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과기정통부 "CJ온스타일-케이블 3사 송출수수료 합의" 2025-02-06 14:13:37
5일 3개 방송사에 자사의 텔레비전 및 데이터 홈쇼핑 채널 송출을 중단했다. 대가검증 협의체는 이에 열흘 동안 네 차례의 집중적인 회의를 열어 사업자들이 송출수수료 협상과정에서 '홈쇼핑 방송채널 사용계약 가이드라인'을 준수했는지를 검토했다. 검토 결과 가이드라인에 규정한 고려 요소를 활용하지 않거나,...
SK브로드밴드, SPOTV 실시간 UHD 서비스 제공 2025-02-04 09:35:48
스포츠 장면을 보다 생생하게 느낄 수 있도록 SPOTV 채널을 택했다. SK브로드밴드의 주력모델인 스마트3, AI 4 vision등 UHD를 지원하는 셋톱박스를 사용하는 고객들은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를 통해 초고화질 방송을 경험할 수 있다. UHD를 지원하지 않는 TV도 기존보다 업그레이드된 화질로 시청할 수 있다. 조형준...
해지 신청하니 유지 버튼만 크게…'다크패턴' 천태만상 2025-01-22 11:07:36
다양했다. 방송통신위원회는 다크패턴으로 인한 이용자 피해를 줄이기 위해 ‘디지털서비스 이용자 보호를 위한 다크패턴 사례집’을 22일 발간했다. 다크패턴은 이용자의 선택을 왜곡하거나 중요한 정보를 숨기는 등 이용자를 기만하려는 목적의 화면 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I)를 뜻한다. 2010년대 초반부터 등장한...
AI 인프라 확충해 'G3' 도약…LTE·5G 통합요금제로 통신비 경감 2025-01-13 16:00:30
규제샌드박스 실증 특례로 허용됐던 '지역채널커머스 방송'을 방송법 개정을 통해 제도화하는 방안도 추진할 예정이다. ◇ 디지털안전법 제정…디지털 포용정책 본격추진 디지털 재난과 사이버 위협에 대응하기 위해 하반기 '디지털안전법' 제정을 추진한다. 분산된 디지털 안전규정을 하나로 통합해 디...
방송 줄고 온라인 늘고…작년 방송통신광고비 17조7억원 추산 2025-01-09 12:00:09
옥외 광고가 1조2천208억원으로 7.4%였다. 방송 광고비의 경우 전년 대비 15.7%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다. 사업자별로는 2022년 대비 지상파(TV·라디오·DMB)는 18.7% 감소한 1조3천267억원, 방송채널사용사업자(PP)는 13.9% 감소한 1조8천527억원, 종합유선방송사업자(SO)는 0.8% 증가한 1천105억원, IPTV는 24.7% 감소한...
OTT에 밀린 방송…시장 4% 줄어 2024-12-25 17:19:20
2825억원(23.3%) 줄어 방송 프로그램 판매 매출을 밑돌았다. 유료방송사업자의 총매출은 0.4% 늘어난 7조2330억원이었다. 인터넷TV(IPTV)가 수신료, 홈쇼핑 송출 수수료 증가로 2.3% 늘어난 5조72억원을 기록했지만 유선방송, 위성방송은 실적이 줄었다. 유료방송 가입자는 작년 12월 기준 3630만 명으로 전년 대비 3000명...
"정부광고 분리대행, 신중 검토돼야"…국회 검토보고서 2024-12-25 06:00:06
방송 사업자 간 형평성 문제 제기가 있어 신중한 검토가 필요하다고 한 점, 문체부도 코바코의 정부광고 대행은 타 매체와의 공정성과 중립성이 훼손된다며 반대했다는 점을 지적했다. SBS, TV조선, MBN, JTBC, 채널A, YTN 등 주요 방송사업자들도 불수용, 현행 유지 입장을 제출했다. 사유는 주로 "코바코의 정부광고 대행...
과기부 시정명령 예고에도 온스타일-케이블 블랙아웃 지속하나(종합) 2024-12-23 15:38:03
기자 = CJ온스타일이 케이블TV 종합유선방송사업자(SO)를 상대로 채널 송출을 중단하자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조율에 나섰으나 당분간 블랙아웃은 지속할 전망이다. 23일 업계 등에 따르면 과기정통부는 케이블TV 측과 CJ온스타일 양측에 '방송법 위반에 따른 시정명령'을 예고, 관련한 의견을 이날까지 제출하라고...
방통위 "OTT 매출 전년比 6.4%↑…유료방송 대체효과 심화" 2024-12-13 14:29:59
위해 방송사와 OTT 간 경쟁도 심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제작사들은 지상파에 콘텐츠 공급이 불가능한 경우 방송채널사용사업자(PP)보다 OTT를 선호한다고 응답, 방송사업자와 OTT 간 대체성이 상당한 것으로 분석된다. 한편, 올해 설문 결과 유튜브 등 OTT가 실시간 방송광고보다 효과적이라고 인식하는 광고주가...
CJ온스타일 '블랙아웃' 장기화…송출 중단 놓고 책임공방 격화 2024-12-08 17:41:05
협회 측은 송출 수수료가 방송채널사용사업자(PP)의 콘텐츠 제작비로 활용되며, 시청권 보장과 고품질 방송 콘텐츠 제작을 가능하게 해왔다고 설명했다. 이를 통해 홈쇼핑도 시장을 확장했고, SO는 이를 재원으로 저렴한 요금으로 양질의 방송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 이와 관련,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