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유통그룹들도 'AI 기술개발 속도'…백화점·대형마트 탈바꿈 2025-02-16 07:01:00
번역과 요약, 주문형 챗봇, 회의록 자동 생성 등의 역할을 하고 있는데 조만간 AI 보고서 생성 기능도 갖춘다. 롯데 전 계열사는 또 대홍기획의 AI랩이 마케팅 효율을 높이기 위해 개발한 전용 올인원 AI 시스템인 '에임스'(AIMS)도 도입했다. 특히 롯데쇼핑은 온라인 식료품 사업을 키우기 위해 영국 리테일테크...
"1박2일로 여행 코스 짜줘" 요즘 필수라는데…놀라운 결과 2025-02-13 20:30:01
맞춤형 여행 서비스가 확산하면서 여행 준비부터 숙소 예약, 번역 서비스 등 이용 사례가 늘어난 점을 이유로 들었다. 최근 열린 '한-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관광과 인공지능(AI) 포럼'에 참석한 장미란 문체부 제2차관은 "생성형 AI에 경주 여행 코스를 물었더니 숙련된 안내자처럼 일정을 몇 초 만에 제안하는 ...
컴투스, 지난해 영업익 66억원…흑자 전환 2025-02-13 09:28:45
프로젝트도 준비 중이다. 이밖에도 컴투스는 올해 AI 연구 개발을 강화해 게임 개발과 서비스를 고도화한다. 게임 콘텐츠의 본질적 재미를 높일 수 있도록 게임에 특화된 반응형 AI를 구현하고 아트, QA 등에 AI 기술을 적용하고 게임 내 시나리오 및 텍스트 관련 부분의 번역, 음성 등에도 AI 기술을 적용할 예정이다.
[더 라이프이스트-구건서의 은퇴사용설명서] '스마트폰 좀비'는 되지 말자 2025-02-11 17:38:55
현상은 아니다. 스마트폰에는 다양한 형태의 앱을 설치할 수 있다. 필자가 편리하게 사용하는 것은 송금 등 은행거래, 기차표 예매, 고속버스 예매, 독서, 일기쓰기, 사진과 동영상 찍기, 글쓰기, 지도검색, 내비게이션, SNS, 온라인 구매, 검색, chatGPT, 메일, 유튜브 시청, K mooc 수업, 화상 강의, 녹음, 회의록, 번역,...
AI 스타트업 올거나이즈, 도쿄메트로에 생성형 AI 서비스 공급 2025-02-11 16:13:28
한국어를 포함해 총 8개의 언어로 자동 번역돼 관광객에게도 유용하다고 회사 측은 설명했다. 분실물 접수도 챗봇을 활용할 수 있다. 기존에는 분실물 문의를 이메일로만 진행해 고객과 질문, 답변을 여러 차례 주고받는 과정이 필요했다. 고객은 챗봇의 안내에 따라 개인정보와 물건을 분실했을 때의 상황, 물건 정보 및...
셀럽인가 사기꾼인가? 뉴욕 사교계 뒤흔든 애나의 사기극 2025-02-09 18:35:51
앱, 모바일 메신저 대화 등을 구현해 단조로움을 탈피했다.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오가는 설정을 무대 위에서 구현해냈다. 800억원이 넘는 재산 상속녀라는 애나가 흰 티에 청바지 단벌 의상으로 등장하는 점도 상류층의 화려함을 기대한 이들에겐 아쉬움을 남길 법하다. 하지만 감각적으로 말맛을 살린 대사와 보고 싶은...
우크라군이 본 북한군 대량사상…"구식전술에 러 지원도 부족" 2025-02-08 10:13:29
했다고 한다. 병사가 그를 제압하고 스마트폰 번역 앱을 이용해 상황을 설명한 후, 국가안보국(SBU) 요원들이 그를 키이우로 이송했다. 다른 포로 생포 시도는 실패했다. 방탄복 안에 수류탄을 터뜨려 자살을 시도했기 때문이다. 우크라이나 제47기계화여단 대원들은 북한의 무자비한 공격은 러시아의 영토 탈환에 도움...
'애나 엑스' 뉴욕 사교계 발칵 뒤집은 가짜 상속녀 [연극 리뷰] 2025-02-05 11:00:12
인스타그램과 커플매칭 앱, 모바일 메신저 대화 등이 구현돼 단조로움을 탈피했다.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오가는 설정을 무대 위에서 구현해냈다. 다만 한국에서 선보여지는 작품임에도 메시지 등 대부분의 이미지가 영어 원문 그대로 사용됐다. 800억원이 넘는 상속녀라는 애나가 흰 티에 청바지 단벌 의상으로 등장하는...
'김치를 파오차이로' 투어스 中멤버 논란에…서경덕 "정말 잘못" 2025-02-05 08:42:14
중국인 멤버 한진이 팬과의 소통 앱에서 김치의 중국어 표기를 ‘파오차이’(泡菜)로 표기한 데 대해 “정말 잘못한 일”이라고 지적했다. 서 교수는 5일 자신의 페이스북에 한진의 소통앱을 캡처한 이미지와 함께 “같은 내용으로 정말 많은 제보를 받았다”며 이 같이 밝혔다. 문화체육관광부는 2021년 '공공 용어의...
"딥시크 이렇게나 많이 썼다고?"…챗GPT 이어 2위 2025-02-04 09:02:19
사용자 표본 조사로 실시했다. 생성형 AI 앱은 정보 검색·텍스트·이미지 등의 콘텐츠를 생성하거나 개인 비서의 역할을 수행하는 대화형 AI 서비스를 기준으로 전용 앱이 있는 경우를 대상으로 선정했다. 사진 촬영, 메모, 번역 등 특정 기능에 특화된 앱은 제외했다. 박수빈 한경닷컴 기자 waterbea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