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나도 예술 칼럼니스트"…2025 아르떼 필진 모집 2025-01-09 16:34:26
재즈, 뮤지컬, 연극, 발레, 영화, 미술, 건축, 문학 등 분야별 전문가들이 재미있게 풀어내는 예술 이야기는 다른 곳에서 쉽게 볼 수 없는 아르떼만의 콘텐츠입니다. 이동조 예술의전당 무대감독, 월간 ‘객석’ 편집장 출신의 류태형 음악평론가, 강선애 더하우스콘서트 대표, 김동민 뉴욕클래시컬플레이어스 음악감독,...
'1세대 정치평론가'에서 문화평론가로…유창선 박사 별세 2024-12-23 09:38:53
‘1세대 정치평론가’로 활동했다. 한때 현실 정치에 몸을 담은 적이 있는데도, 특정 정당이나 정치인의 대변인 역할을 거부하고 균형잡힌 정치 평론을 한다는 평가를 받았다. 그 탓에 보수 정권과 진보 정권에서 모두 불이익을 받기도 했다. 5년전 받은 뇌종양 진단 이후 고인은 문화예술 평론을 시작했다. 대수술을 받은...
한경 아르떼, 국내 언론 첫 아시안 미디어 어워즈 수상 2024-11-08 11:12:15
조성진 리사이틀 연주회 티켓 이벤트의 경쟁률은 각각 89 대 1, 73 대 1을 기록했다. 아르떼에서만 누릴 수 있는 ‘특별한 경험’을 찾는 신청자가 특히 많았다. 미술관이 문을 닫은 저녁, 오직 아르떼 회원만을 위해 개방하는 ‘나이트 뮤지엄’ 이벤트에 당첨된 한 회원은 “평소 사람이 북적이는 것을 싫어해 미술관...
폐가·블라인드로 펼친 상상력…'런더너' 홀린 韓설치미술 대가 2024-10-17 17:17:29
나오는 까닭이다. 영국 일간지 가디언의 미술평론가 조너선 존스가 지난 8일 게재한 리뷰가 대표적이다. 존스는 이 전시에 별점 1점(5점 만점)을 매기며 이런 혹평을 남겼다. “거대하고, 복잡하며, 감상하는 보람이 없고, 의미와 감동도 없다.” 반면 영국의 미술사가 줄리언 스탈라브라스는 같은 매체에 기고한 글을 통해...
잿빛 서울역, 60년만에 꽃빛·풀빛으로 물들다 2024-10-03 19:15:42
작가가 강사로 일하며 그린 습작, 신인 시절 전국대학미술전람회 대통령상을 안겨준 ‘작업’(1980) 등 초기작을 감상할 흔치 않은 기회다. 작가가 미술평론과 희곡 부문 신춘문예에 당선됐을 때의 원고 등 문필가로서의 면모도 만나볼 수 있다. 전시는 10월 24일까지, 관람료 3000원. 안시욱 기자 siook95@hankyung.com
[이 아침의 화가] '바보예수' 연작으로 세계 놀래킨 김병종 2024-10-01 18:20:16
서울대 미대 회화과에 들어가서는 대한민국미술전람회 동양화 부문에 입선했다. 미술평론으로 동아일보 신춘문예에, 희곡으로 중앙일보 신춘문예에 당선됐다. 1980년 ‘작업’으로 전국대학미술전람회 대상을 거머쥐었다. 세간의 이목을 끈 작품은 1980년대 후반 ‘바보예수’ 연작(사진)이다. 작품이 공개되자 국내 종교...
"더러운 냄새 나"…프랑스 '국가대표 천재' 막말한 이유가 [성수영의 그때 그 사람들] 2024-08-10 10:37:35
평론가들도 앵그르의 작품에 비판을 쏟아냈습니다. 하지만 앵그르는 아랑곳하지 않았습니다. 그는 공부하고, 연습하고, 자신이 추구하는 그림을 계속 그리면서 완성도를 높여 나갔습니다. 그 노력의 결정체가 바로 마흔네 살 때 그린 ‘루이 13세의 서약’. 그의 작품을 비판하던 평론가들도 이 그림이 훌륭하다는 사실은...
"취미에서 행복 싹트죠"…퇴근 후 드러머 '변신'하는 차관 2024-08-08 18:30:36
전 세계 미술관을 찾았다. 근미래 SF소설을 쓰고 싶단 생각에 이세돌이 알파고와 바둑으로 맞붙었을 즈음부터 해외 대학 온라인 과정까지 물색하며 인공지능(AI)을 공부 중이다. 이름난 전업 예술가의 생활 같지만, 실은 어느 공무원이 틈틈이 가꿔온 취향이다. 용호성 문화체육관광부 제1차관 얘기다. 용 차관은 문화 주무...
"엄마는 도구에 불과해"…철없는 아들 '폭탄 발언' 이유가 [성수영의 그때 그 사람들] 2024-06-29 07:00:03
최고의 미술 평론가로 꼽히는 존 러스킨도 그런 사람 중 하나였습니다. 휘슬러의 생각과 정반대로, ‘미술은 사실적이어야 하며, 도덕적인 생각을 키우고 세상을 더 좋게 만드는 데에 기여해야 한다’는 게 러스킨의 지론이었습니다. 그러니 러스킨이 갤러리에 전시된 휘슬러의 작품과 200기니(약 4000만원)라는 가격표를...
제3회 정점식미술이론상에 미술평론가 강선학 2024-06-14 19:18:04
주요 수상 경력으로는 2011년 제3회 미술평론가협회상 미술평론 부문 대상(미술평론가협회) 등이 있다. 정점식미술이론상은 고(故) 정점식 화백(1917~2009)의 예술정신을 기리기 위해 대구광역시와 도솔문화원(정점식 화백 유족 설립)이 공동제정한 상으로 미술창작을 제외한 미술 전 분야에서 미래지향적인 가치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