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내 청춘의 격렬비열도엔 아직도…’ [고두현의 아침 시편] 2025-02-14 00:06:37
떨어져 있지요. 백령도를 제외하면 가장 서쪽에 있어 ‘서해의 독도’로도 불립니다. 정확하게는 ‘격렬비열+도’가 아니라 격렬비(格列飛) 열도(列島)입니다. 이곳은 등대가 있는 북격렬비도와 무인도인 동격렬비도·서격렬비도의 3개 섬으로 이뤄져 있습니다. 3형제 중 가장 큰 섬은 동격렬비도입니다. 북격렬비도는...
인천 옹진군 "섬 추가 택배비 지원" 2025-02-10 13:46:44
추가 배송비를 지불한 개인만 신청이 가능하다. 이번 연도부터는 육지와 연결된 영흥면도 포함된다. 단, 받는 택배의 추가 배송비만 지급한다. 섬 주민 1인당 연간 최대 40만원을 지원한다. 신청 기간은 2월 10일부터 12월 12일까지다. 옹진군에는 백령도, 연평도, 대청도 등 택배가 가능한 섬이 24개가 있다. 인천=강준완...
전라권에 '대설특보'…여객선 47척·항공기 2편 운항 중단 2025-02-05 08:58:34
인천백령도 등 주요 항로를 포함한 37개 항로 47척의 여객선 운항이 전면 중단됐다. 이와 함께 10개 국립공원 176개 탐방로로의 출입도 통제되고 있다. 기상청은 전라권을 중심으로 대설특보가 발효된 가운데 시간당 1~2cm의 강한 눈이 예보돼 추가 피해가 우려된다고 경고했다. 이날 오전 5시 기준 전북에는 대설 경보가...
폭설·강풍에 귀성길 차질…스키장 '북적' 2025-01-28 16:23:04
강풍과 높은 파고로 여객선도 여수∼거문도, 인천∼백령도 등 73개 항로, 96척의 운항이 결항했다. 인천을 비롯한 서해안의 여객선 운항은 전날부터 이틀째 차질을 빚었다. 지방도의 경우 제주·전남 각 5곳, 충남 4곳, 경북·경남 각 3곳 등 24곳에서 차량 운행이 중단됐다. 한국철도공사(코레일)는 전국적인 폭설과...
전국 폭설·강풍…설 하루 앞두고 귀성길 차질 2025-01-28 16:05:27
여수∼거문도, 인천∼백령도 등 73개 항로, 96척의 운항이 결항했다. 인천을 비롯한 서해안의 여객선 운항은 전날부터 이틀째 차질을 빚어 귀성객들이 발을 동동 굴렀다. 지방도의 경우 제주·전남 각 5곳, 충남 4곳, 경북·경남 각 3곳 등 24곳에서 차량 운행이 중단됐다. 한국철도공사(코레일)는 전국적인 폭설과 한파로...
폭설에 항공기·여객선 결항…귀성길 '발동동' 2025-01-28 12:26:36
16편, 청주 11편 등이다. 여객선도 여수∼거문도, 인천∼백령도 등 73개 항로·96척의 운항이 차질을 빚었다. 국립공원의 경우 북한산·무등산·지리산 등 20개 공원·527개 구간의 출입이 통제됐다. 지방도는 제주·전남 각 5곳, 충남 4곳, 경북·경남 각 3곳 등 24곳에서 차량 운행이 중단됐다. 소방당국은 전날 6시...
한일미래파트너십재단, 일본에 한국 고교교사 50명 파견 2025-01-21 17:00:02
JR 동일본 등을 찾는다. 이들은 제주도와 백령도를 포함한 전국에 근무하고 있으며, 일반고는 물론 특성화고, 국제고, 영재학교, 자율형사립고 등 다양한 학교 소속이라고 재단은 소개했다. 지난해 1월과 8월에 이어 세 번째로 열리는 이번 교류 프로그램은 6.4대 1의 선발 경쟁률을 기록했다. 이날 파견 교사들은 도쿄...
물류·여객 몰리는 인천항…올해도 상승세 이어간다 2025-01-15 18:41:43
수 있어 호평받고 있다. 15만1800원을 내야 하는 백령도 왕복 여객선을 5만3520원에 이용할 수 있다. 인천항에는 인천 섬을 다녀올 수 있는 연안여객터미널, 호화 유람선 크루즈여객터미널, 한·중 카페리의 신국제여객터미널 등이 있다. 지난해 인천항을 이용한 여객 수는 연안여객터미널 86만 명, 한·중 카페리 35만 명,...
"경제성 없다" 지적에도…지역 민심 눈치에 너도나도 "신공항" 2025-01-08 17:36:25
나온다. 울릉공항과 백령도공항, 흑산도공항 등 섬 지역에 들어서는 소형 공항도 철새 서식지와 가까운 데다 활주로 길이가 1200m로 매우 짧아 안전성 우려가 확산하고 있다. “새만금공항 활주로 길이를 2500m에서 3200m로 늘려야 한다”(전라북도의회), “흑산도공항을 백지화해야 한다”(광주·전남환경운동연합) 등...
[우후죽순 소형공항] ③ 또 추진되는 8곳…"짓지만 말고 운영능력 검토해야" 2025-01-05 06:30:13
단계다. 백령도에 세워지는 백령공항은 항공여객수요 2059년 30만명을 예상하고 2030년 개항목표로 2천18억원을 들여 만들어진다. 마지막으로 규모가 가장 작은 서산공항은 기존 공군 활주로를 활용해 사업비가 484억원으로 적다. 2028년 문을 여는 것이 목표로, 여객 수요 예상 인원은 2058년 45만명이다. 이들 공항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