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ABT부터 개츠비까지…서울 문화지형 바뀐다 2025-02-11 18:07:40
16~18일)에 이어 최신작이자 비디오, 설치미술, 퍼포먼스가 결합된 ‘죽음의 무도’(5월 17~18일)가 관객을 만난다. 모라우는 스페인을 비롯한 유럽 현대무용계에서 뜨거운 주목을 받고 있는 인물. 특히 ‘아파나도르’는 스페인 전통무용 플라멩코를 떠올렸을 때 생각나는 빨강을 버렸다. 오로지 흰색과 검은색, 빛과...
이기대 '예술공원' 탈바꿈…부산, 글로벌 명소로 키운다 2025-02-11 17:59:49
방문객을 끌어들일 조형물을 설치하고, 장기적으로 조성해 나갈 예술공원의 대표 상징물로 쓸 예정이다. 바닷가 숲속 갤러리는 국내외 거장 갤러리 6~7곳을 유치해 국제 아트센터와 오륙도 아트센터의 매개체로 삼을 예정이다. 시는 다음달부터 미술관 설립을 희망하는 국내외 작가를 발굴해 자격 요건 등을 심사하고,...
[더 라이프이스트-구건서의 은퇴사용설명서] '스마트폰 좀비'는 되지 말자 2025-02-11 17:38:55
장착한 스마트폰은 비서 역할을 시작으로 음악, 미술, 운동, 글쓰기, 내비게이션, 시계 등 못하는 것이 없다. 모든 길은 스마트폰으로 통한다. 스마트폰을 사용하지 못하면 기차 타기도 힘들고, 버스 타기도 힘들고, 택시 타기도 힘들다. 주말에 KTX를 타면 젊은이들은 모두 자리에 앉아 컴퓨터나 스마트폰을 보고 있는데,...
일제강점기 정수장에 만든 문화공간, 세종시 첫 우수건축자산 2025-02-06 16:00:01
주차장 설치 등 건축규제가 완화된다. 기존 건물을 보존하면서도 지역 거점으로 재탄생할 수 있도록 길을 터준다는 취지다. 이번에 새로 등록된 건축문화자산의 특징은 옛것을 보존하되, 새것을 덧붙여 '시간이 공존하는 공간'을 만들었다는 점이다. 조치원 문화정원은 1935년 정수장으로 지어졌으나 2013년 폐쇄...
베를린 도심에 양떼가 나타났다 2025-01-30 17:02:40
효과였다. 미술계에서도 인류가 직면한 환경 문제를 다루며 어떤 실천으로 공동체적 책임을 질 수 있는지 논의가 활발했다. 그렇지만 결국 어떤 것도 변하지 않았다. 인류와 생태계의 공존 노력은 미술 담론을 위한 담론으로 소비되고, 매달 열리는 아트 페어와 국제 비엔날레 및 블록버스터 전시의 순회가 다시 시작됐다....
길고 긴 설 연휴, 대구미술관 갈까 2025-01-26 18:38:53
설치했다. 대구미술관은 설 당일인 29일과 31일은 휴관하고, 연휴 기간 27~28일, 30일은 무료로 개관한다. 기간 중 순환버스는 운영하고, 도슨트(전시해설)는 운영하지 않는다. 설 연휴 인스타그램 후기 이벤트도 진행한다. ‘와엘 샤키’ 전시를 관람 하고 ‘대구미술관’, ‘와엘샤키’를 해시태그해 이벤트에 참여하면,...
에곤 실레부터 이강소까지…미술관·박물관 나들이 어때요 2025-01-23 16:20:33
좋다. 국립현대미술관이 오랜 기간 수장고에 보관해 놓은 ‘국보급 도자 작품’을 대거 내놨기 때문이다. 도자 역사를 되짚으며 현대 환경에서 새롭게 변화한 도자공예의 모습을 조명한다. 시대 흐름에 따라 구성된 전시에서는 전통 도자, 도자 조형, 설치 등 다양한 유형의 도자공예 모습을 선보인다. 과천관도 연휴 내내...
트럼프家 가상화폐 업체 "토큰 판매 1조4천억원 넘어" 2025-01-21 12:34:42
늘어났다고 지난주 밝혔다. 그는 지난해 경매에서 설치미술 작품 '테이프로 벽에 붙인 바나나'를 620만달러(86억5천만원)에 낙찰받아 이를 먹는 퍼포먼스를 벌이기도 했다. 그는 사기 및 증권법 위반으로 미 증권거래위원회(SEC)에 피소된 상태다. 이런 가운데 트럼프 대통령이 자체 밈 코인 발행으로 거액의 부를...
아데니-존스, 송예환…튀는 작가들 '전시 혹한기' 녹인다 2025-01-19 17:02:21
그는 설치와 영상을 결합한 작품 세 점을 통해 유튜브 등 인터넷 플랫폼이 여론을 왜곡하는 현상을 집중 비판했다. 예컨대 ‘회오리’는 마분지로 탑 모양의 구조물을 설치한 뒤 곳곳에 있는 마분지 스크린에 영상 여러 개를 투사한 작품이다. 작가는 “플랫폼이 주는 정보를 일방적으로 받아들일 수밖에 없는 현실을...
드론 촬영과 파노라마의 자유[김우균의 지식재산권 산책] 2025-01-18 09:25:33
받지 않고도 야외공원에 설치된 조각상(미술저작물)을 배경으로 자유롭게 사진을 찍고(복제)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에 업로드도 하고 있다. 혹시 나중에 저작권자가 문제 삼지 않을까. 결론적으로는 문제가 되지 않는다. 우리 저작권법이 가로·공원·건축물의 외벽, 그 밖에 공중에게 개방된 장소에 항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