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미 텍사스대 오스틴이 최첨단 반도체 인재 육성소로 거듭난 비결은 2025-05-17 08:00:02
공학을 부전공으로 선택할 수 있는 식이다. 보네케이즈 학장은 "학생들이 다방면의 분야에 탐구할 수 있도록 문턱을 크게 낮췄다"며 "화학 전공자더라도 반도체 공학을 접하면 상호 이해도가 높아지고 생각의 영역이 넓어지게 된다.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학생들이 전반적으로 지적 능력을 키울...
"교수가 챗GPT로 강의 준비"…등록금 환불 요구한 美학생 2025-05-15 10:38:16
일간 뉴욕타임스(NYT)에 따르면 올해 2월 부전공으로 경영학을 공부하던 노스웨스턴대 4학년생 엘라 스테이플턴은 담당 교수가 학교 시스템에 올려놓은 조직 행동론 수업 강의 노트로 복습하던 도중 문제 내용을 발견했다. 강의 노트에는 "모든 분야에서 확장해. 보다 세부적이고 구체적으로 써" 등 교수가 챗 GPT에 내린...
"학생은 못쓰게 하면서"…AI로 강의노트 만든 교수 2025-05-15 10:18:57
2월 부전공으로 경영학을 공부하던 노스웨스턴대 4학년생 엘라 스테이플턴은 담당 교수가 학교 시스템에 올려놓은 조직행동론 수업 강의노트로 복습을 하다가 이상한 내용을 발견했다. 강의노트 중간쯤에 "모든 분야에서 확장해. 보다 세부적이고 구체적으로 써." 등 챗GPT에 내린 지시로 추정되는 부분이 들어 있었기...
"챗GTP 못쓰게 하더니 정작 교수는…" 美학생, 등록금 환불 요구 2025-05-15 10:10:51
올해 2월 부전공으로 경영학을 공부하던 노스웨스턴대 4학년생 엘라 스테이플턴은 담당 교수가 학교 시스템에 올려놓은 조직행동론 수업 강의노트로 복습을 하다가 이상한 내용을 발견했다. 강의노트 중간쯤에 "모든 분야에서 확장해. 보다 세부적이고 구체적으로 써." 등 챗GPT에 내린 지시로 추정되는 부분이 들어 있었기...
로저 보네케이즈 "화학 전공자도 반도체 부전공으로…이종학문 융합 특화" 2025-05-14 17:37:05
최우수 공학도들이 본격적으로 연구할 것”이라고 말했다. 서로 다른 학문 간 융합이 활성화돼 있다는 점도 코크럴공대만의 차별화한 경쟁력이다. 예컨대 화학이나 물리학 전공자라도 어렵지 않게 반도체공학을 부전공으로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식이다. 보네케이즈 학장은 “학생들이 다방면의 분야를 탐구할 수 있도록...
서울대, AI 패러다임 바꾼다…'생각하는 컴퓨터' 설계 사활 [강경주의 테크X] 2025-04-13 07:27:01
복수·부전공, 연합·협동전공 등 매 학기 600명 이상의 학생들이 수업을 듣고 있다. 첨단융합학과 및 컴퓨팅·데이터과학 연합전공 학생들까지 더해질 경우 교원 부족 사태로 인한 교육의 질 저하는 가속화될 수밖에 없다는 우려가 커지는 이유다. 서 소장은 "교육 대상이 10배 늘었지만 교원과 인프라는 여전히 학부 정원...
"韓 글로벌 경쟁력 갖추려면 교원·인프라 확충 시급" 2025-04-11 17:43:14
교수 정원은 64명에 불과하다. 복수·부전공, 연합·협동전공 등 매 학기 600명 이상의 학생이 수업을 듣는 상황을 감당하기 어렵다는 것이 교수진의 하소연이다. 첨단융합학과 및 컴퓨팅·데이터과학 연합전공 학생들까지 더해지면 교원 부족 사태로 인한 교육의 질 저하는 가속화할 수밖에 없다. 서 소장은 “교육 대상이...
한기대, 학사과정 모집 단위 전면 개편...전공 선택권 강화 2025-04-11 01:48:12
AI 교육을 강화하고, 복수전공·부전공·융합전공 등 다전공 이수와 마이크로디그리 취득을 통해 융합형 인재를 양성할 계획이다. 마이크로 디그리는 마이크로(micro와 디그리(degree)의 합성어로 전공을 세분화해 집중 이수·인증하는 제도다. 또, 자율전공으로 입학한 신입생에게는 전공설명회·전공체험·전공박람회 등...
"반도체 공부하고 싶어도 못해요"…서울대생의 '탄식' [강경주의 테크X] 2025-03-09 07:00:09
복수전공, 부전공까지 수백명의 학생들이 반도체에 관심을 가지고 있는데, 교수가 모자라 밀려드는 수강 신청을 반려할 수밖에 없는 것이 한국의 현실"이라며 안타까워 했다. 인재 육성보다 반도체 교수 확충이 더 시급하다는 의견은 수년 전부터 제기됐지만 정부 지원이나 정책은 크게 달라진 것이 없다는 하소연이 학계...
"반도체학과 교수, 대만국립대 50명 vs 서울대 20명" 2025-03-07 18:04:17
“서울대 전기공학부만 해도 복수전공, 부전공까지 수백 명의 학생이 반도체에 관심을 갖고 있는데 교수가 모자라 밀려드는 수강 신청을 반려할 수밖에 없는 것이 한국의 현실”이라며 안타까워했다. 반도체 분야 교수 확충 문제가 수년 전부터 제기됐지만 크게 달라진 것은 없다. 서울대의 반도체 교수는 20명에 불과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