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삼성 반도체 영업익 1조..."HBM 계단식 회복" 2025-04-30 14:36:52
대응한다는 방침입니다. 지금은 2나노 1세대 공정의 신뢰성 평가를 마쳤고요. 2분기에 양산 투입을 시작합니다. 동시에 2나노 2세대와 4나노 전력 최적화 공정도 고객사 설계를 지원할 인프라를 적기에 구축하고 있다는 입장입니다. 삼성전자는 지난 2022년부터 게이트올어라운드(GAA) 공정을 활용해 세계 최초로 3나노...
"삼성전자, DS부문 영업이익 3분기째 하락" 2025-04-30 14:18:19
- 삼성전자는 2나노 공정 양산을 안정화하고 모바일과 차량용 수요에 대응할 방침이며, 선단 노드에서 안정적인 양산을 통해 고객사의 신뢰를 높이고 신규 수주 확대에 나설 계획이다. - 시장에서는 삼성전자가 퀄컴칩 생산을 위한 논의를 진행중이라고 알려져 있으며, 이 수주를 계기로 글로벌 빅테크의 러브콜을 받을 수...
"돈 되는 것에 집중"…구형 D램서 발 빼는 삼성·SK하이닉스 2025-04-27 07:01:01
특정 제품의 생산 중단 계획을 공식화하진 않았지만, 선단 공정의 전환이나 운영 효율화, 고부가 제품의 생산 비중 확대 등을 언급하며 구형 메모리의 점진적인 생산 중단을 우회적으로 표현하고 있다. 삼성전자는 지난 1월 실적발표 콘퍼런스콜에서 "선단 공정 램프업을 가속하며 HBM, DDR5, LPDDR5 그리고 GDDR7 같은...
"HBM, 고맙다"...SK하이닉스, 또 삼전 영업익 추월 2025-04-24 09:47:53
비중을 줄이고 고부가·고성능 중심의 선단 공정으로 전환해 사업 체질 개선을 가속할 계획을 밝혀왔다. 통상 계절적 비수기로 꼽히는 1분기에도 호실적을 낸 것은 수익성이 높은 선단 공정으로의 전환이 순조롭게 진행 중이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SK하이닉스는 "계절적 비수기임에도 과거와 확연히 달라진 당사 경쟁력을...
HBM 날개 단 SK하이닉스, 2개 분기 연속 영업익 삼성전자 추월 2025-04-24 09:31:35
선단공정 전환' 순항…재고 소진도 가속 SK하이닉스의 호실적에는 HBM3E 12단 제품뿐 아니라 DDR5, 고용량 eSSD(기업용 SSD)와 같은 고부가 제품의 판매가 늘어난 점도 영향을 끼쳤다. 앞서 SK하이닉스는 DDR4, LPDDR4와 구형(레거시) 제품의 비중을 줄이면서 고부가·고성능 중심의 선단 공정으로 전환을 통한 사업...
HBM 올라탄 소부장…1년새 영업익 7배로 늘었다 2025-04-15 18:09:36
갑절이 됐다. 웨이퍼에 얇은 막을 입히는 증착 공정에 필요한 세라믹 히터 장비를 제조하는 코미코는 지난해 매출(5071억원)과 영업이익(1125억원)에서 모두 사상 최대치를 경신했다. 메모리 반도체 선단 공정과 연계된 업체들도 고공행진을 했다. 초미세 공정이 한계에 도달해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가 관련 투자를 늘렸기...
한미일, 中 견제 메시지…트럼프 폭주에도 '안보 협력' 2025-04-04 10:05:07
불공정 무역 관행에 단호히 대응하여 자유롭고 공정한 국제 경제 질서에 대한 의지를 재확인했다"고 밝혔다. 한미일은 또 미국 액화천연가스(LNG)와 여타 에너지 자원 및 기술에 기반한 에너지 안보 및 에너지 협력을 이어가기로 했다. 중국이 장악한 핵심 광물 및 기타 필수 공급망에 대해서도 다변화 노력을 지속하고,...
[마켓칼럼] 국내 유일 AI 반도체 칩 테스트 하우스 '아이텍'에 주목 2025-04-03 15:38:56
전공정에서의 미세화로 인해 패키징 중심의 후공정 기업 기술이 점차 부각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초미세 선단 공정 수요 대부분을 차지하는 AI 반도체는 현재 글로벌 시장을 독점하고 있는 엔비디아의 범용 GPU 칩에서 점차 주문형 반도체(ASIC)로 수요가 확대될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판단된다. ② 향후 고성장이...
"반도체법 보조금 재협상 가능성"...업계에 미칠 영향은? 2025-04-03 08:08:37
대만의 UMC 합병설이 나오고 있음. 합병 후 선단공정 진출 시 삼성 파운드리에 악재로 작용할 가능성 있음. - D램 가격 상승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으며, 낸드플래시 가격 반등 속도도 빨라지고 있음. AI 수요가 받쳐주는 가운데 커머디티 수요 반등이 주가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됨.● 반도체법 보조금 재협상...
'관리의 삼성'이 어쩌다가…"반도체·스마트폰·TV까지 약세" 2025-03-20 11:04:16
사업별 전략을 수립해 대응한다. 메모리는 선단 공정 기반 HBM 적기 개발로 차세대 AI 제품 경쟁력을 확보한다. 고성능·고용량 솔리드스테이트드라이브(SSD) 제품군도 확대한다. 시스템LSI사업부에선 시스템온칩(SoC) 성능 극대화로 차세대 플래그십 스마트폰 탑재를 노린다. 고화소 경쟁력을 갖춘 이미지 센서를 앞세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