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사이테크+] "걷는 물고기 다리는 '걷기·먹이 찾기·땅파기' 다용도 기관" 2024-09-27 09:10:31
같은 돌기로 덮여 있었다. 이 돌기에는 미각 수용체가 있어 모래 속에 묻혀 있는 단일 아미노산 캡슐을 찾아낼 정도로 화학적 자극에 민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모래를 파헤치지 않는 바다로빈의 다리는 막대 형태이고 표면에는 돌기가 거의 없었으며 모래 속의 먹이나 캡슐도 찾지 못했다. 연구팀은 다리로 모래를...
맛 못 느끼는 '미각 기능 상실', 치료 가능성 커진다 2023-04-17 14:20:16
줄기세포가 ‘Lgr5’ 유전자를 발현해 미각 수용체 세포를 재생시키는 원리 정도만 알려졌고, 미각 수용체 세포의 재생 원리를 완전히 밝힌 연구는 적었다. 연구팀은 미각 수용체 세포의 또 다른 재생 원리가 있을지에 주목해, 미뢰 외부의 신경이 손상됐을 때 혀 표면 돌기에 미각 수용체 세포를 재생하는 기능이 있는지...
초파리서 산미 반대되는 알칼리 맛 전용 미각 수용체 확인 2023-03-21 01:01:00
이용되는 황색초파리(Drosophila melanogaster)에서 알칼리성 미각 수용체인 알칼리필레를 규명한 결과를 과학 저널 '네이처 물질대사'(Nature Metabolism)에 발표했다. 동물이 먹이의 산도와 염기를 감지하는 것은 건강한 먹이 선택하게 해 개체의 발달과 생존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연구팀은 제시했...
FDA, 급성 편두통 치료 비강 스프레이 승인 2023-03-13 10:45:29
FDA는 칼시토닌 유전자 관련 펩티드(CGRP) 수용체 길항제인 자베게판트 비강 스프레이를 급성 편두통 치료제로 최초 승인했다고 화이자사는 밝혔다. 화이자사는 바이오헤이븐(Biohaven) 제약회사로부터 인수한 비강 스프레이 형 자베게판트에 자브즈프렛이라는 새로운 브랜드 이름을 붙여 오는 7월 출시할 예정이다....
[2023 경희대학교 캠퍼스타운 스타트업 CEO] 한약재로부터 활성물질을 분리하여 이를 활용한 신약을 개발하는 스타트업 ‘파나큐라’ 2023-03-06 09:45:47
“혀에 존재하는 미각수용체가 장에 존재한다는 것과 이를 통한 GLP-1분비 기전을 미국 국립보건원 연구원으로 있으며 밝혀냈습니다. GLP-1은 제2형 당뇨치료제이며 식욕을 억제해주는 4세대 비만치료제입니다. 한약재 또는 한약재 유래 화합물이 장 내분비세포 내 미각수용체를 자극하고 이에 따라 인크레틴 호르몬...
[신희섭의 뇌가 있는 풍경] 단맛이 자꾸 당기는 과학적 이유 2022-10-12 17:29:13
분자가 혀의 미각 세포에 있는 단맛 수용체에 결합해 일으킨 반응 신호가 미각 신경을 통해 뇌로 전달돼 느끼게 된다. 단맛 수용체를 통해 단맛을 유도하는 물질에는 여러 당류만 아니라 아미노산, 식물유래 단백질, 합성 유기물 등이 있다. 그렇다면 단맛 수용체를 제거하면 단것에 대한 선호가 사라질까? 예상과 다르게...
[책마을] 우리 몸은 짠 맛이 당기도록 진화했다 2022-08-26 17:26:51
같은 고양잇과 동물은 한때 갖고 있던 단맛 수용체가 사라졌다. 달콤한 과즙을 빠는 데 너무 많은 시간을 쓴 고양잇과 동물이 그렇지 않은 종보다 생존율이 낮았기 때문이다. 육식만으로 충분한 영양을 다 얻을 수 있어 가능한 일이었다. 저자들은 먹이에 함유된 것보다 더 많은 염분이 필요하지 않다면 육지 척추동물이 갖...
코로나 미각·후각 상실 위험 높이는 유전적 요인 찾았다 2022-01-19 10:34:15
중 68%인 4만7천298명이 후각 또는 미각 상실을 경험했다고 답했다. 분석결과 후각 관련 유전자인 'UGT2A1'와 'UGT2A2' 근처에 일련의 변이가 있는 사람은 코로나19에 감염되며 후각 또는 미각을 상실할 가능성이 변이가 없는 사람들보다 11%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두 유전자는 모두 코 안쪽의 세포에서...
부스터샷 뚫고 돌파감염 속출…WHO '5번째 우려변이'로 지정 2021-11-28 17:45:07
스파이크 부위에 35개 넘는 변이가 집중됐다. 수용체결합도메인(RBD)에서 확인된 것만 15개다. 베타와 델타는 RBD 변이가 3개였다. 자연감염 등으로 생긴 면역장벽이 무너져 재감염될 위험이 높다고 보는 이유다. 기존 변이와 유전적으로 다른 계통이다. 다만 오미크론의 치명성이 낮아졌을 것이란 분석도 나온다. 안젤리크...
'우려변이 지정' 오미크론…돌파감염·빠른 확산세·유전적 차이 특징 2021-11-28 16:45:34
호소했지만 증상이 가벼웠고 후각·미각 소실 증상도 없었다"며 "6세 어린이가 체온과 맥박이 상승하는 증상을 보였지만 곧 완화됐다"고 했다. 다만 남아공의 백신 접종률이 24%에 불과해 고령층 감염으로 확산되면 위험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오미크론은 바이러스의 스파이크를 만드는 부분에 35개 넘는 변이가 집중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