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miRNA 발견' 노벨상 수상 결정적 연구에 한국인 1저자 2024-10-08 11:11:44
러브컨의 논문에 하일호(65) 박사가 브루스 와이트먼 미국 뮬렌버거대 교수와 공동 1 저자로 이름을 올렸다. 당시 러브컨은 하버드대 의대에서 연구를 진행했는데, 서울대 식품공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럿거스대 박사 과정을 거쳐 하버드대 의대 박사후연구원으로 일한 하 박사가 이 연구에 참여한 것이다. 하 박사는 이날...
KAIST, 딥러닝 창시자와 '인간 뛰어넘는 로봇 AI' 만든다 2024-09-09 15:54:00
은 제대로 구현하지 못하고 있다. 프리프론탈 AI가 개발되면 이론적으로 인간을 뛰어넘는 로봇이 등장할 수 있다. 안 교수는 2015~2017년 몬트리올대 밀라에서 박사후연구원으로 일한 경험을 계기로 KAIST-밀라 프리프론탈 AI 연구센터 유치에 성공했다. 그는 벤지오 교수의 제자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연구재단은...
[이지 사이언스] 과학기술로 재탄생한 전통문화, 디지털로 도약 꿈꾼다 2024-08-03 08:00:07
박창선 KIST 전통르네상스지원단 박사후연구원은 "전통문화와 과학기술을 접목하는 이 사업은 과학기술과 타 분야 융합을 강조하는 최근 분위기에 가장 부합하는 사례"라며 "전통 공예가와 인문학, 과학기술 현업 연구자들이 만나는 장으로는 지원단이 사실상 유일한 곳이고 이를 위한 플랫폼도 구축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종호 장관 "GPU·D램 수명 끝나간다…지능형 반도체가 AI시대 새 길" 2024-07-16 17:50:35
D램을 쌓은 고대역폭메모리(HBM)나 플래시메모리뿐 아니라 M램, F램 등 차세대 반도체를 넣을 수 있다. ■ 약력 △1966년 경남 합천 출생 △경북대 전자공학과 졸업 △서울대 전자공학과 박사 △미국 MIT 마이크로시스템 기술연구소 박사후연구원 △원광대 전기공학과 교수 △경북대 전자전기컴퓨터학부 교수 △서울대...
[연구비 보릿고개]② 해오던 연구, 중간에 물거품?…수요 불일치도 2024-06-02 06:00:11
일례로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연구재단은 젊은 박사후연구원에게 연간 7천만원을 지원해 국외 연수 기회를 주는 세종과학펠로우십 국외연수트랙 대상자를 지난해 50명에서 올해 4배 가까이 확대해 190명 선발하겠다고 공고했다. 하지만, 지원율이 2대 1에 미치지 못하자 최종적으로는 155명만 선정하는 것으로 결정됐다...
[2024 경희대학교 캠퍼스타운 스타트업 CEO] 한약재를 활용한 신약을 개발하는 스타트업 ‘파나큐라’ 2024-05-02 20:56:01
존스홉킨스에서 박사학위 후 칼텍에서 박사후연구원을 역임한 인재로 현재 한양대학교 의과대학 교수로 재직 중이다. 정 교수는 경희대학교 한의학과를 졸업하고 동대학원에서 박사학위 후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교수로 대통령 한방자문의를 역임했다. 앞으로의 계획에 대해 장 대표는 “일반의약품(OTC)으로 미국...
'이 교수와 해야 유리?' 정부 첨단 바이오 인력교류 사업 논란 2024-01-15 06:30:00
이유 등은 제시되지 않았다. 과학계는 이들과 관계있는 특정 연구자들에게 유리할 수 있고 R&D 사업을 무리하게 설계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 과학계 한 관계자는 "연구자 이름까지 내는 건 오해 소지가 크다"며 "최소한 목록에 대한 근거가 있어야 오해가 생기지 않을 텐데 문제가 있다"고 지적했다. 한 대학...
조성경 차관 "R&D 예산으로 빚어진 혼란, 미래 절박함에서 비롯" 2023-11-28 17:23:11
연구원들에게 "R&D 예산 이슈로 빚어진 혼란은 대한민국의 미래를 위한 절박함에서 비롯됐다"고 말했다. 조 차관은 이날 광주 북구 전남대에서 지역 이공계 학생연구원들과 간담회를 갖고 이같이 말했다. 과기정통부는 최근 연구개발(R&D) 예산 구조조정으로 학생연구원들의 우려가 커지자 최근 지역을 돌며 학생연구원을...
"인터스텔라 영화가 맞았네"…블랙홀 들어가자 벌어진 일 2023-09-30 19:30:03
워킹그룹 리더인 손봉원 천문연 책임연구원은 "회전하는 블랙홀 고유의 중력효과인 '틀 끌림 현상'을 이번 연구로 입증했다"고 설명했다. 틀 끌림 현상은 초대질량블랙홀이 회전하면 중력효과에 따라 주변 시공간이 블랙홀 회전을 따라 움직이는(왜곡되는) 것으로, 알베르트 아인슈타인이 일반상대성이론에서...
젊은연구자 만난 이종호 장관 "현장에 충분히 알리지 못해 오해" 2023-09-15 15:49:34
"젊은 연구자들이 도전적인 연구를 할 수 있도록 평가제도가 개선되고 실패를 용인하는 문화가 정착되면 좋겠다"며 "기초연구실과 같은 집단연구과제에도 신진연구자 참여가 확대되면 좋겠다"고 말했다. 한 박사후연구원은 "세종과학펠로우십 등 박사후연구원들에 대한 지원 확대와 이들에 대한 체계적인 지원 방안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