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백령·대청도,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 후보지 선정 2024-03-04 12:57:41
후보지로 선정됐다. 백령도에는 두무진·사곶해변·진촌리 현무암 등 5개의 지질명소가, 대청도에는 옥죽동 해안사구·농여해변 등 4개의 지질명소가, 소청도에는 분바위와 월띠가 있다.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 인증을 위해서는 국제가치 규명, 기반시설, 지오(Geo)협력체계 구축 등 101가지 인증요건을 충족시켜야 한다....
문경복 옹진군수 "교통·약국…섬 주민 불편 적극 해소" 2023-09-25 11:19:09
천연기념물(현무암, 사곶해변 등), 명승지(두무진), 전국 최대 규모의 해안사구, 생태 갯벌을 보유하고 있다. 전국에서 천혜의 자연을 갖추고 있는 드문 곳이지만 불편한 진실이 있다. 연평해전과 천안함 피격 사건 등 북한과 경계선에 있으며 인구 감소 지역이다. 옹진군의 전체 인구는 2만여 명으로 인천의 10개 시·군...
"백령도가 뜬다"...공항에 이어 K-관광섬 도약 2023-04-17 17:27:10
나선다. 용기포구항을 거점으로 사곶해변, 콩돌해안 등을 K관광 거점으로 육성하고 하늬해변 생태관광, 백령·대청·소청 지질관광 및 백령~대청~소청 순환선으로 백령·대청·소청을 하나의 권역으로 연결하기로 했다. 백령도는 국내서 희귀하고 학술 가치가 높은 국가지질공원, 다양한 생물의 서식처인 국가생태관광지역,...
섬의 무늬속에 남아 있는 삶의 무늬 2021-06-29 10:36:27
세계 두 곳뿐인 천연비행장 백령도 사곶해변(천연기념물 391호) 지키기를 해서 문화재청의 역학조사를 이끌어냈고, 최고의 대피항인 통영의 강구안 항에서 어선들을 쫓아내려던 해수부의 관광개발 사업으로부터 어선들의 대피항을 지켜낸 것은 지금까지 화제가 되고 있다. 강 시인은 행안부 정책자문위원, 경남도, 전남도...
백령도 앞바다 점박이물범 '와우~'…대청도 해안사구 낙타 타고 '찰칵' 2019-09-25 16:50:46
즐길 수 있는 섬이다. 백령도의 두무진, 진촌리 현무암, 사곶해변, 콩돌해안, 용틀임바위 등이 둘러볼 만한 관광지다. 백령도는 10억 년 전의 신원생대 퇴적암과 7억 년 전의 생물 흔적 화석으로 알려진 ‘스트로마톨라이트’를 볼 수 있는 국가지질공원이다. 2014년 인천아시안게임 마스코트인 점박이물범의 국...
10억년 비경 활짝…백령도·대청도 국가지질공원 인증 2019-07-06 09:00:05
사곶해변, 대청도 농여해변·서풍받이·해안사구·검은낭, 소청도 분바위 등 10곳이다. 백령권 지질공원 인증에 따라 국가지질공원은 전국에 12곳으로 늘어났다. 백령·대청·소청도에는 10억년 전 신원생대의 변성 퇴적암이 분포하고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생물 흔적 화석인 스트로마톨라이트 흔적이 남아 있어...
강화·서해5도 '평화 관광벨트' 구축한다 2019-05-29 16:52:38
활주로 사곶해변, 심청이가 몸을 던진 인당수, 까나리 액젓을 뿌려 먹는 백령냉면이 유명하다.대청도에는 나이테바위와 분바위가 있으며, 소청도에는 원시 미생물 화석으로 알려진 스트로마톨라이트가 그대로 남아 있다. 대청도의 모래사막, 지두리해변, 수직절벽, 홍어 요리가 유명하다. 연평도는 포격 사건과 해전으로...
[ 사진 송고 LIST ] 2019-05-11 10:00:01
05/11 08:00 서울 전수영 사곶 해변을 달리는 관광버스 05/11 08:00 서울 전수영 해안가 용바위 05/11 08:00 서울 전수영 백령도 사곶 해변 05/11 08:00 서울 전수영 심청각에 설치된 심청 동상 05/11 08:00 서울 전수영 '서해의 해금강' 두무진 05/11 08:00 서울 전수영 하니 해변에 설치된...
[서해 최북단 섬들을 가다] 신의 솜씨 깃든 비경 속으로 2019-05-11 08:01:04
호(戶)를 그린다. 천연기념물 제391호로 지정된 사곶해변이다. 모래층 위에 고운 규암 가루가 쌓여 형성된 길이 2㎞ 해변으로, 썰물 때면 폭이 200m에 달한다. 해변은 표면이 단단해 자동차가 달려도 바퀴가 빠지지 않는다. 비행기도 뜨고 내릴 수 있는 천연비행장인데, 이탈리아 나폴리 해변과 함께 지구상 단 두 곳만...
6·25전쟁 참전 해군용사 2명 60여년 만에 무공훈장 2018-12-31 16:30:15
수행과 웅진반도와 사곶 등 적진에서 발발한 함포 교전에 참전한 공로를 인정받았다. 고인 아들과 손자 모두 해군에 복무해 3대 해군 가족이기도 하다. 충무·화랑무공훈장을 받은 주 예비역 하사는 1950년부터 1953년까지 전투함(PC·지리산함)과 어뢰정(PT·제비정) 등에서 근무하면서 덕적도 탈환 작전, 통영상륙작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