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팩트체크] 연이은 사고…여객기 타도 정말 안전할까? 2025-02-03 07:20:00
난기류를 만나거나 활주로를 벗어나는 경우이기 때문이다. 1983년부터 2000년까지 미국에서 발생한 568건의 여객기 추락 사고에서 95%의 승객이 생존했다. 최근 전 세계 여객기 승객 1억 명당 사망자 수는 2명 수준으로 줄었다. 1960년대에는 1억 명당 133명이 사망했지만 2000년대 초반부터는 20명 아래로 급감하고 있다....
에어부산 화재 여객기, 17년된 에어버스 기종…국토부 조사 착수(종합) 2025-01-29 01:58:18
10월 28일 일본 간사이 국제공항에서 꼬리 부분이 활주로와 접촉하는 '테일 스트라이크'를 겪은 적이 있다. 그 외에는 별다른 사고나 준사고 이력이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에 사고가 발생한 에어부산은 2007년 아시아나항공과 부산시 및 부산 향토 기업들이 공동 출자해 세운 저비용항공사(LCC)다. 지난해...
"활주로 2㎞ 앞서 블랙박스 정지"…제주항공 사고 예비보고서(종합) 2025-01-27 09:10:20
01활주로 착륙을 허가했다. 착륙 허가를 받은 사고기는 01활주로로 접근 중 오전 8시 57분 50초에 관제탑으로부터 조류 활동(충돌)을 주의하라는 내용을 전달받았다. 그로부터 꼭 1분 뒤 블랙박스 기록이 동시에 중단됐다. 사고기는 그 직후인 오전 8시 58분 56초에 조류 충돌로 인한 메이데이(비상 선언)를 3회 외치는...
"사고 항공기, 활주로 2㎞ 앞두고 블랙박스 정지" 2025-01-27 08:31:40
01활주로의 시작점(활주로 최남단)에서 남쪽으로 약 1.1NM(해리) 떨어진 바다 위를 비행하던 것으로 항철위 조사 결과 파악됐다. 약 2천37m의 거리다. 당시 속도는 161노트(시속 약 298㎞), 고도는 498피트(약 151m)였다. 이때 양쪽 엔진에 겨울 철새인 가창오리가 빨려 들어간 것으로 추정된다. 두 엔진 모두에서...
"활주로 2㎞ 앞두고 블랙박스 정지"…첫 정식 조사보고서 2025-01-27 07:46:56
뒤에 조류 충돌로 인한 메이데이(비상 선언)를 보내는 동시에 고도를 높이는 복행을 했다. 이후 활주로 왼쪽 상공으로 비행하다가, 오른쪽으로 선회한 뒤 당초 내리려던 활주로 반대 방향인 19활주로에 랜딩기어가 내려오지 않은 상태로 동체 착륙했다. 조류 충돌이 블랙박스를 비롯한 항공기 장치 기능 이상에 미친 영향과...
"활주로 2㎞ 앞두고 블랙박스 정지"…제주항공 사고 예비보고서 2025-01-27 07:17:51
6초 뒤에 조류 충돌로 인한 메이데이(비상 선언)를 보내는 동시에 고도를 높이는 복행을 했다. 이후 활주로 왼쪽 상공으로 비행하다가, 오른쪽으로 선회한 뒤 당초 내리려던 활주로 반대 방향인 19활주로에 랜딩기어가 내려오지 않은 상태로 동체 착륙했다. 조류 충돌이 블랙박스를 비롯한 항공기 장치 기능 이상에 미친...
마지막 4분 7초 블랙박스 중지…양쪽 엔진 모두 오리와 충돌 2025-01-25 16:00:03
56초 조종사는 관제탑에 조류충돌로 인한 비상선언(메이데이)을 실시했다. 이후 여객기는 활주로 좌측 상공으로 비행하다 반대 방향으로 착륙하기 위해 선회 후 활주로에 착륙을 시도했다. 착륙 당시 랜딩기어는 내려오지 않은 상태였다. 결국 활주로를 동체로 질주한 여객기는 오전 9시 2분 58초 방위각 시설과 충돌했다....
'조류 경고' 1분 만에 블랙박스 먹통…CCTV에 '새떼 접촉' 포착 2025-01-25 16:00:01
착륙 접근을 위해 처음 교신했다. 관제탑은 사고가 발생한 활주로의 반대 방향인 01활주로로 착륙 허가를 했다. 3분 7초 뒤인 8시 57분 50초에 관제탑은 항공기에 '조류 활동(충돌) 주의' 정보를 발부했다. 이후 8시 58분 11초, 기장과 부기장은 항공기 아래쪽에 조류(새떼)가 있다는 내용의 대화를 나눴다. FDR와...
경찰 '여객기 참사' 김이배 제주항공 대표 출국금지 '연장' 2025-01-24 11:02:39
확보한 증거물에 대한 검토·분석을 진행 중이다. 지금까지 무안공항과 한국공항공사 관계자 등 20명 안팎의 참고인 조사를 벌였다. 앞서 지난해 12월 29일 오전 9시3분께 무안국제공항 활주로에서 방콕발 제주항공 여객기가 동체만으로 비상 착륙하려다 활주로 밖 LLZ 콘크리트 둔덕을 정면충돌하고 폭발했다. 사고로...
[다산칼럼] 무안공항 콘크리트벽의 교훈 2025-01-23 17:40:16
착륙을 완벽하게 해냈다. 비상사태 대응에 성공했던 것이다. 그러나 런웨이 끝의 상상치도 못한 콘크리트 벽이 179명을 사지로 내몰았다. 구조물은 보통 연약해서 문제가 되곤 했다. ‘순살아파트’나 철거 건물, 붕괴된 백화점이나 다리들 말이다. 하지만 부드럽고 유연하며 탄력적이어야 할 시설도 또 나름대로 얼마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