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유리지갑'에 기댄 나라곳간…반도체 불황에 세수기반 '흔들' 2025-02-17 06:01:11
이어졌다. 2021년과 2022년에는 세입예산보다 각각 61조4천억원, 57조3천억원의 세금이 더 걷혔다. 2년간 120조원에 이르는 초과세수가 발생한 것이다. 하지만 2023년에는 56조4천억원에 이어 작년에도 30조8천억원이 예산보다 덜 걷혔다. 세수 오차의 주된 요인은 경기 상황에 따라 진폭이 큰 법인세다. 2021년 법인세...
미국 재정적자 눈덩이…4개월간 1천220조원 증가 2025-02-13 09:42:01
공화당 예산 긴축파 의원들의 목소리에 힘을 실어줄 전망이다. 지난 4개월간의 세입은 1조6천억 달러로 전년 동기와 거의 변동이 없는 수준이다. 하지만 지난해 수치는 전년도의 자연재해로 인한 세금 납부 유예분이 들어와 부풀려졌다. 이 기간 지출은 총 2조4천400억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7% 증가했다. 지출에서 가장...
오세훈 "지방분권" 김동연 "4년 중임"…李 빼고 '개헌' 한목소리 2025-02-12 17:46:44
데 있다”며 “입법·행정뿐만 아니라 세입·세출 권한까지 이양하는 과감한 지방 분권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전국을 5대 권역으로 나누고, 각각을 싱가포르 같은 인구 600만~1000만 명의 경제 자치 지역으로 키워내자는 게 오 시장 구상이다. 그는 “대통령에겐 외교·안보·국방에 관한 권한만 남겨놓고 내치는...
[월요전망대] 1월 고용 시장도 탄핵정국 영향 받았을까 2025-02-09 18:05:49
총세입·총세출 마감 결과’와 ‘2024년 연간 국세수입 현황’을 발표한다. 지난해 9월 기재부는 세수 재추계를 통해 2024년도 국세수입이 337조7000억원으로 세입예산(367조3000억원)보다 29조6000억원 부족할 것으로 예상했다. 30조원에 달하는 ‘세수펑크’의 세부 내역이 이날 자료를 통해 공개된다.국책 연구기관인...
세수펑크에 추경 전액 국채 조달 불가피…적자비율 다시 오른다 2025-02-09 06:01:04
전망이 둔화하면서 세입 전망이 어두워졌기 때문이다. 올해 국고채 총발행 한도는 197조6천억원으로 역대 최대 규모다. 이 중 순 발행 한도만 80조원으로, 전년보다 30조1천억원 늘었다. 만기도래한 국채 차환 등 시장조성용 국채 발행을 제외하고 이른바 '적자 국채'만 80조원에 달한다는 뜻이다. 여기에 20조원...
[다음주 경제] 작년 30조원 '세수펑크' 세부내역 공개 2025-02-08 09:08:29
세입·총세출 마감 결과'와 '2024년 연간 국세 수입 현황'을 발표한다. 약 30조원 안팎으로 추산되는 '세수펑크'의 세부 내역이 담긴 자료다. 앞서 기재부는 세수 재추계를 통해 2024년도 국세 수입이 337조7천억원으로 세입예산(367조3천억)보다 29조6천억원(8.1%) 부족할 것으로 예상했다. 13일에는...
IMF, 올해 韓 경제성장률 2.0% 전망…"경제 하방 위험 우세" 2025-02-07 23:39:21
성장할 것으로 전망했다. 지난해 2.4%를 기록한 물가상승률은 점차 안정화돼 올해 물가안정 목표(2%)에 도달할 것으로 내다봤다. 지난해 국내총생산(GDP) 대비 4.2% 수준으로 확대됐던 경상수지 흑자 규모는 소비 회복에 따른 수입 증가 영향 등으로 올해 3.6% 수준으로 다소 줄 것으로 분석했다. IMF는 "올해 한국 경제...
IMF "韓경제 하방위험 우세"…'성장둔화 대응' 사실상 추경 권고 2025-02-07 23:00:01
도달할 것으로 전망했다. 지난해 국내총생산(GDP) 대비 4.2% 수준으로 확대됐던 경상수지 흑자 규모는 소비 회복에 따른 수입 증가 영향 등으로 올해 3.6% 수준으로 다소 줄 것으로 분석했다. IMF는 "올해 한국 경제 전망에 불확실성이 높은 상황이며 하방 리스크가 우세하다"고 평가했다. 그러면서 정치적 불확실성 지속,...
IMF "韓, 하방 위험"…성장률 전망 2.0% 유지 2025-02-07 23:00:00
1월 세계경제전망(WEO)과 동일한 잠재성장률 수준이다. 2024년 2.4%를 기록한 인플레이션은 점차 안정돼, 올해에는 물가안정목표(2%)에 도달할 것으로 전망했다. 여전히 높은 기대 인플레이션과 금융안정 위험 요인 등을 고려해 점진적인 통화정책 정상화(금리 인하)가 필요하다는 조언이다. 다만 성장이 둔화되고 물가가...
"지난해 30조원대 세수 펑크 예상"…4년 연속 세수예측 실패한 정부 2025-02-03 15:03:23
총세입부·총세출부 마감이 일주일 앞으로 다가왔다. 지난해에는 30조원 가량의 ‘세수 펑크’가 발생했을 전망이다. 2021년과 2022년의 세수 초과, 그리고 2023년과 2024년 세수 결손이 이어지면서 정부가 4년 연속 세수예측 실패라는 오명을 쓰게 됐다. 3일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오는 10일 지난해 세입·세출 실적이...