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독일중앙은행 "트럼프 관세 땐 GDP 1.5%↓…美도 타격" 2025-02-17 23:05:24
서서히 회복할 것으로 지난해 12월 전망한 바 있다. 나겔 총재는 그러나 이 전망치에 미국의 보호무역 조치를 반영하지 않았다며 유로화 가치 하락으로 인한 수출 경쟁력 강화가 관세의 부정적 영향을 상쇄하지는 못한다고 지적했다. dada@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젤렌스키, 에르도안과 18일 회담…우크라 종전안 논의 2025-02-17 22:54:58
우크라이나산 농산물을 수송하는 러시아 쪽 항로를 복원하는 흑해 곡물협정 연장 합의를 끌어내는 등 양국 모두와 가까운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젤렌스키 대통령은 작년 3월에도 튀르키예 이스탄불에서 에르도안 대통령과 회담했다. dk@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유럽 대표 자임' 英총리 내주 트럼프와 회동 2025-02-17 22:35:30
핵심적 역할을 할 것이고 미국만이 푸틴 대통령의 재공격을 막을 수 있기 때문에 지속적인 평화를 위해서는 미국의 안보 보장이 필수적"이라며 "다음 주 총리가 트럼프 대통령과 논의할 중요한 주제 중 하나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san@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민주콩고 반군, '르완다 지원' 속 동부 제2도시도 점령(종합) 2025-02-17 22:27:50
최대 도시와 제2도시까지 점령했고 이 과정에서 약 35만명의 국내실향민이 발생했다고 유엔은 전했다. 유엔과 민주콩고 정부 등에 따르면 최근 고마에서 벌어진 정부군과 반군의 교전으로 3천명 가까이 숨진 것으로 추정된다. hyunmin623@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집트서 3층 건물 일부 붕괴…최소 10명 사망 2025-02-17 22:13:47
구조대가 현장에서 건물 잔해를 치우며 수색 작업을 벌이고 있어 사상자는 더 늘어날 수도 있다. 경찰은 이날 이른 아침 가스통이 폭발해 붕괴로 이어졌다는 목격자 진술 등을 토대로 정확한 사고 원인을 조사하고 있다. hyunmin623@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트럼프 보고있나…시진핑, 中빅테크 수장 앞에서 "경제발전촉진"(종합2보) 2025-02-17 22:09:41
주요 방향 수정을 분명히 시사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미국 월스트리트저널(WSJ)은 "경제 성장과 기술 자립을 위해 기업가들의 도움이 필요하다는 시그널을 보낸 것"이라며 "마윈 등을 부른 것은 탄압이 끝났다는 신호"라고 전했다. anfour@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中경제실세 허리펑, 日경제계에 美겨냥 "보수주의 대두" 2025-02-17 21:33:28
공산당 중앙외사판공실 주임 겸 외교부장은 내달 하순 4년여 만에 일본을 방문할 것으로 알려졌다. 일본 경제계는 이날 중국 거시경제 주무 부처인 국가발전개혁위원회 관계자들과도 면담했다. 이들의 중국 방문 일정은 21일 끝난다. psh59@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스라엘군, 레바논 남부 공습해 하마스 지휘관 살해(종합) 2025-02-17 21:26:41
이스라엘이 공습을 가하면서 레바논에서 교전이 재개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온다. 이스라엘은 최근 미국에 레바논 남부 철수 시한을 오는 28일로 열흘 더 늦춰달라고 요청했다고 앞서 미국 일간 월스트리트저널(WSJ)이 보도했다. dk@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가자지구 전쟁 500일…이스라엘서 인질 석방 촉구 시위 2025-02-17 20:57:49
휴전 합의가 위기를 맞기도 했다. 이달 초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가자지구의 팔레스타인 주민을 주변국으로 이주시킨다는 구상을 발표하며 팔레스타인과 아랍권이 거세게 반발하는 등 살얼음판 같은 휴전이 유지되고 있다. dk@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러 외무 "美와 비정상적 관계 청산…영토는 양보안해" 2025-02-17 20:44:46
있느냐는 질의에는 "그런 생각을 하길 원하느냐. 어떻게 양보하겠느냐"고 일축했다. 그러면서 "현재 '우크라이나'라고 불리는 곳의 영토 할양은 옛 소련 형성기에 소련 지도부에 의해 이뤄진 일"이라고 덧붙였다. prayerahn@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