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당신은 오늘 점심에 무엇을 먹는가? [장석주의 영감과 섬광] 2024-07-23 17:19:25
먹는데, 복어 살은 쫄깃했다. 입 안에 넣고 씹는 맛이 꽤 괜찮았다. 복국의 담백한 국물은 남김없이 먹는다. 그 맛은 뭐랄까? 그건 바다의 맛이다. 복국집에 가면 반드시 복껍질무침 한 접시도 주문한다. 복어 살은 다 씹을 새도 없이 목구멍으로 넘어간다. 미나리와 함께 무친 복 껍질은 까슬까슬한 식감에 천천히 씹어...
[월간미식회] 미쉐린 pick, 부산 해운대구 맛집 4 2024-06-03 15:27:32
부드러운 복어살, 아삭한 콩나물의 조화가 은혜롭다. KICK! 식초 복국에 약간의 변주를 주고 싶다면 식초를 소량 더해보자. 복어 특유의 감칠맛이 배가된다. 맑은탕에는 2스푼, 매운탕에는 1스푼 더하는 것이 국룰. 차오란 문을 여는 순간 홍콩으로 순간 이동한 듯한 착각에 잠시 사로잡혔다. 화려하게 번영했던 1920년대...
"'이것' 많이 먹는 한국인, 부러워"…日 유명 작가의 극찬 [정영효의 인사이드 재팬] 2024-02-12 11:23:20
"서울 무교동 철철복집에서는 큼직한 복어껍질을 구워먹더군요. 일본은 복어껍질 무침은 먹어도 복어껍질을 정식 메뉴로 먹진 않죠. 반대로 에도시대부터 복어 독 없애는 기술을 터득한 이시카와현은 일본에서 유일하게 독성이 가장 강한 난소를 맛볼 수 있는 곳이에요." '고독한 미식가'의 원작자 구스미...
"일본도 혼밥시대 얼마안돼…속 불편한 세상, 작품에 다 담았죠" 2024-01-07 18:49:19
복집에서는 큼직한 복어껍질을 구워 먹는다”며 “일본은 복어껍질 무침은 먹어도 복어껍질을 정식 메뉴로 먹진 않는다”고 했다. 그는 “에도시대부터 복어 독 없애는 기술을 터득한 이시카와현은 일본에서 유일하게 독성이 가장 강한 난소를 맛볼 수 있는 곳”이라고 말했다. 주류 문화의 차이도 언급했다. 한국은 술을...
[주니어 생글 기자가 간다] 나만의 요리 비법을 공개합니다! 2023-04-09 01:12:10
무서운 어류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일반인은 복어 요리를 할 수 없고 직업 요리사만 할 수 있다. 요리사라고 다 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복어 요리를 할 수 있는 자격증을 따야 한다. 요리는 일상에서 흔히 접하다 보니 별것 아닌 듯이 보이기도 한다. 하지만 막상 요리를 해 보면 여러 가지 어려운 점을 느낄 수 있다....
코트야드 메리어트 서울 타임스퀘어, 중화요리 프로모션 진행…고품격 메뉴 선봬 2022-10-31 16:00:09
부드럽고 촉촉한 연잎 동파육과 죽순, 버섯, 청경채 등과 어우러진 매콤한 양념을 한 해삼탕까지 모두 신선한 제철 식재료의 식감을 살린 최고의 겨울 진미를 맛볼 수 있다. 이외에도 복어껍질에 향긋한 유자 폰즈를 마리네이드 해 콜라겐 함량이 높아 피부 미용효과에도 좋은 복어피 초회와 양다리 구이, 립아이...
'생방송 투데이' 生복 곤이X수육X복불고기, 40년 전통의 담백한 맛 2020-01-09 19:57:00
"복어는 독을 제거하는 게 중요하다. 북어 껍질과 새우젓을 배합해 감칠맛을 더한다"고 전했다. 이어 "숙성한 후 참기름에 살짝 볶으면 된다. 복어 고유의 맛이 있기에 따로 재료를 넣지 않아도 된다"며 "복어의 향을 살리고 담백하고 깔끔한 맛을 낸다"고 설명했다. 특히 생복 곤이는 겨울철에만 맛볼 수 있는 별미이기에...
흑산도를 마주한 채…복국의 고수를 만났다…뱃고동 안주 삼아 한 女人의 인생사에 건배 2019-06-30 14:58:55
껍질묵의 맛여자는 복어 요리의 기술자다. 생선을 말리는데도 선수다. 마른 생선은 간을 삼삼하게 해야 맛있다. 너무 짜게 절여서 말리면 맛이 없다. 생선은 무조건 “산 놈을 말려서” 쓴다. 가을부터 겨울 사이에 말리는데 햇볕보다는 바람에 살살 말리는 것이 좋다. 복어를 다룬 지도 벌써 35년째다. 복은...
[알쏭달쏭 바다세상] ⑮ '나비 날면 먹지 않는다'는 치명적인 녀석의 정체는? 2019-06-09 08:01:02
갖고 있다. 살아있는 복어가 그물에 걸려 올라오면 이빨을 갈기 시작하고 모조리 물어뜯을 기세를 보인다. 원통한 일을 당해 이를 갈 때 "복어 이 갈 듯한다"는 속담을 쓰기도 한다. 복어 독 '테트로도톡신'은 자연계에 존재하는 강력한 독 중 하나다. 알, 간, 창자, 혈액, 껍질 등에 들어있다. 과거에 복어를...
[천자 칼럼] 호르메시스 효과 2018-07-17 19:42:09
예다.최근에는 복어의 독을 이용한 진통제와 치료약 개발이 한창이다. 일제 치하 의친왕이 독성 강한 비상(砒霜)을 조금씩 먹으며 독살 위험에 대비했다는 얘기도 같은 맥락에서 이해할 수 있다. 알코올 또한 적정량일 때는 몸에 이롭다. 분당서울대병원 배희준 교수팀이 미국신경학회 학술지에 발표한 논문에 따르면 하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