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책마을] 韓 문학의 오랜 빈칸 채워줄 바로 이 소설을 기다려왔다 2025-01-17 18:20:24
서사 및 퀴어 서사의 아름다움과 문학적·사회적 가치가 재발견되며 큰 인기를 얻었다. 문학에서 다양성의 복원은 단지 기존과의 다름에서 오는 것이 아니라 권력적으로 지워져온 이야기, 보이지 않던 목소리를 다시 되찾는 과정임을 알게 된 시간이기도 했다. 그때 편집자로서 앞으로 찾고 싶은 이야기라고 생각한 것이 바...
"규제 중심 대학시스템 바꿔야…학생 선발, 학교 자율에 맡길 때" 2024-11-24 18:00:54
이미 서울대는 지역균형전형, 기회균형특별전형 등을 시행 중입니다. 다만 더 확대하기 위해서는 현실적인 제약이 해소돼야 합니다.” ▷어려운 점은 없나요. “선발 단위가 학과 등 소규모일 경우 여기서 지역인재를 추가로 뽑는 것은 쉽지 않죠. 또 블라인드로 학생을 선발하는 현 상황에서 다양성을 확보하는 것이...
"교수들이 학생 확보하려는 것"…이창용, 서울대에 일침 [강진규의 BOK워치] 2024-10-14 11:55:38
그는 "한국 사회의 기득권이 신산업 전환을 가로막고 있다"며 "(산업 전환을 위해서는) 새로운 분야의 인재들이 많이 나와야 하는데 교수들은 자기 학생 TO(정원)는 놓치기 싫고, 그러니까 수요가 많은 쪽에 학생들이 가는 게 아니라 교수들의 숫자대로 (학과 정원이) 잡혀 있다"고 짚었다. "시기상조"라도 답한 고려대에...
지역별 비례선발 제안한 한은 총재 "SKY 교수들 결단해달라" 2024-08-27 14:00:02
'입시경쟁 과열로 인한 사회문제와 대응 방안'이라는 제목의 보고서를 통해 지역별 비례선발제를 제안했다. 각 대학이 신입생을 지역별 학령인구 비율을 반영해 선발하되 선발 기준과 전형 방법 등을 자유롭게 선택하는 방식이다. 이 총재는 연구의 배경에 대해 "교육 측면에서 우리 사회는 '나쁜...
"상위권대 진학률, 경제력·지역이 좌우…지역비례선발 필요" 2024-08-27 14:00:00
사회 내 고질적 문제들의 근본 원인으로 지목했다. 상위권대를 향한 교육열이 수도권 인구 집중과 서울 주택 가격 상승을 유발할 뿐 아니라, 수도권 인구 밀도가 높아지고 경쟁이 치열해질수록 양육비와 주거비 부담 탓에 출산 시기를 늦추거나 자녀 수를 줄이는 경향이 심해진다는 주장이다. 대학 교육 과점에서도 출신...
"투자하려는데 이직 사유 좀"…'기업 속살' 다 공개하라는 이유 [김대영의 노무스쿨] 2024-08-12 11:15:46
58개 세부 지표로 구성됐다. 기업의 사회적 책임·지속가능경영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커지자 인적자본 가치를 산출해 기업가치를 정확하게 평가하려는 취지에 따라 마련됐다. ISO 30414는 △규정 준수·윤리 △비용 △다양성 △리더십 △조직문화 △건강·안전·웰빙 △생산성 △채용·이동성·이직 △기술·역량 △승계...
일본 국립대서 '여성 별도 정원제' 확산…남성 차별 논란도 2024-06-14 11:06:50
대학이 참고할 입시 실시 요령에 학생 다양성 확보 등을 강조하면서 이공계 분야의 여성 별도 정원제 창설을 대응책 예시로 넣었다. 물론 일본에서도 여성 별도 정원제를 둘러싸고는 공정성 논란이 없지 않다. 실제 규슈대는 2010년 도입 계획을 발표했다가 남성을 차별한다는 비판이 강하게 제기되자 이듬해에 철회하기도...
살아난 자사고·외고…내신부담 줄어 우수학생 더 몰리나 2024-01-16 18:23:41
교육의 다양성을 보장하자는 취지다. 교육부 관계자는 “지난 정부의 획일적 평준화 정책을 바로잡고, 학생과 학부모의 교육 선택권을 보장해 공교육 내에서 다양하고 창의적인 교육이 이뤄지도록 하기 위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 대신 전국 단위 선발 학교는 입학정원의 20% 이상을 지역학생으로 선발해야 한다. 사회적...
자사고·외고·국제고, '일반고 전환' 안한다 2024-01-16 18:21:00
학생의 교육 선택권을 보장하는 차원”이라고 설명했다. 윤석열 대통령은 후보 시절부터 자사고·외국어고·국제고 존치 공약을 내세웠고, 교육부는 지난해 6월 ‘공교육 경쟁력 제고 방안’을 통해 존치안(案)을 공식화했다. 사회통합전형 인재 20% 선발 의무가 없던 6개 전국 단위 자사고(옛 자립형 사립고)도 관련...
[시사이슈 찬반토론] 정부가 사립대 입시까지 감놔라 배놔라, 바뀔 때 됐나 2024-01-08 10:00:04
방식과 전통도 다르다. 이는 고등교육의 다양성과 창의성을 확보하는 차원에서 필요하다. 그래야 학문과 기술, 국가와 사회가 발전한다. 사립대학이 설립 취지를 구현하고 지향하는 철학대로 교육하려면 그 정신에 맞는 학생을 잘 뽑아야 한다. 학생 선발 자율권은 그래서 중요하고, 대학 자율의 출발점이기도 하다. 기독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