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달에 초통령 '뽀로로' 크레이터가? 대보름 맞이 천문행사 2025-02-05 14:26:48
태양계에서 가장 높은 산 올림푸스를 가진 화성을 관측하는 시간도 마련됐다. 아기별이 탄생하고 있는 오리온 대성운과 일곱 자매로 불리는 플레이아데스 산개성단의 모습도 살펴볼 수 있다. 광주과학관 관계자는 "과학관에서 특별한 천체관측을 즐기고 대보름의 따뜻한 달빛 아래 사랑하는 분들의 소원도 담아가시길...
[사이테크+] "우리은하 중심부 초대질량 블랙홀 공전하는 쌍성계 발견" 2024-12-18 09:41:49
주위에는 블랙홀을 공전하는 별과 천체들이 밀집한 'S 성단'이 있으며, 이 성단에는 별처럼 거동하지만 가스와 먼지구름처럼 보이는 G 천체(G objects)라는 미지의 천체가 있다. 연구팀은 G 천체 관측 데이터에서 별의 속도가 반복적으로 변하는 현상을 발견했으며, 이는 분석 결과 두 개의 별이 서로 궤도를 돌면...
"2025년 해돋이 감상 어디서"…동해 '정동진' vs 남해 '정남진' 2024-12-13 16:58:37
태양의 표면을, 야간에는 태양계의 행성과 성운, 성단 등 천체를 관측할 수 있다. 천제투영실에서는 기간과 기상에 관계없이 가상의 별자리를 확인할 수 있고, VR시뮬레이터로 우주비행 체험도 가능하다. 정남진 전망대는 동절기 9시부터 오후 7시까지 운영되며, 정남진 천문과학관은 오후 2시부터 10시까지 개방된다. 두 ...
[사이테크+] "빅뱅 후 6억년밖에 안된 우주서 초기 형성단계 은하 포착" 2024-12-12 09:25:03
있고, 각 성단의 질량은 태양의 10만~100만배 정도인 것으로 분석됐다. 연구팀은 반딧불이 스파클 은하는 우주 태동기에 서로 나뉘어져 있던 성단들이 모여 은하를 형성하기 시작한 단계인 것으로 보인다며 이 시기에 관측된 것 중 가장 작은 은하로 질량이 형성 초기의 우리은하와 비슷할 것으로 추정했다. NASA 고다드...
'이번 놓치면 50년 기다려야'…8일 달·토성 '랑데부' 2024-12-05 12:00:04
전라권과 제주권은 대체로 흐릴 것으로 예보했다. 과천과학관은 이번 우주쇼를 맞아 경기 과천 본관에서 특별관측회를 열고 특별강연, 스노우볼 만들기 체험 등을 한다. 달·토성 근접뿐 아니라 플레이아데스성단 및 곡성 관측, 크리스마스카드 꾸미기 등도 진행하며 관측회는 누구나 무료로 볼 수 있다. shjo@yna.co.kr...
"文정부, 중국·시민단체에 한미 군사작전 비밀 유출" 2024-11-19 09:57:18
장성들의 모임인 대한민국수호예비역장성단이 감사원에 공익 감사를 청구하면서 시작된 바 있다. 감사 청구의 골자는 문재인 정부가 환경영향평가 협의회 구성 지연, 전자파·저주파 소음 등 측정 결과에 대한 대국민 공개 기피, 관련 문서 파기 등의 방법으로 사드 기지 정상 운용을 지연시켰다는 것이다. 감사원은 같은...
감사원, '文정부 사드 배치 고의 지연' 포착… 정의용 등 수사 요청 2024-11-18 18:44:34
위한 평가위원회 구성조차 이뤄지지 않으면서 문 정부가 사드 정식 배치를 고의로 지연시키고 있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이번 감사는 지난해 7월 전직 군 장성들의 모임인 ‘대한민국수호예비역장성단’이 문재인 정부가 2019년 12월 문 전 대통령의 중국 방문을 앞두고 사드 배치 관련 환경영향평가를 의도적으로...
성남시, 오는 15일 달·행성·별 관측 '우주과학 특강' [메트로] 2024-11-05 12:05:16
1회당 20명(5가족)씩 입장해 망원경으로 달과 별, 성단 등 우주에 존재하는 천체들을 관측한다. 다양한 행성 구슬을 이용한 ‘나만의 행성 팔찌 만들기’ 체험도 할 수 있다. 또 우주과학 특강은 오는 16일 오후 2시 도서관 3층 꿈나무 극장(207석)에서 초등 1학년 이상 시민 200명을 대상으로 열린다. 특히 이정모 전...
새로운 블랙홀 증거 발견됐다 2024-07-11 05:57:46
ω켄타우리는 1만8천 광년 밖에 있는 구상성단으로, 높은 질량과 복잡한 항성 집단 등 특성을 갖춰 중간 질량 블랙홀이 있을 가능성이 큰 곳으로 꼽혀왔다. 연구팀은 허블우주망원경이 20여년에 걸쳐 촬영한 ω켄타우리 성단 사진 500여장에 포착된 별 140여만 개의 움직임을 분석했다. 블랙홀처럼 질량이 큰 천체가...
[사이테크+] "1만8천광년 밖 ω켄타우리에서 태양 8천200배 블랙홀 발견" 2024-07-11 05:00:01
성단으로, 높은 질량과 복잡한 항성 집단 등 특성을 갖춰 중간 질량 블랙홀이 있을 가능성이 큰 곳으로 꼽혀왔다. 연구팀은 허블우주망원경이 20여년에 걸쳐 촬영한 ω켄타우리 성단 사진 500여장에 포착된 별 140여만 개의 움직임을 분석했다. 블랙홀처럼 질량이 큰 천체가 있으면 주변 별들이 다른 곳의 별과 다른 빠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