦게 금리를 빅스텝(0.5%포인트), 자이언트스탭(0.75%포인트) 올리는 과정에서 경제 주체에게 부담을 줬기 때문이다. 금리 인...
‘2024 잭슨홀 미팅’에서는 무엇이 논의될까? [국제경제읽기 한상춘] 2024-08-19 07:29:16
뺀 수치에 정책반응 계수(물가 및 성장에 대한 통화당국의 정책의지를 나타내는 계량수치)를 곱한다. 그리고 평가기간 중 경제성장률에 잠재성장률을 뺀 값에 정책반응 계수를 곱한 후 모두 더해 산출한다. 현재 미국의 기준금리는 테일러 준칙에 의해 도출된 적정수준보다 높아 2022년 3월 이후 Fed의 금리인상이 얼마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