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분석+] 美 알츠하이머 치료제 임상 잇달아 실패…치매 신약 개발 먹구름 2024-11-26 17:51:07
세포 역할을 하는 미세아교세포의 TREM2에 결합해 증식을 유도하는 물질이다. 면역세포인 미세아교세포가 늘어나면 독성 단백질도 제거할 거란 가설에서 출발했다. 투약 후 72시간 동안에는 염증 유발이 증가하지만 14주 이상 투약하면 독성 단백질이 제거되고 인지능력이 개선된다는 전임상 결과를 근거로 임상에 나섰다....
"임신 중 환경호르몬 뇌 발달에 치명적…성인까지 영향" 2024-11-13 09:11:41
세포의 이동 및 생성, 사멸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도록 돕는 역할을 한다. 특히 미세아교세포는 뇌 내 손상된 세포를 제거해 뇌가 정상적으로 기능할 수 있도록 돕는 면역세포다. 연구팀은 또 쥐의 뇌에서 분리된 미세아교세포에 옥틸페놀을 노출했을 때 미세아교세포의 세포 면적이 증가할 뿐만 아니라, 미세아교세포와...
[분석+] 노벨상 받은 마이크로RNA...국내서 글로벌 1호 신약 나올까 2024-10-14 09:17:02
미토콘드리아 수가 줄어든다. 특히 뇌 속에서 면역세포 역할을 하는 미세아교세포의 미토콘드리아가 줄어들어 이 세포가 제 역할을 하지 못하게 된다. 아밀로이드 플라크 같은 치매 유발 단백질을 제거하는 포식작용이 제대로 일어나지 않게 되는 것이다. BMD-001은 이 miRNA의 발현을 저해해 미토콘드리아 수 및 면역세포...
젬백스 “진행성핵상마비 환자, 보행 장애 개선 확인” [KIW2024] 2024-09-09 17:19:59
작용을 통해서다. GV1001을 통해 GnRHR이 활성화되면서 성상세포(astrocyte)와 미세아교세포(microglia)의 신호체계를 조절하게 된다. 성상세포의 균형이 망가지면 뇌혈관장벽(BBB)의 견고함도 함께 무너진다. 미세아교세포는 타우와 아밀로이드 베타를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앞서 2019년 GV1001은 치료목적사용승인을...
젬백스 “세계 최초 진행성핵상마비 증상 개선 치료제 개발 도전” 2024-09-06 09:25:58
작용을 통해서다. GV1001를 통해 GnRHR이 활성화되면서 성상세포(astrocyte)와 미세아교세포(microglia)의 신호체계를 조절하게 된다. 성상세포는 뇌의 항상성을 유지한다. 성상세포의 균형이 망가지면 뇌혈관장벽(BBB)의 견고함도 함께 무너진다. 미세아교세포는 타우와 아밀로이드 베타를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이 대표...
샤페론, 치매 분야 최고 권위 국제학회 AAIC에 참가 2024-07-26 09:46:09
신경세포의 사멸을 방지함으로써 인지 능력을 보전한다. 누세린은 치매의 뇌 염증의 초기 단계와 활성화 단계를 모두 제어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복잡하고 다양한 경로의 염증으로 인한 뇌 신경세포 사멸을 방지하여 기억능이 더 이상 소실되지 않게 한다. 샤페론은 알츠하이머성 치매 마우스 모델에 누세린을 경구 투여한...
비만치료제 확장 어디까지?…심혈관·뇌질환 등 가능성 무궁무진 2024-07-10 15:00:22
약물이 미세아교세포를 타깃으로 해 신경 염증 반응을 차단하는 메커니즘이 밝혀진 점을 언급하며, 파킨슨병·알츠하이머 등에 대한 비만 치료제 임상 시험이 진행 중이라고 소개했다. 이 밖에 비만 치료제를 먹는 방식으로 개발해 편의성을 높이고, GLP-1과 체내 에너지 대사량을 증가시키는 글루카곤, 인슐린 분비 촉진...
이슬기 디앤디파마텍 대표, BIX2024서 'GLP-1 계열 비만약' 주제 발표 2024-07-04 15:23:39
GLP-1 약물이 미세아교세포를 타겟하여 신경염증 반응을 차단하는 작용 메커니즘이 밝혀지면서 파킨슨병 및 알츠하이머병에서도 활발한 임상 개발이 진행 중이다. 두 번째 발표는 '실질적 MASH 치료를 위한 혁신 개발 전략'을 주제로 GLP-1을 기반으로 GCG(글루카곤), GIP(위 억제 펩타이드) 등을 동시에 타겟하는...
[사이테크+] 생쥐 운동시켰더니…"뇌 인지기능 저하 막는 세포 수준 변화" 2024-05-18 06:00:02
뇌 부위인 해마(hippocampus)의 다양한 세포에서 일어나는 유전자 발현 변화를 조사했다. 그 결과 운동이 뇌 기능을 지원하는 중추신경계 면역세포인 미세아교세포(microglia)의 유전자 발현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운동을 한 생쥐들은 노화된 미세아교세포의 유전자 발현 패턴이 젊은 미세아교세포에서...
노화한 뇌세포 젊게…국내 연구진, 치매 치료 가능성 제시 2024-04-12 10:35:19
과도하게 축적되면 치매가 발생한다. 미세아교세포의 기능이 정상일 때는 해당 물질을 먹어 치우지만, 미세아교세포가 노화하면 플라크를 먹어 치우는 탐식 기능이 떨어지면서 신경염증 및 뇌인지 기능 장애가 유도되고 치매의 진행 속도가 빨라지는 것이다. 이에 연구팀은 미세아교세포에 나노입자가 높은 효율로 섭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